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스페셜
"
미터
"(으)로 총 603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인류를 위협으로부터 구원할 방패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수준이다. 지능형물질및센서연구실은 이를 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더 미세하게 만들어 마스크를 끼고 숨 쉴 때 답답하지 않게 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공기 분자 사이의 거리가 약 70nm라는 점에 착안해 섬유 굵기를 70nm 수준으로 매우 가늘게 ... ...
반도체 소부장 기업 위한 12인치 반도체 테스트 베드 서비스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조원 종기원 원장은 “현재 12인치 테스트베드는 40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 패턴웨이퍼 제작이 가능한 인프라로 반도체 핵심소재(감광제 등)와 장비개발을 집중 지원할 예정”이라며 “향후 20nm급 패턴웨이퍼 제작과 부품 테스트를 지원할 수 있는 추가 장비구축 및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뛰어 넘는다는 '보로핀'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4
에 불과한 원자를 한 겹으로 배열했다. 보로핀은 매우 흥미로운 물질로 꼽힌다. 나노
미터
급에서 3차원에 이르기까지 금속 성질을 보인다. 반면 보로핀의 원료가 되는 붕소는 비금속 및 반도체 성질을 가진다. 일부 과학자들은 보로핀이 그래핀보다 높은 전도성을 가진다고 분석한다. 이 때문에 ... ...
[랩큐멘터리]한국 반도체 기술의 청사진을 그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메모리 반도체 선두 기업인 삼성전자나 대만의 TSMC가 생산하는 소자들은 5~7나노
미터
(10억분의 1
미터
) 공정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연구실은 이같은 산업체가 생산하는 소자보다 더 작은 트랜지스터를 시뮬레이션으로 제작해 성능을 평가하고 미래 반도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대학 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을까
2021.03.05
선수들의 기량이 출중해졌다고 해도 예컨대 투수의 구속이 시속 200킬로
미터
를 넘거나 100
미터
를 7초에 뛸 수는 없다. 이 한계는 그때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다만 메이저리그 초기에는 선수들의 평균 능력이 신체의 한계보다 크게 못 미치는 곳에 형성돼 있었고 그를 중심으로 좌우로 ... ...
[랩큐멘터리]밝혀지지 않은 생명현상의 미스테리를 추적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2
형광 처리한 분자를 관찰할 수 있는 형광 현미경을 이용해 생체분자의 움직임을 나노
미터
단위에서 추적하는 기법이다. 대표적인 연구 주제는 2007년부터 10년 넘게 연구 중인 ‘유전자 정보 오류 복구 메커니즘’이다. 세포핵 안에는 약 30억쌍의 염기 서열로 이뤄진 유전 정보가 있다. 이 유전 ... ...
혈액 한 방울로 55분만에 감염여부 알려주는 스마트폰용 진단칩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연구팀이 개발한 칩은 스탬프 크기의 ‘미세유세칩’이다. 미세유세칩은 마이크로
미터
정도의 미세액체방울을 정교하게 제어하는 칩으로 아미노산과 호르몬, 단백질, 유전물질인 DNA, RNA 물질을 내부의 ‘생체분자’와 반응시킬 수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 단백질과 결합하는 물질을 칩에 넣고, ... ...
800 병상 규모 송도세브란스병원 첫 삽...2026년 12월 개원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공동 추진하고 있다. 8만5948 제곱
미터
의 터에 연면적 11만1230제곱
미터
규모다. 연세대의료원은 지난해 8월 삼우종합건축을 설계사로 선정하고 설계를 진행하고 있다. 연세대의료원은 송도세브란스병원을 경인 지역과 서해안 거점병원으로 키울 계획이다. 바이오 분야 ... ...
[표지로 읽는 과학]나노 안테나로 그래핀 초전도성의 비밀 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0
관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조리오 교수는 "기존에는 탄소 원자의 진동 1μm(마이크로
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영역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면 나노 안테나는 그것보다 1000분의 1 크기의 영역에서 측정할 수 있다"며 "나노 안테나는 화학, 생물학, 물리학, 공학, 의학 분야에서 활용할 수 ... ...
[소재의 미래_마지막 이야기]"소재 혁명은 학문의 경계서 시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7
해상력이 낮기 때문이다. 사람의 망막에 있는 원추세포는 빛에서 파장이 400~700nm(나노
미터
·10억 분의 1m) 범위의 가시광선만 선택적으로 흡수해 뇌가 정확한 색을 인식하도록 하지만 이미지 센서는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까지 흡수하기 때문에 적외선이 가시광선에 섞여 해상력이 떨어진다.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