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스페셜
"
분해
"(으)로 총 484건 검색되었습니다.
미 연구팀 "산모 코로나 백신 맞아도 모유에 아무런 영향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않는 아주 적은 양의 mRNA 성분이 남아있다 하더라도 유아의 위장관 시스템에 의해
분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세계보건기구(WHO)가 내리고 있는 백신 접종지침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WHO는 모유 수유자에게 백신 접종을 권장하고 백신을 맞고 난 ... ...
국내 연구팀,렘데시비르보다 200배 효과 좋은 코로나 치료제 후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8
약물 스크리닝 기술로 코로나19 바이러스 복제와 증식에 필수적 역할을 하는 단백질 가수
분해
효소와 RNA 중합효소를 저해할 수 있는 후보 화합물을 각각 15종과 23종 골라냈다. 그런 다음 이 후보군들을 대상으로 파스퇴르연 생물안전 3등급(BSL-3) 실험실에서 세포 이미지 기반 항바이러스 활성 분석 ... ...
[랩큐멘터리]난치병 원인 '단백질 수명' 결정하는 신호를 탐색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7
분해
경로의 생리학적 의미를 더 깊게 탐구하겠다” 며 “ 지금까지 밝혀낸 단백질
분해
신호들을 활용해 새로운 형태와 내용의 차세대 혁신 신약들을 만들어 내겠다”고 밝혔다. ▼포스텍 단백질항상성 연구소 보기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플라스틱 쓰레기 지구에 영구적 흔적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통상 1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m)~5mm의 플라스틱을 일컫는다. 마모되거나 태양광
분해
등에 의해 잘게 부서지며 생성된다. 낚시줄이나 스티로폼 부표, 페트병, 섬유 등에서 모두 만들어진다. 얼굴에 발라 문지르다가 물로 씻어내는 클렌징이나 스크럽 제품에도 미세플라스틱이 있다. 해양 ... ...
[프리미엄리포트]쓰레기 묻으면 100t 태우면 15t
과학동아
l
2021.06.27
회수하는 기술이다. 먼저 파쇄 등 기계적 공정을 통과한 폐기물을 호기성 미생물로
분해
한다. 이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해 폐기물 속의 수분을 빠르게 건조한다. 이후 다시 기계적 선별 공정으로 SRF를 분리해낸다. 최근 각광받는 방식이다. 국내에서는 2010년부터 수도권매립지에 적용됐다. 제조된 ... ...
[과학게시판] 화학硏-생명硏, 동아에스티에 항암제 기술이전
동아사이언스
l
2021.06.26
25일 밝혔다. 이는 단백질
분해
기술인 프로탁을 적용한 항암제 기술로, 프로탁은 단백질
분해
를 유도하는 저분자 화합물 기반의 신약 개발 플랫폼이다. 기존 항암제가 표적 단백질의 특정 부위에만 결합해야 약효를 낼 수 있는 것과 달리 프로탁 기술을 적용하면 결합 부위에 상관없이 다양한 표적에 ... ...
변이 기승에 국내 개발 필요성 커진 코로나 mRNA백신...핵심열쇠는 '지질나노입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따르면 mRNA 백신을 자체 개발하려면 mRNA 설계 및 제조 기술은 물론 체내에 주입된 mRNA가
분해
되지 않도록 하고 타깃 세포까지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지질나노입자(LNP) 기술 확보가 관건이다. 미국 ‘아뷰투스’와 영국 ‘제네반트’ 등이 사실상 독점하고 있는 LNP 제조기술 특허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일어난다. 그런 부패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다. 식물이나 동물이 만들어놓은 유기물을
분해
시켜서 자연에서의 물질 순환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순기능도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인류가 다양한 목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는 ‘발효’와 달리 부패는 인간에게 몹시 성가신 것이다. 애써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모더나의 백신 개발 팀사이언스의 힘
2021.06.23
혁신은 나노의학에서 나왔다(Mitchell et al., 2020). 체내 효소에 의해 mRNA가 쉽게 변형 혹은
분해
된다는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의 로버트 랭어 교수와 다니엘 앤더슨 교수 연구팀은 20년 이상 나노과학을 의학에 접목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이들은 머리카락 단면의 1,00 ... ...
[스페이스비즈]타이드, NASA와 우주용 세탁 세재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23
세탁에 사용한 물의 식수 재사용 가능성 등을 내걸었다. 타이드는 이를 위해 완전히
분해
되는 세제를 개발했으며, ISS뿐 아니라 향후 달이나 화성 등 심우주 탐사에서 사용하기에도 적합할 것이라고 밝혔다. 타이드는 우주용 세탁 세제를 올해 12월 ISS에 발사하는 화물선에 실어 보내 6개월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