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석
해체
분류
분별
분리
검토
분열
스페셜
"
분해
"(으)로 총 484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⑿ 눈에 보이지 않는 원자 세계에서 연금술 같은 소재혁명이 시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3
정확도를 올릴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는 “투과전자현미경이 보증하는
분해
능 수준이 50 피코미터(pm·1pm는 1조분의 1m)라면 소프트웨어 기법으로 10 피코미터까지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신기능성 소재의 특성을 해석하는 데 접목했다. 신기능성 소재에는 서로 다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체에 안전하면서 강력한 살균수는 없다
2021.02.03
음극)에서 폭발성 수소 기체가 발생할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가정에서 물을 전기
분해
야 할 실용적인 이유가 없다. 일상생활에서는 비누로 씻기만 해도 충분한 살균 효과가 나타난다. 심지어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도 비누로 씻으면 말끔하게 제거된다. 진한 알코올 냄새가 나는 손 ...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계속 출현할 것. 새로운 백신 계속 개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1.02.02
다른 항바이러스제가 계속 만들어졌다. 에이즈의 경우 주로 역전사효소 억제제와 단백
분해
효소 억제제를 쓰는데 내성을 가진 변이 바이러스가 출현해 현재 100개가 넘는 치료제가 만들어졌다. 홍 위원장은 "코로나19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계열인 사스(SARS), 메르스(MERS)는 감염력과 치사율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mRNA는 어떻게 백신으로 개발되었고 무엇을 더 할 수 있는가
2021.01.27
상태로는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없다. 우리 몸의 RNA
분해
효소에 의해
분해
되지 않도록 보호 장치도 필요하다. 이 때문에 RNA를 보호하고 세포로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오랜 시간에 걸쳐 이뤄져왔다. 현재는 지질나노입자(liquid nanoparticle) 기술이 가장 널리 쓰인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어떤 유형의 백신이 코로나19 예방에 도움 되나
2021.01.25
mRNA백신의 개념이다. 지금까지는 mRNA의 구조적 안정성이 DNA에 비해 매우 취약해 빠르게
분해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RNA에 대한 생‧물리‧화학적 이해 증진과 유전공학의 발달이 이를 해결했다. 염기의 다양한 변형을 통해 mRNA의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됐다. mRNA 백신은 15년 전부터 ... ...
[랩큐멘터리] 자연에서 캐낸 생체 소재가 가져온 의료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1.01.19
만드는 게 비결이다. 이 접착단백질을 활용하면 접착력이 강하면서도 인체에 무해하고 생
분해
되는 아직까지 존재하지 않던 혁신적인 의료용 접착제를 만들 수 있다. 홍합접착단백질을 접착 소재로 활용하려는 연구는 1980년대부터 주목받았지만 대량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백신, 코로나19에 맞서는 인류의 신무기
2021.01.19
감염병 예방 메커니즘. 항원을 포함한 백신이 우리 몸에 투여되면, 수지상세포에 의해
분해
된다. 감염된 세포는 세포독성T세포에 의해 제거되고, B세포에서 분화된 형질세포는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를 생성해 병원체를 중화하거나 제거한다. IBS 제공 백신은 후천면역의 기억이라는 특징을 이용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로나19와 장내 미생물
2021.01.12
사람이 채식 위주 식사를 하면 녹말이 미처
분해
되지 못한 채 대장으로 넘어가므로 이를
분해
하는 미생물이 증식하기 쉽다. 반면 한국인처럼 효소가 많이 분비되는 사람이 채식 위주로 먹으면 녹말은 거의 소화가 되므로 식이섬유를 먹이로 하는 루미노코쿠스(Ruminococcus) 같은 장내미생물이 ... ...
코로나 백신 만드는 mRNA 원리 설명할 새 분석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1.11
담그면 RNA결합단백질과 mRNA간 교차결합이 일어난다. RNA결합단백질을 단백
분해
효소로
분해
해 RNA결합 부위만 남기고 분석하면 RNA결합단백질의 종류와 결합부위를 확인할 수 있다. 연구팀은 배아 발생 연구에 주로 쓰이는 아프리카 발톱개구리의 난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방법을 검증했다. 그 결과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친환경 에너지로 각광받지만 정작 화력과 원자력을 이용한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
해 얻고 있다. 이런 이유로 수소 분야에서는 '클린 수소'를 갖추기 위한 연구가 한창이다. 배양육 분야도 마찬가지 상황이다. 비타민과 호르몬, 미네랄을 이용해 소 태아의 혈청 없이 만든 배양액인 미국 크레센트 ... ...
이전
15
16
17
18
19
20
21
22
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