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습"(으)로 총 2,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루닛 개발한 유방암 진단 AI, 대한영상의학회서 공개동아사이언스 l2019.09.17
- "조직 검사 결과 유방암 판정을 받은 환자 5만여 명의 유방촬영 영상을 딥러닝으로 학습해 만들었다"며 "건강에 해가 되지 않는 양성 종양은 거르고, 악성 종양만을 97%의 높은 정확도로 찾아낸다"고 설명했다. 한국을 비롯해 아시아 여성은 유즙을 만들어내는 유전조직이 많고 상대적으로 지방이 ... ...
- KAIST 대학원생 박성준씨, 2019 구글 자연어처리 펠로우 선정동아사이언스 l2019.09.16
- 심리상담 대화록에서 내담자의 언어 반응을 내담자 요인에 따라 분류하는 기준 및 기계학습 모델을 제안해 자연어처리 분야 국제학술대회 ‘NAACL’에서 발표했다. 최근에는 인공신경망 기반 대화 생성 모델 개발, 텍스트에서 복합적인 감정 추출 및 예측, 전산 심리치료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를 ... ...
- AI "쓰레기 무단투기 딱 걸렸어"동아사이언스 l2019.09.16
- 시각 AI에 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봉투의 인식이 문제면 쓰레기봉투를 집중 학습시켜 쓰레기봉투를 든 사람을 빠르게 분별하는 시각 AI를 특화시킬 수 있다. 실제로 연구팀은 ‘무엇인가 들고 가는 사람’을 먼저 찾고, 이후 물건의 정체를 두고 다른 후보 물건을 제외하는 방식으로 ... ...
- 美, 우주개발 패러다임 바꾸는 차세대 원자력 추진기술 개발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9.14
- 화성까지 가는 데 8개월 정도소요될 때 피폭된 방사선량은 두뇌를 손상시켜 감정과 학습, 기억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를 의식한 것으로 분석된다. 핵 열추진 기술은 ‘방사성동위원소 열전 발전기(RTG, 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 기술과는 다르다. RTG 기술은 플루토늄의 ... ...
- “꼭꼭 숨어라. 꼬리 보일라“ 쥐도 사람과 숨바꼭질할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9.09.13
- 밝혔다. 미하엘 브레히트 독일 베를린훔볼트대 생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쥐도 숨바꼭질을 학습할 수 있으며 인간과 어느 정도 게임이 가능한 수준이라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3일자에 발표했다. 동물도 놀이를 한다. 북극곰이 타이어를 가지고 눈 위를 뒹굴며 놀거나 까마귀가 ... ...
- ADHD 단번에 진단하는 AI 동아사이언스 l2019.09.10
- fMRI) 장치, 확산텐서영상(DTI) 등으로 촬영한 뇌 영상 데이터를 활용해 알고리즘에 기계학습 시켰다. 영상만 보고도 어떤 뇌가 정상이고 ADHD인지 구분하도록 만든 것이다. 그 결과 전문의의 진단과 비교했을 때 정확도가 85%에 이르렀다. 이 알고리즘은 특히 뇌에서 중요 자극을 선별하거나 반응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알코올의존증, 침(針)으로 고친다2019.09.10
- 술에 대한 갈망이 줄어들 것이다. 레버를 누르면 막걸리 먹이 몇 방울을 먹을 수 있게 학습한 쥐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금단현상을 보이는 쥐는 30분 동안 60회나 눌렀지만 침을 맞자 14회로 뚝 떨어졌다. 침 대신 β-엔도르핀 주사를 맞아도 거의 같은 효과를 봤다. 척골신경 타고 올라가 ... ...
- 매일 쏟아지는 3만개 은하 정보 처리하는 '기초과학 빅데이터 시대'동아사이언스 l2019.09.07
- 셈”이라며 “기계학습이 밝혀낸 내용을 연구자들이 밝혀나가는 게 자연과학에서 기계학습을 응용하는 예”라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수많은 은하가 담긴 밤하늘을 찍은 사진을 보여주며 현재 측정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너무 커 컴퓨터 계산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밤하늘을 향해 ... ...
- "슈퍼컴 덕에 아인슈타인 아니어도 천재적 연구성과 내는 시대 왔다"동아사이언스 l2019.09.05
- 과학자에게는 여러 가지가 도전 요소가 있다”며 “현재 결과를 설명할 수 없는 기계학습 기술을 설명 가능한 기술로 만드는 노력과 컴퓨터 성능을 꾸준히 높이고 복잡한 데이터를 분석하는 능력, 데이터의 이동을 피해 컴퓨터에 드는 에너지를 줄이는 능력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소개했다 ... ...
- KAIST '뇌과학+AI' 융합연구 나선다동아사이언스 l2019.09.05
- 연구 분야에 집중한다. 신경과학, 발달인지이론, 계산신경과학, 뇌 기반 AI, 뇌공학, 기계학습, 로보틱스, 실세계 상호작용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이번 개소식에는 박현욱 연구부총장, 조광현 연구처장, 정기훈 바이오및뇌공학과장 등 40여 명의 내∙외빈이 참석할 계획이다. 이상완 CNAI 연구센터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