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응용과학"(으)로 총 1,979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당뇨에 왜 효과 있나 했더니… 2016.02.24
- 당의 전사인자인 PPAR-γ (초록색)가 DNA(보라색)에 결합한 모습. - 위키미디어 제공 국내 연구팀이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Gleevec)’이 당뇨에 효과를 보이는 화학적 원리를 밝혀내 부작용이 적은 당뇨 치료제로 사용될 가능성을 열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최장현 울산과학기술원(UNIST) ... ...
- LED 소자 하나로 백색 빛 첫 개발2016.02.23
- KAIST 연구진이 개발한 형마이크로 크기의 끝이 잘린 피라미드 형태의 복합 구조체. 모든 색을 소자 하나로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다. -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흰색은 물론 다양한 천연색을 만들 수 있는 유기 발광다이오드(LED) 소자 제작에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LED는 조명으로도 쓰이지만 아 ... ...
- 그래핀 위에 인간 줄기세포 배양 첫 성공2016.02.16
- 김정범 교수(가운데)와 이현아 연구원(왼쪽), 남동규 연구원(오른쪽)이 그래핀 지지체(모니터 그림)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UNIST 제공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그래핀 위에서 인간 줄기세포를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 기술로 얻은 줄기세포는 감염 위험이 없다는 점에서 ... ...
- ‘박막(thin film)’은 왜 중요할까2016.02.14
- 사이언스 제공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거품 용액 위에 떠 있는 비눗방울이 장식했다. 바로 ‘박막(thin film)’이 형성되는 순간이다. 비프케 드렌칸 파리-수드대 고체물리학 연구원이 포착한 이 박막의 표면은 빛의 간섭효과에 의해 무지개 색을 띠고 있다. 박막은 인위적으로 가공해서는 ... ...
- 초콜릿, 타원체 상자가 구형보다 꽉꽉 채워져과학동아 l2016.02.14
- 연구자들이 용기에 M&M 초콜릿을 담고 있다. 오른쪽의 사람이 M&M 초코릿을 좋아하는 폴 채킨 박사. 내용물이 어떤 모양일 경우 포장했을 때 가장 많이 담길까. 오랫동안 과학계에서 구형이라고 여겨왔던 것과 달리 타원체인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16세기 위대한 과학자 케플러는 용기 안에 가장 많이 ... ...
- [과학으로 지키는 발렌타인데이 ②] 완벽한 초콜릿을 만드는 방법2016.02.11
- pixabay 제공 발렌타인데이를 맞아 사랑하는 이에게 특별한 초콜릿을 선물하려는 사람이 늘고 있다. 유명한 수제 초콜릿 가게를 찾아가기도 하고, 인터넷 등으로 독특한 조리법을 배워 직접 초콜릿을 만들기도 한다. 과학자들도 더 맛있는 초콜릿을 만들기 위해 풍미와 식감을 높이는 연구를 진행 ...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닥나무 껍질 벗기고, 삶고, 때리고, 풀고… 이게 진짜 韓紙!동아일보 l2016.02.06
- [동아일보] 전통 한지 재현하는 匠人들 새파랗게 얼어가는 겨울 하늘에 종이가 나부낀다. 빨래한 광목 기저귀처럼 내걸린 종이가 매서운 바람을 맞고 펄럭인다. 스치듯 풀 바르고 쿵쿵쿵 방아 찧어 만든 종이가 거의 제 모습을 나타냈다. 종이를 빨랫줄에 내거는 손이 금방 얼어붙는 날씨. 하지만 제 ... ...
-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02.04
- 화석연료가 고갈될 미래, 차세대 연료의 주인공은 누가 될까. 여기, 금속을 말하는 과학자들이 있다. 무슨 뚱딴지 같은 얘기인가 싶지만, 철로 가는 자동차나 알루미늄을 태워 전기를 얻는 발전소를 가능케 할 ‘금속 연료’ 연구는 이미 응용 단계로 접어들었다. GIB 제공 금속 연료라니, 생소하다 ... ...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50년] “추격형에서 선도형으로, 앞으로의 50년에도 기적 이뤄낼 것”2016.02.04
- 이병권 KIST 원장은 새 슬로건 ‘2066, Beyond M.I.R.A.C.L.E’를 소개하며 “KIST가 현재와 미래 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가 모두 들어가 있다”고 말했다.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5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다수 배출한 세계적인 연구소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합니다.” “통일 한국의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 ...
-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①] 달라도 너무 다른 둘2016.02.02
- pixabay 제공 국내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반려동물 1000만 마리 시대’에 접어든 셈이다. 지난해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만 20~64세 국내 성인남녀 3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약 21.8%가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