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응용과학"(으)로 총 1,980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개발 유전자치료제, 美에 560억 원 규모 기술 수출2015.12.06
- 바이로메드가 개발한 면역치료제는 암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는 CAR-T를 T세포에 전달해 특정 암세포만을 공격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국내 벤처기업이 암 치료제 기술을 개발하고 해외 제약회사에 500억 원 규모의 수출 계약을 맺었다. 면역세포가 직접 암을 공격하게 만드는 ... ...
- “코딩이 이렇게 쉽다면 드론도 만들 수 있을 것”2015.12.04
-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열리고 있는 아이루프 체험교실에서 학생들이 태블릿PC로 모형자동차를 구동시키고 있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와, 간다! 비켜, 비켜!” 4일 오전 11시 국립과천과학관 상상홀. 서울 경기 등지 초·중학생 30여 명이 모인 전시장 한 곳이 시끌벅적하다. 열 명 남짓한 학생 ... ...
- ‘코딩’으로 크리스마스트리 전구 켜 볼까2015.12.03
- 스마트폰을 꺼낸다. ‘아이루프(i Loop)’라는 애플리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둥근 ‘루프(Loop)’가 뜬다. 화면에 있는 아이콘을 손으로 끌어와 루프 위에 얹는다. 끝. 크리스마스트리에 걸쳐 놓은 빨갛고 파랗고 노란 발광다이오드(LED) 전구도 이 순서를 따라 쉽게 켤 수 있다. 스마트 ... ...
- KAIST-GIST-DGIST-UNIST ‘업그레이드’, 기업혁신-산학협력 견인차 된다2015.12.02
- KAIST,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울산과학기술원(UNIST) 등 미래창조과학부 산하 4개 과학기술특성화대학(과학기술원)이 신산업 창출 전진기지로 변신한다. 미래부는 1일 서울 중구 동호로 그랜드앰배서더호텔에서 이들 4개 대학의 새로운 역할을 담은 ‘과학기술원 혁신비전 ... ...
-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2015.12.01
- 아주대-한양대 공동연구진이 개발한 수소도핑 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자외선을 이용해 수분을 광분해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첨단 전자제품을 만드는데 쓰이는 산화물 반도체의 전기 전도도를 손쉽게 바꿀 수 있는 방법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전기효율을 크게 높 ... ...
- 뚝딱뚝딱 종이 접어 살아있는 토끼에 이식2015.12.01
- 황석연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권성근 서울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임성갑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 (왼쪽부터 순서대로). - 서울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개구리, 토끼 등 온갖 생물의 모양을 만들 수 있는 종이접기 기법으로 살아있는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황석연 서울대 화 ...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5.11.30
- 2016년 달력이 곳곳에서 보이기 시작했다. 은행과 우체국을 비롯한 여러 기관에서 손님에게 내년 달력을 나눠주고, 멋진 그림을 더한 새 달력이 판매대를 가득 메운다. 하지만 새 달력 구하기를 차일피일 미룬 사람에겐 새해가 밝아도 여전히 작년 달력뿐이다. 날짜와 요일이 고정돼 있다면 어떨까. ... ...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2015.11.26
- 송현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전기가 잘 통하는 촉매를 쓰면 전지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송현곤, 김건태, 곽상규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공기 중의 산소를 이용하는 차세대 전지의 성능이 ... ...
- 전기 만드는 기특한 바이러스를 아시나요2015.11.25
- 길쭉한 모양 때문에 수직으로 쌓기 어려웠던 M13 박테리오파지를 수직으로 쌓자 전기 생산량이 최대 6배까지 증가했다. - 부산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압력을 가하면 전기를 생산하는 바이러스를 이용해 발전소자의 전기 생산 효율을 최대 6배까지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오진우 부산대 나노에너 ... ...
- KAIST 대학생이 학교에 3000만 원을 쾌척한 까닭2015.11.25
- 학교에 3000만 원을 기부한 오승규 학생 - KAIST 제공 KAIST 재학생이 자신이 개발한 애플이케이션(앱·응용프로그램)을 팔아 발생한 수익금 중 일부인 3000만 원을 모교에 기부했다. 주인공은 24일 강성모 KAIST 총장에게 해당 금액을 학교 발전기금을 전달한 전기 및 전자공학부 4학년인 오승규 씨(27). ... ...
이전1671681691701711721731741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