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응용과학"(으)로 총 1,9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크로RNA 생성 열쇠의 3차원 구조, 드디어 밝혔다2016.01.01
- 연구팀이 엑스선결정학을 이용해 밝혀낸 드로셔 단백질의 3차원 구조. - IBS RNA연구단 제공 세포의 증식과 분화는 물론, 면역 반응, 노화와 암에 이르는 생명 현상의 모든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물질인 마이크로RNA의 생성 단계가 더욱 명확하게 밝혀졌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연구 ... ...
- [신나는 공부]세계 무대서 활약할 글로벌 융합인재로동아일보 l2015.12.29
- [동아일보] 한국뉴욕주립대, 경영학과·응용수학통계학과 신설 해외 유학을 가지 않고도 국내에서 우수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외국 학교에 대한 학부모들의 관심이 높다. 자녀의 해외적응 문제, 막대한 유학비용 문제 등을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데다가 외국 본교와 동일한 커리큘럼의 수업을 들으 ... ...
- [카툰 사이언스]아인슈타인 속 닐스보어를 찾아보자!2015.12.26
- 헝가리 만화가 게르게이 두다스의 그림이 요즘 한창 SNS에서 화제인데요, 이를 과학자 버전으로 응용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아 한 번 그려봤습니다. 아인슈타인 속 닐스 보어를 찾아보세요! 아인슈타인 속 보어를 찾아보세요! - 김효정 에디터 제공 ...
- 1g에 120만 원? 초고가 첨단소재 대량생산 가능해졌다2015.12.23
- 질화붕소나노튜브(BNNT)의 구조.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1g당 120만 원이 넘는 고가에 거래되는 첨단 소재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김재우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소재개발부 책임연구원팀은 차세대 나노 소재로 주목받는 ‘질화붕소나노튜브(BNNT)’를 상용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 지난 세 해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필자는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라는 제목으로 그해 타계한 과학자들의 삶과 업적을 뒤돌아봤습니다. 어느새 2015년도 며칠 남지 않았네요. 올 한 해도 여러 저명한 과학자들이 유명을 달리했습니다. 이번에도 마지막 과학카페에서 이들을 기억하는 자리를 마 ... ...
- 내 손에 ‘투명 히터’ 2015.12.21
- 투명전극을 이용해 만든 유연하고 신축성 좋은 피부 부착형 투명 히터. 70%까지 잡아당겨도 온도가 변하지 않고 성능이 유지된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박장웅, 김주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금속의 장점과 유리의 장점만을 결합한 ‘메탈릭 글래스’라는 신소재를 ... ...
- [신나는 공부/에듀칼럼]방학 때 만든 공부습관, 고입 넘어 대입까지 간다동아일보 l2015.12.15
- [동아일보] 올바른 공부습관 만드는 중학생 학습법 매번 새 학기가 되면 방학을 허무하게 보내고 후회하는 학생들이 적지 않다. 새 학기가 되면 달라질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을 품지만, 이미 굳어져버린 학습 방법과 공부 습관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중학교 때 배우는 내용은 고입뿐 아니라 대입 ... ...
- 음악검색 원리 이용해 지진예보한다2015.12.08
- 그레그 베로자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음악검색 프로그램의 동작 원리를 응용해 규모 1이하의 지진인 ‘미소지진’을 찾아낼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 istockphoto 제공 길거리에서 익숙한 멜로디가 흘러나온다. 앱을 켜면 음악 제목이 바로 뜬다. 이런 음악검색 프로그램처럼 지진파를 ... ...
- 은 나노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2015.12.08
- 고현협 교수(왼쪽)와 김진영 교수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무질서한 은 나노와이어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해 고성능 투명 전극을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고현협, 김진영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은 나노와이어를 활용해 전기전도성이 높고 투명한 전극을 만드는 ... ...
- 바퀴벌레는 ‘똥’으로 친구 부른다2015.12.08
- 독일 바퀴벌레의 모습. -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 제공 사라졌다 싶으면 어느새 다시 나타나는 바퀴벌레. 집 안에 바퀴벌레가 자꾸 나타나는 원인은 바퀴벌레 배설물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비 스칼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 교수팀은 바퀴벌레가 장내미생물이 포함된 배설물을 ... ...
이전1661671681691701711721731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