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천문학자 김담, 조선의 우주를 열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274개(98.9%)를 실제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목록표상의 별의 위치는 현재의 것과 조금씩 차이가 있었는데 연구팀은 그 차이를 최소로 만드는 기준시기와 각도를 찾아 그래프 위에 표시했다. 그런 뒤 알마게스트에 수록된 별을 같은 방식으로 분석한 자료와 비교했다. 그 결과 칠정산외편의 별 ... ...
- [핫이슈] 3D 프린터와 아두이노 보드로 화성에서 살아남기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실험실로 복귀했다. 당시의 훈련 경험이 앞으로의 화성 생활에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조금 전 모듈 밖으로 나가 소량의 화성 토양을 수집했다. 우주복을 입고 지름 3μm의 먼지로 이뤄진 화성 표면의 모래밭을 디딜 때 문득 서호주 사막의 모습이 떠올랐다. 서호주 사막에서는 지금 이 순간을 고대하며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동식물이 개발되는 건 인류에게는 혜택일 수 있다. 하지만 대상이 된 동식물의 입장은 조금 다를 수 있다. 자연선택은 생존하기 유리한 방향으로 이뤄지지만, 육종은 오로지 인간의 입맛을 만족시키는 게 목적이기 때문. 예컨대, 가까운 친척 간 교배가 계속될 경우 유전적으로 열성인 기형 자손이 ... ...
- 범인의 신원 정보를 먼지가 알고 있다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65%는 집밖에서도 동일하게 나왔다. 먼지 속에 들어있는 곰팡이의 종류는 지역마다 조금씩 달랐는데, 신기하게도 집안에서 발견된 곰팡이가 집밖에서도 발견되는 비율은 지역과 관계없이 65%가량으로 비슷했다. 집안에 살고 있는 곰팡이균의 절반 이상이 집밖에서 왔다는 뜻이었다. 연구팀은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모양의 평면입니다. 북쪽이 넓은 사다리꼴 모양인 이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어서 조금 안타깝군요. 또 기존 백제 사찰의 목탑이 금당 앞 공간을 1/12 만큼 넓게 차지한 것과 비교해, 정림사는 석탑이 금당 앞공간을 1/100 만큼만 차지합니다. 다른 사찰보다 공간의 여유가 더 있지요. 그리고 금당 ...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보면 게임을 만드는 건 어렵지 않아요. 누구나 조금만 배우면 게임을 만들 수 있답니다. 내가 만든 게임을 내 스마트폰에 넣어 친구들에게 자랑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먼저 게임카페 1기의 이야기부터 할게요. 7월부터 진행된 수학동아 게임카페 1기 활동이 지난 8월 15일 세 번째 수업을 ... ...
- 오감만족 수학 놀이터 군포수학체험관에 가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미끄럼틀보다 길지만, 이 곡선으로 만든 미끄럼틀 위에서는 공의 가속도가 비교적 조금만 줄어든다. 그 결과, 곡선 위에서 공의 속도가 점점 커져서 공이 더 빨리 도착하게 된다.결과를 예측할 수 없는 수학의 재미여러 실험을 마친 독자기자들은 여러 가지 색깔의 실로 작품을 만드는 ...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ATP가 분해되면서 맛있는 성분인 하이포잔틴, 이노신인산, 잔틴 등이 만들어져요. 여기서 조금 더 분해가 일어나면 썩은 냄새를 내는 요산이 만들어지지요. 따라서 맛있는 고기를 먹기 위해서는 요산이 만들어지기 전에 먹는 것이 좋아요. 요리의 비밀 3 다중감각맛있는 음식에 불과 발효의 비밀이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모양과 같다.그럼 내 글씨체로도 폰트를 만들 수 있을까? 사람이 쓴 손글씨는 쓸 때마다 조금씩 달라져 폰트로 표현하기에는 어렵다. 또한, 손글씨를 정확히 표현하려면 1만 1172자를 모두 써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그 대신 최소한의 손글씨 입력으로 개인 서체를 비슷하게 만들수 있는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1. 최초의 인류진화 역사 바뀔까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더구나 아직은 연구 초창기기 때문에, 날레디에 대한 평가도 조금 더 기다려 봐야 한다. 이상희 교수는 “새로운 종인지 여부, 연대, 매장 여부 등을 신중히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PLUS 기원을 흔드는 또다른 문제들호모 날레디 때문에 빛이 바랬지만, 최근 그에 ... ...
이전1861871881891901911921931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