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우리는 8가지의 공식과 음식을 만났습니다. 딱딱하기만 한 수학공식이 여러분에게 조금이나마 쉽게 다가갔길 바랄 뿐입니다. 고독한 미식가의 이야기는 여기까지입니다. 하지만 수학의 맛을 찾아 떠나는 여행이 끝난 건 아닙니다. 언제 어디서든 다시 만날 날을 그리며 인사 드립니다. 그동안 부족한 ... ...
- [참여] 열쇠로 상자 열고, 수학으로 퍼즐 풀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옆에서 지켜본 기자도 정답이라고 생각했지만 출발선 뒤로 가면 안 된다는 조건이 붙자 조금 더 고민을 더 해야 했다.피타고라스의 공간을 지나면 ‘수학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방으로 갈 수 있다. 여기서는 지난 7월호에 소개한 수학예술가 조지하트의 작품 ‘스팀’, 앤드류 크롬프턴의 쪽매맞춤 ... ...
- 이지스함 레이더를 야구에 가져오다, 스탯캐스트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위상을 갖는 전파를 쏴 전파를 집중시키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발신기별로 위상을 조금씩 다르게 하면 하나의 레이더처럼 운용할 수 있다(63p 그림 참조). 이 원리로 위상배열 레이더가 탄생했다. 수많은 미사일의 공격을 동시에 방어하는 구축함인 이지스함에서도 위상배열 레이더를 사용하고 ... ...
- '기쁨'과 '슬픔'은 정말 뇌 안에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08호
- 핵심 역할 할까영화에선 감정 캐릭터들이 모든 의사결정을 내린다. 하지만 실제는 조금 다르다. 정재승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이성과 감성이라는 쌍두마차가 전전두엽을 이끌고 있다”고 말한다. 우리 뇌엔 자동으로 반응하고 빠르게 판단하며 직관적으로 결정하는 ‘감성 시스템’도 ...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일반상대성이론의 우주론적 고찰’. 1917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논문이다. 우주의 탄생과 변화를 일반상대성이론으로 밝힐 수 있다는 점을 처음 발견 ... 필요가 있다. 수많은 사람들의 땀과 노력으로 한 걸음 한 걸음 어려운 걸음을 디디며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는 것, 그것이 과학이다 ... ...
- 볼넷을 사랑한 4번타자, 평가는?과학동아 l2015년 08호
- 1-3 상황에서 볼넷 비율이 60% 정도인데 0-3와 차이가 꽤 크다. 이것은 타자들이 볼카운트가 조금이라도 나빠지면 마음가짐을 바꿔 걸어 나가려고 한다는 증거다.딜레마에 빠진 4번 타자하지만 득점을 위해 아웃카운트를 소모하지 않는 게 항상 최선의 선택은 아니다. 4번 타자라면 멋지게 해결할 줄도 ... ...
- [수학뉴스] 해마 꼬리가 네모난 이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꼬리가 다른 모양입니다. 대부분 원통 모양의 가늘고 긴 꼬리를 가졌지만, 제 꼬리는 조금 특별합니다. 직육면체를 차곡차곡 쌓아올린 모양이지요.연구팀은 당신의 꼬리를 어떻게 관찰했나요?연구팀은 제 꼬리가 다른 동물과 어떻게 다른지 비교하기 위해 3D 프린터를 사용했습니다. 저를 수조에 ... ...
- PART 1 기하학을 품은 브릭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높이스터드 개수가 홀수일 때반면, 1×(2$n$+1)꼴의 스터드 개수가 홀수인 브릭은 상황이 조금 다르다.(예) 1×3 브릭 긴 변의 길이 = 브릭 1개 높이 + 플레이트 4$\frac{1}{2}$개 높이 = 플레이트 7$\frac{1}{2}$개 높이이때는 플레이트 $\frac{1}{2}$개 높이의 브릭이 더 있어야 그 길이가 같아진다. 작품을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아까운 생각이 듭니다. 애써 살찌운 파인애플에게 미안한 마음도 들고 말입니다. 과육을 조금이라도 덜 깎아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없을까요? 파인애플에 숨어 있는 생장 법칙이 보이도록 말이지요.제가 살고 있는 베트남 호치민에서는 시장에 가면 상인들이 파인애플을 산처럼 쌓아놓고 팔아요. 이 ...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00개 이상인 비암호화 RNA는 ‘긴 비암호화 RNA(long non-coding RNA, lncRNA)’라고 부른다. 암에서 조금 더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이쪽이다. lncRNA는 짧은 비암호화 RNA와 달리 보존된 서열을 찾기 어렵다. 하지만 과학자들은 이러한 다양성 때문에 lncRNA를 여러 방면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전1901911921931941951961971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