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시헌력)은 우리나라의 것과 같지 않은 것으로 곧 서양에서 새로 만든 것이었는데, 절기에 조금 앞서거나 뒤진 것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3월을 윤달로 삼는데 시헌력에는 4월이 윤달이다.’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적절한 과학적 근거가 필요했다. 김 교수는 “자신의 주장을 설득시키기 ... ...
- 화성에서 살아남아라, 반드시수학동아 l2015년 10호
- 0(6×161+4×160)을 16진법으로 나타내면 64다. 그런데 111(6×161+15×160)을 16진법으로 나타내려면 조금 문제가 생긴다. 가장 오른쪽에 있는 첫 번째 자리에 두 자리 숫자인 15를 써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16진법에서는 10부터 15까지 수를 알파벳으로 나타낸다. 111을 16진법으로 표현하면 6F다. 와트니는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통산 타율은 0.340 정도로 엄청난 기록이지만, 원정 경기는 0.280 이하로 평범하다. 기록을 조금 더 세세히 살펴보기 위해 연도별 OPS 추세를 살펴보면 홈과 원정의 기록 차이가 뚜렷하다(OPS는 현재 가장 널리 쓰이는 타자 평가 지표다). 보통 OPS가 0.05만 차이가 나도 타격 능력이 한 단계 차이가 난다고 ...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있는 논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현재 수원청개구리는 경기도 김포 등 극히 일부 지역에만 조금 남아 있고, 환경부 멸종위기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돼 보호 받고 있다.장이권 이화여대 에코과학부 교수는 2012년부터 ‘어린이과학동아’가 주도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 ‘지구사랑탐사대’와 함께 ... ...
- [Knowledge] 더 지니어스의 생존법 : 인디언포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결국은 얼마나 거짓말을 잘 하냐의 싸움이다.이 : 방송에서 사용했던 게임을 조금 단순하게 만들어 보자. 실제 인디언포커는 영희 같은 후플레이어가 배팅 금액을 늘릴 수 있어서 수십 번 배팅이 오갈 수 수 있다. 그럴 경우엔 경우의 수가 거의 무한대에 가깝게 커져 계산이 어렵다. AKQ처럼 영희는 칩 ... ...
- [Knowledge] 자존감에 집착하지 마세요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자신이 엄청 난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자존감이 높다. 때문에 주위에서 자신을 조금이라도 인정하지 않으면 불같이 화를 낸다.건강하게 나를 사랑하기이렇게 모래사장 위에 억지로 쌓은 자존감은 늘 불안하다. 겉은 높고 화려할지 몰라도 그 실상은 조악하다. 작은 좌절만으로도 쉽게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진로를 선택할 때 큰 도움이 될 겁니다. 본인이 상상하던 연구가 맞는지 확인했으니까요. 조금이나마 경력을 쌓을 수 있는 것도 매력이고요.“ 교내 활동은 열정적으로, 정리는 차분하게”면접 때는 학생부와 관련된 질문을 많이 합니다. 자기소개서에 적은 교내활동을 확인하는 질문인 경우가 많죠. ...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발견되는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배를 이용해 태평양 위에서부터 조금씩 내려온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보다 급진적인 학자들은 아예 유럽인이 대서양을 횡단해 아메리카에 도착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들은 클로비스 유물이 프랑스 남부 지방의 구석기 문명인 ... ...
- [과학뉴스] “단위 정의, 절대상수로 바꾼다”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때문이죠. 하지만 단위에 대한 정의가 새롭게 정해지면 그와 관련된 새로운 기술들이 조금씩 생겨날 겁니다. 각 나라의 국가표준기관에서 새로운 기술들을 개발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10년 뒤에는 미터협약을 맺은 지 150주년이 됩니다. 측정 표준 분야에는 앞으로 어떤 변화가 올까요.무엇보다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걷는 모든 동작이 고유한 박자를 가진다. 이를 타임키퍼(time keeper)라 하는데,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다. 몸 밖의 또 다른 리듬을 만나면 타임키퍼는 외부의 리듬을 따라가게 된다. 규칙적인 박자 소리를 내는 도구인 메트로놈을 여러 대 같이 놓으면 전부 같은 박자를 가지고 움직이게 되는데, 이것 ... ...
이전1871881891901911921931941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