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
수학동아
l
2018년 07호
찢고 진실과 행복이 존재하는 미래로 갈 수 있을까? 수비학★수와 인간, 문화, 사물
사이
의 연관성을 공부하는 학문. 우주 만물을 수로 표현하려 노력했던 피타고라스를 수비학의 아버지라 부른다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경우가 있었다. [하트 시그널 3] 몸의 시그널 ‘배꼽의 법칙’ 두 여성 입주자
사이
에 앉은 남성 입주자의 몸이 한쪽 방향으로 향한다. 양 원장은 이에 대해 ‘배꼽의 법칙’이라며 배꼽이 향하는 방향이 호감의 방향이라고 해석했다.배꼽은 ‘몸통의 뇌’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할을 한다.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최대한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온도, 즉 영하 약 100도에서 영하 약 50도
사이
에서 식재료를 얼리면 어떤 재료든 곱게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덱스트린 가루에 물 뿌려 굳혀일반 3D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가루 잉크를 인쇄하려면 접착제 역할을 하는 먹을 수 있는 액체가 필요하다.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어렵다는 말도 덧붙인다. 불량엄마의 삐딱한 화학 세상 ‘밀당’은 흔히 남녀
사이
의 미묘한 심리싸움을 뜻한다. 좋아하는 것처럼 행동하다가, 또 어느 때보면 아닌 것도 같아 매력을 끊임없이 상기시키는 일종의 연애 기술이다. 학문에도 밀당이 있다면, 화학은 밀당을 가장 잘 하는 학문이 ... ...
[가상인터뷰] 네안데르탈인은 예술가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사피엔스’와 가까운 ‘네안데르탈인’이라고 해. 약 13만 년 전에 등장해서 2~4만 년 전
사이
에 멸종된 구인류로 알려졌지. 1856년에 독일의 ‘네안데 계곡’에서 내 뼈가 처음으로 발견된 후, 이 지역의 이름을 따서 네안데르탈인이라는 이름이 붙었어. 우리 뼈를 토대로 키를 추측했더니 남자의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1984년 처음 구상을 시작한 이후 1998년에야 첫 삽을 떴다. 완공까지는 10년이 걸렸다. 그
사이
여러 번 중단 위험이 있었다. 6월 지방선거 동시 개헌은 무산됐지만, 개헌을 통해 과학계가 담고 싶은 내용은 하나다. 과학기술의 목적이 단지 ‘먹거리 창출’ 또는 경제 발전의 수단에 그치지 않는다는 ... ...
[과학뉴스] 배터리 필요 없는 ‘스마트 장난감’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장난감에 마찰전기를 생산하는 나노 발전기를 달았다. 나노 발전기는 알루미늄 전극
사이
에 친환경 실리콘 필름을 끼워넣어 만들었다. 여기에 마찰을 가하면 알루미늄에 대전된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가 발생한다. 연구팀이 만든 스마트 장난감은 고무 오리를 개조한 ‘스마트 오리(SDT-TENG)’와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담 독일 포츠담대 교수팀은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
사이
언스’ 4월 27일자에 동시에 발표했다.doi:10.1126/science.aat2010 연구팀은 원거리 지진자료와 인공위성 레이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해 역시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두 마리의 피부를 각각 벗겨내 팔목과 발목을 연결하고 피부를 꼼꼼히 꿰매면 두 쥐
사이
에 작은 혈관들이 생기면서 결국 두 쥐는 피를 공유하게 됩니다(위 사진). 1967년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병원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쥐 A와 B를 붙여 놓은 뒤, 쥐 A의 간 30%를 잘라냈습니다.doi: 10.1126/science.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3색으로만 칠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점 D와 점 G의 색이 같아집니다. 그런데 앞서서 두 점
사이
의 거리는 1이라고 했기 때문에 모순이 생기고 맙니다. 결국 4색은 돼야 하지요. 에르되시도 인정한 좋은 문제이제까지 색의 수가 너무 적으면 절대 칠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결과만 소개했습니다.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