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ICHEP2018] 한 단계 도약할 韓 입자물리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조건에 부합하기 때문이다.윔프에 대한 이론은 1977년 암흑물질의 존재가 물리학자들
사이
에 막 알려지기 시작하던 때, 이휘소 박사와 스티븐 와인버그 교수의 초기 우주론 논문에서 나왔다.지하실험연구단을 이끄는 김영덕 단장(ICHEP2018 공동조직위원장)은 2003년부터 강원 양양군 양수발전소 지하 70 ... ...
[Future] 랍스터 하나 주문이요~ 음식도 3D 프린팅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최대한 신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온도, 즉 영하 약 100도에서 영하 약 50도
사이
에서 식재료를 얼리면 어떤 재료든 곱게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덱스트린 가루에 물 뿌려 굳혀일반 3D 프린터와 마찬가지로 가루 잉크를 인쇄하려면 접착제 역할을 하는 먹을 수 있는 액체가 필요하다.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LED 소자를 제작할 때 공정에 문제를 일으켜 수율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질화갈륨과 공기
사이
의 큰 굴절률 차이도 문제입니다. 많은 양의 빛이 LED 소자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소자 내에서 흡수돼 손실되기 때문입니다. 필자가 속한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수십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 ...
[이투스교육] 경이로운 생명 시스템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해도 반응 경로가 달라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왜 동일한 반응 물질과 생성 물질
사이
에서 이렇게 다른 반응 경로가 나타날까? 그 이유는 생명체 내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인 물질대사에는 ‘생체 촉매’가 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촉매란 반응 과정에서 소모되거나 변화하지 않으면서 반응 속도를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발톱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개구리발톱은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제주도에서 살고 있는 식물이에요. 3~5월
사이
하얗고 작은 꽃을 피우는데, 살짝 분홍빛을 띠기도 하지요. 개구리발톱이란 이름을 갖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어요. 하지만 모두 한 부분이 개구리의 발가락을 닮았다는 데서 유래했지요. 줄기 가장 ... ...
[에디터 노트] ‘Big Science’의 고충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1984년 처음 구상을 시작한 이후 1998년에야 첫 삽을 떴다. 완공까지는 10년이 걸렸다. 그
사이
여러 번 중단 위험이 있었다. 6월 지방선거 동시 개헌은 무산됐지만, 개헌을 통해 과학계가 담고 싶은 내용은 하나다. 과학기술의 목적이 단지 ‘먹거리 창출’ 또는 경제 발전의 수단에 그치지 않는다는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담 독일 포츠담대 교수팀은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
사이
언스’ 4월 27일자에 동시에 발표했다.doi:10.1126/science.aat2010 연구팀은 원거리 지진자료와 인공위성 레이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해 역시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두 마리의 피부를 각각 벗겨내 팔목과 발목을 연결하고 피부를 꼼꼼히 꿰매면 두 쥐
사이
에 작은 혈관들이 생기면서 결국 두 쥐는 피를 공유하게 됩니다(위 사진). 1967년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병원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쥐 A와 B를 붙여 놓은 뒤, 쥐 A의 간 30%를 잘라냈습니다.doi: 10.1126/science.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그간 다양한 연구에서 세로토닌과 베타엔돌핀,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과 강박장애
사이
에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사람의 경우에는 뇌 영상 연구를 통해 특정 신경회로 영역에 문제가 있을 때 강박장애가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즉 강박장애는 ‘마음의 병’이 아니라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3색으로만 칠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점 D와 점 G의 색이 같아집니다. 그런데 앞서서 두 점
사이
의 거리는 1이라고 했기 때문에 모순이 생기고 맙니다. 결국 4색은 돼야 하지요. 에르되시도 인정한 좋은 문제이제까지 색의 수가 너무 적으면 절대 칠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결과만 소개했습니다. ... ...
이전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