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담 독일 포츠담대 교수팀은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를 ‘
사이
언스’ 4월 27일자에 동시에 발표했다.doi:10.1126/science.aat2010 연구팀은 원거리 지진자료와 인공위성 레이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해 역시 포항지진이 유발지진일 가능성이 높다는 주장을 제시했다. 일반적으로 ... ...
[프리미엄 리포트 Part 2] 나라의 동맥과 정맥 교통 인프라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북한을 관통하고, 러시아와 유럽까지 달리는 노선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강릉과 제진
사이
104km 구간이 단절돼 있다. 박 실장은 “남북 철도를 시베리아횡단철도, 중국횡단철도 등 대륙 철도와 연계하면 동북아시아를 순환하는 공동화차를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은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단위가 됐다. 암페어가 기본 단위로 지정된 이유가 뭘까. 암페어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사이
에 힘이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한 프랑스 물 리학자 앙드레 마 리 앙 페르(Ampere)의 이름에서 따왔다. 당시에는 전류가 다른 단위에 비해 다양한 물리현상을 수치화 해 계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고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두 마리의 피부를 각각 벗겨내 팔목과 발목을 연결하고 피부를 꼼꼼히 꿰매면 두 쥐
사이
에 작은 혈관들이 생기면서 결국 두 쥐는 피를 공유하게 됩니다(위 사진). 1967년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병원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쥐 A와 B를 붙여 놓은 뒤, 쥐 A의 간 30%를 잘라냈습니다.doi: 10.1126/science.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바르셀로나는 2명의 선수 리오넬 메시와 세르히오 부스케츠가 허브 역할을 해서 선수들
사이
의 거리의 합이 줄었어. 그래서 패스 거리가 짧으니까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패스를 할 수 있던 거지. FC바르셀로나처럼 삼각형이 많은 포메이션을 구상해야 겠어! 대형을 유지하라!포메이션을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3색으로만 칠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점 D와 점 G의 색이 같아집니다. 그런데 앞서서 두 점
사이
의 거리는 1이라고 했기 때문에 모순이 생기고 맙니다. 결국 4색은 돼야 하지요. 에르되시도 인정한 좋은 문제이제까지 색의 수가 너무 적으면 절대 칠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결과만 소개했습니다. ... ...
기하학 입은 패션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디자인과 크게 관련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알고 보면 둘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친구
사이
입니다. 김혜경 동덕여자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교수는 “패션 디자인에서 기하학은 기본이다”라고 설명했습니다. 옷을 만들려면 사람의 몸을 잘 이해해야 하는데, 몸은 기하학의 기본 도형으로 나눠서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일관성을 측정하지요. 개별 항목의 분산을 전체 항목의 총 분산으로 나눈 값이 0에서 1
사이
값을 가집니다. 1에 가까울수록 신뢰도가 높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0.6~0.7부터 허용할 만한 신뢰도로 봅니다. 노스 교수팀은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설문 성실도까지 조사해 제대로 대답하지 않은 사람의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선수는 “경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식기술이 크게 5가지 정도가 있다”며 “넘기는 힘(
사이
드 프레셔), 당기는 힘(백 프레셔), 내리 누르는 힘(다운 프레셔), 들어 올리는 힘(업 프레셔)을 적절히 써야 한다”고 말했다(아래그림 참조). 김영관 전남대 체육교육과 교수는 이러한 기술이 근신경학적 ... ...
[Culture] 우리 개가 꼬리를 물어뜯으며 빙빙 돌아요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그간 다양한 연구에서 세로토닌과 베타엔돌핀,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과 강박장애
사이
에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사람의 경우에는 뇌 영상 연구를 통해 특정 신경회로 영역에 문제가 있을 때 강박장애가 나타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즉 강박장애는 ‘마음의 병’이 아니라 ... ...
이전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