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1인칭 슈팅게임의 생명 밸런스 디자인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고스란히 나타난다”며 “인간의 본능과 심리를 게임에 입히면 유저와 캐릭터 사이의 동질감도 높아져 게임에 훨씬 더 몰입한다”고 말했다. 그래서 FPS의 경우 게임 설계 시 좌회본능(오른손잡이 본능)도 고려한다. 좌회본능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른손잡이인 만큼 좌회전을 훨씬 편안하게 ... ...
- [Culture] 얼음결정과 유지방의 ‘밀당’ 아이스크림&셔벗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상태가 고체, 액체, 기체 중 어느 것인지 묻는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고체와 액체 사이에서 대답을 망설일 겁니다. 사실 아이스크림은 고체(얼음결정)와 액체(영하 25도 아래에서도 얼지 않는 비동결 수분), 그리고 기체(기포)를 모두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고체 거품(solid foam)’이라고도 합니다. ... ...
- [과학뉴스] 딱정벌레가 가르쳐 준 하얀색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키포칠루스(Cyphochilus )’라는 딱정벌레에 주목했어요. 이 딱정벌레는 흰 곰팡이 사이에서 위장할 수 있는 매우 얇은 하얀 껍데기를 가지고 있어요. 그런데 키포칠루스 딱정벌레의 흰색은 화학물질이 아니라 껍데기의 특별한 구조가 빛을 불규칙하게 반사 하면서 만들어져요. 이를 ... ...
- Part 2. [스마트 바퀴1] 모양을 바꾸면 성능 UP!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이용해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법이에요. 이 방법을 적용하면 공 모양의 바퀴와 자동차 사이에 틈이 생겨요. 그럼 바퀴가 차에 고정돼 있으면서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지요. 또 승차감도 좋아져요. 몸체가 타이어와 떨어져 있어 울퉁불퉁한 도로를 지나더라도 타이어가 받은 충격이 차로 전달되지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찢고 진실과 행복이 존재하는 미래로 갈 수 있을까? 수비학★수와 인간, 문화, 사물 사이의 연관성을 공부하는 학문. 우주 만물을 수로 표현하려 노력했던 피타고라스를 수비학의 아버지라 부른다 ... ...
- 수학동아 단독 특별전시회, 수학으로 피운 꽃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계산하고 서로 다른 생물을 비교하며 종의 특징을 파악했고, 나선 구조와 생물 구조 사이의 관계도 찾았죠. 무라야마는 톰프슨의 연구 중 특히 식물의 ‘수리적 성장 패턴’에 영감을 얻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해바라기로 작품을 만들 때 꽃에 나타나는 피보나치 수열을 썼고, 식물 모양을 정할 ... ...
- Part 3. 힐베르트 뼈 때리는 '불완전성 원리'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말한 대로 수학이 완전하다면, 이 문제는 같은 수 체계에서 실수 집합과 자연수 집합 사이에 있는 어떤 수 집합이 있는지 무조건 증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1931년, 괴델이 이것을 증명도 부정도 할 수 없는 명제라며, 수학에서 증명도 부정도 할 수 없는 명제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정리를 ... ...
-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이유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맞게 적응하면서 지금의 코 모양이 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거죠. Qst-Fst 비교법★집단 사이의 유전 정보 차이를 나타낸 값을 비교해, 특정 생김새가 유전자의 무작위성과 자연선택 중 어느 쪽에 영향을 많이 받았는지 추론하는 유전통계학 분석 방법. 연구를 이끈 아슬란 자이디는 “우리 연구는 ... ...
- [Culture] 신호를 보내~ 시그널 보내~ ‘하트시그널’의 심리학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경우가 있었다. [하트 시그널 3] 몸의 시그널 ‘배꼽의 법칙’ 두 여성 입주자 사이에 앉은 남성 입주자의 몸이 한쪽 방향으로 향한다. 양 원장은 이에 대해 ‘배꼽의 법칙’이라며 배꼽이 향하는 방향이 호감의 방향이라고 해석했다.배꼽은 ‘몸통의 뇌’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할을 한다. ... ...
- [Origin] 미래를 비추는 빛, LED과학동아 l2018년 07호
- LED 소자를 제작할 때 공정에 문제를 일으켜 수율을 크게 떨어뜨립니다. 질화갈륨과 공기 사이의 큰 굴절률 차이도 문제입니다. 많은 양의 빛이 LED 소자 외부로 나가지 못하고 소자 내에서 흡수돼 손실되기 때문입니다. 필자가 속한 윤의준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은 수십 나노미터 두께의 얇은 ... ...
이전1971981992002012022032042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