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파장을 재는 방식으로 당분을 확인한다. 과당은 700~25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사이
의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과일에 빛을 쪼인 뒤 반사돼 나온 빛에 포함된 근적외선이 줄어든 만큼 과일 안에 당이 들어있다는 뜻이다. 딸기의 경우 다른 과일에 비해 육질이 약한 데다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입장이다. 4월 25일 김광희 부산대 교수팀과 스위스-독일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
사이
언스’에 논문을 발표하고 지열발전소 건설에 따른 유발지진 가능성을 제기하자 연구단은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이런 입장을 공식화했다. 연구단은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지열발전과 포항지진이 연관돼 있을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지도 모른다. 김 박사는 급하게 계산식을 입력하고 실행 아이콘을 눌렀다. 그러는
사이
에 시간은 4분이나 지나 있었다. 김 박사는 자신을 기다리는 실장이 화를 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겁을 내며 평소 보다 세 배 빠른 걸음으로 실장의 방에 갔다.“응, 김 박사. 김 박사가 e메일 보낸 것 봤는데. ... ...
Part 2. 전술을 분석하라!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바르셀로나는 2명의 선수 리오넬 메시와 세르히오 부스케츠가 허브 역할을 해서 선수들
사이
의 거리의 합이 줄었어. 그래서 패스 거리가 짧으니까 더 정확하고 효율적인 패스를 할 수 있던 거지. FC바르셀로나처럼 삼각형이 많은 포메이션을 구상해야 겠어! 대형을 유지하라!포메이션을 ... ...
아마추어 수학자의 활약! 평면 채색수 문제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3색으로만 칠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점 D와 점 G의 색이 같아집니다. 그런데 앞서서 두 점
사이
의 거리는 1이라고 했기 때문에 모순이 생기고 맙니다. 결국 4색은 돼야 하지요. 에르되시도 인정한 좋은 문제이제까지 색의 수가 너무 적으면 절대 칠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결과만 소개했습니다. ... ...
Part 1. 역사에 이름을 남긴 아마추어
수학동아
l
2018년 06호
얼마나 많은 논문을 썼을까요? 놀랍게도 정답은 ‘1!’ 단 한 편이랍니다. 수학은 변호
사이
자 지방 의원이었던 페르마의 취미 생활이었거든요. 페르마는 틈틈이 생각나는 것을 노트나 책 귀퉁이에 낙서처럼 썼어요. 그리고 친구들과 편지를 주고받으며 자신의 발견을 알렸죠. 그런 짤막한 내용이 ... ...
Part 4. 분류부터 배송까지, 물류 군집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통해 명령해요. 그러면 키바는 땅바닥에 붙어 있는 QR코드들을 지도삼아 선반과 작업자
사이
를 이동하지요. 물품이 가득한 선반은 무겁지만 키바는 최대 약 450kg까지 들어 올릴 수 있답니다(대형 키바는 최대 약 1.3t까지). 키바 덕분에 물건을 찾아서 포장 상자에 넣는 시간이 60~75분에서 30분 이내로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선수는 “경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식기술이 크게 5가지 정도가 있다”며 “넘기는 힘(
사이
드 프레셔), 당기는 힘(백 프레셔), 내리 누르는 힘(다운 프레셔), 들어 올리는 힘(업 프레셔)을 적절히 써야 한다”고 말했다(아래그림 참조). 김영관 전남대 체육교육과 교수는 이러한 기술이 근신경학적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두 마리의 피부를 각각 벗겨내 팔목과 발목을 연결하고 피부를 꼼꼼히 꿰매면 두 쥐
사이
에 작은 혈관들이 생기면서 결국 두 쥐는 피를 공유하게 됩니다(위 사진). 1967년 미국 하버드의대 매사추세츠병원 연구팀은 이런 방식으로 쥐 A와 B를 붙여 놓은 뒤, 쥐 A의 간 30%를 잘라냈습니다.doi: 10.1126/science.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않는 것도 수온 약층의 특징이다. 때문에 수온 약층의 위층인 혼합층과 아래층인 심해층
사이
에서 물질 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깊이에서는 잠수함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다. 수심 약 700m 이상인 심해층은 전체 해수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태양에너지가 거의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