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제일 잘 나가, ‘과일의 제왕’ 딸기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파장을 재는 방식으로 당분을 확인한다. 과당은 700~25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사이의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다. 그래서 과일에 빛을 쪼인 뒤 반사돼 나온 빛에 포함된 근적외선이 줄어든 만큼 과일 안에 당이 들어있다는 뜻이다. 딸기의 경우 다른 과일에 비해 육질이 약한 데다 ... ...
- [Issue] ‘한반도 훈풍’에 환율 하락 기업 이익은 오히려 늘어난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순매수(누적)와 환율의 흐름을 같이 표시한 아래 그래프를 보면, 환율과 외국인 매매 사이에 매우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음을 한 눈에 알 수 있다. 이유는 어쩌면 지극히 당연하다. 외국인이 한국 주식을 사기 위해서는 보유하던 외화(달러 혹은 유로, 엔 등)를 외환시장에서 매도하고 이를 원화로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않는 것도 수온 약층의 특징이다. 때문에 수온 약층의 위층인 혼합층과 아래층인 심해층 사이에서 물질 교환이 일어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깊이에서는 잠수함이 안전하게 다닐 수 있다. 수심 약 700m 이상인 심해층은 전체 해수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태양에너지가 거의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유체의 힘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마치 바짝 마른 스펀지에 물을 부으면 스펀지에 빈 공간 사이로 물이 스며들어가 움직이며 모양이 변하는 것처럼 말이다. 어떤 물질에 변화가 일어나더라도 에너지나 질량은 보존된다. 예를 들어 커피 100이 다른 형태로 변해도 커피는 어떤 형태로든 100만큼 ... ...
- [식물 속 동물 찾기] 개구리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개구리발톱은 우리나라 남부 지방과 제주도에서 살고 있는 식물이에요. 3~5월 사이 하얗고 작은 꽃을 피우는데, 살짝 분홍빛을 띠기도 하지요. 개구리발톱이란 이름을 갖게 된 데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있어요. 하지만 모두 한 부분이 개구리의 발가락을 닮았다는 데서 유래했지요. 줄기 가장 ... ...
- [과학뉴스] 배터리 필요 없는 ‘스마트 장난감’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장난감에 마찰전기를 생산하는 나노 발전기를 달았다. 나노 발전기는 알루미늄 전극 사이에 친환경 실리콘 필름을 끼워넣어 만들었다. 여기에 마찰을 가하면 알루미늄에 대전된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가 발생한다. 연구팀이 만든 스마트 장난감은 고무 오리를 개조한 ‘스마트 오리(SDT-TENG)’와 ... ...
- [시사기획 Part 2] 내년 2월 결과 발표, 정부 연구단 “조사 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입장이다. 4월 25일 김광희 부산대 교수팀과 스위스-독일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논문을 발표하고 지열발전소 건설에 따른 유발지진 가능성을 제기하자 연구단은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이런 입장을 공식화했다. 연구단은 당시 보도자료를 통해 “지열발전과 포항지진이 연관돼 있을 ... ...
- [Culture] 체육대회 묵시록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지도 모른다. 김 박사는 급하게 계산식을 입력하고 실행 아이콘을 눌렀다. 그러는 사이에 시간은 4분이나 지나 있었다. 김 박사는 자신을 기다리는 실장이 화를 내고 있는 것은 아닐까 겁을 내며 평소 보다 세 배 빠른 걸음으로 실장의 방에 갔다.“응, 김 박사. 김 박사가 e메일 보낸 것 봤는데. ... ...
-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많은 사람들이 진로를 두고 고민할 때 좋아하는 일, 선망하는 일과 자신이 잘 하는 일 사이에서 갈등하기 마련이다. 여 교수는 진로를 고민하는 학생들에게 조언할 때 자신이 어떤 과목을 잘 하는지, 뭘 잘 하는지 생각해 보라고 권하는 편이다. 여 교수는 “선망하는 일보다는 잘 하는 일을 선택한 ... ...
- Part 3. 정신력으로 무장 하라!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전공할 정도로 똑똑했어. 대학교에서 배운 ‘사이버네틱스’를 축구에 적용해서 선수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가 팀 전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지. 로바놉스키 감독이 주장했던 내용 중 흥미로운건 선수 개인이 경기장 위에서 보여주는 노력의 총 합이 커질수록 팀의 경기력이 올라가는 게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