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스페셜
"
뒤
"(으)로 총 3,93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규 확진 114명 사흘 연속 세자릿수...전세계 사망자 곧 100만명
동아사이언스
l
2020.09.25
37일 연속 세 자릿수를 기록해왔다. 지난 3일부터 19일까지 17일 연속 100명대를 기록한
뒤
지난 20~22일 사흘 연속 두 자릿수로 떨어졌다. 하지만 지난 23일 다시 100명대로 올라선 이후 이날까지 100명대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날 신규 확진자 114명 중 95명이 지역발생이다. 서울 56명, 경기 26명, 인천 ... ...
제프 베이조스의 '블루 오리진', 로켓 발사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9.25
발사 시각을 100분 늦추겠다며 한 차례 발사를 연기했다. 하지만 기상 여건이 나아진
뒤
에는 로켓에 실린 과학 실험장비에 전원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 문제가 추가로 확인되면서 발사 30분 전 최종적으로 발사 연기를 결정했다. 이번 발사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유인 달 탐사 프로그램인 ... ...
"온라인에서 새로운 과학체험 플랫폼 가능성 봤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5
올해 온라인 공간에서 열렸다. 체험 희망자에게 과학키트를 직접 집으로 배송한
뒤
온라인 영상으로 과학의 원리를 직접 배울 수 있도록 했고 다양한 과학강연, 문화공연을 온라인으로 진행했다. 유 관장은 “과거에는 체험 부스를 마련해 과학관 방문자들에게만 체험 기회를 제공해 방문하지 ... ...
코로나19 항체 진단키트 표준화할 기준 수치 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기준 수치를 표준화된 단위로 정립한다는 계획이다.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약 일주일
뒤
에는 환자의 몸에 바이러스 단백질 일부를 인지하는 면역 단백질인 이뮤노글로불린M(IgM)과 이뮤노글로불린G(IgG) 항체가 형성된다. 이 중에서 IgG 항체의 기준 수치를 표준화해 항체 테스트의 정확도를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둔클레오스테우스는 이 같이 강력한 턱을 0.02초만에 입을 벌려 먹이를 빨아들인
뒤
톱날 같은 이빨로 잘게 잘라 삼켰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개발한 둔클레오스테우스 과학교육키트의 모습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전시 제작을 총괄하고 교육키트 개발을 주도한 이항재 선임연구원은 ... ...
블루오리진, 24일 우주여행용 로켓 뉴셰퍼드 올해 첫 시험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이후 9개월 만의 발사이며 올해로 따지면 첫 발사다. 뉴 셰퍼드 로켓이 지난해 발사
뒤
착륙하는 모습. 블루오리진 제공 이번 발사에는 착륙센서와 궤도이탈 센서, 하강탐지 센서 시제품 등 총 12개의 탑재물이 실린다. 뉴 셰퍼드 외부에 장착될 예정이다. 이 장비들은 정밀 착륙기술에 필요한 ... ...
[코로나19 연구속보] 코로나 진단, 타액 취합 검사도 시간·비용 측면에서 충분히 유용
2020.09.24
침과 면봉을 통해 시료를 채취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코로나19 판정을 받은 1~5일
뒤
면봉을 통해 채취한 시료의 71%가 양성이 나온 것과 비교해 침을 통해 확보한 시료 81%도 양성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침 시료와 코에서 면봉을 통해 채취한 시료가 비슷한 수준의 유사한 민감도를 가진 ... ...
국가대표급 실력 AI 컬링 로봇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그 결과를 바탕으로 컬링 스톤을 던지는 데 필요한 힘과 방향, 회전 등을 결정한
뒤
스킵 로봇 반대편의 투구로봇에 전달하면 투구로봇이 적절한 움직임을 가해 스톤을 민다. 이 교수는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빠르게 적응하는 새로운 심층 강화 학슴 기술을 개발했다”며 “정보가 적고 ... ...
23일 새벽 떨어진 별똥별 정체는 두 차례 폭발한 '파이어볼'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통해 촬영된 후 공개된 동영상을 보면 불덩어리가 꼬리를 길게 낸 채 하늘을 가로지른
뒤
사라지는 광경이 선명하게 찍혔다. 우주물체관측 임무를 수행하는 한국천문연구원은 “23일 새벽 1시 39분 경기와 충청 지역 일대에서 화구가 목격됐다”며 “유성체는 대기권에 진입 후 낙하하는 동안 두 ... ...
가볍고 튼튼한데 잘 늘어난다…이런 스테인리스 강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동시에 해결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스텐인리스강이 1910년대 처음 개발된
뒤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 만틈 경량 스테인리스강도 다방면에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이전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