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뒤"(으)로 총 6,366건 검색되었습니다.
- 메갈로돈이 멸종한 이유기사 l20211109
- 주 먹이였던 고래들이 극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먹이 부족으로 멸종했다고 주장하며 그레이 모건 박사를 지지합니다. 그리고 그 뒤에도 여러 고생물학자들도 같은 주장하면서 메갈로돈의 멸종은 기후변화와 고래의 이주로 굳혀지는 듯 했습니다. 하지만 2016년, 카타리나 파미엔토 박사의 새로운 주장이 등장합니다. 파미엔토 박사의 주장은 메갈로돈이 12도 ...
- [다이노 월드-12] 공룡의 최후기사 l20211109
- 뒤, 식물을 먹던 초식공룡들이 먼저 멸종하고 마지막으로 초식공룡을 먹던 육식공룡이 차례대로 멸종했다는 설입니다. 운석이 충돌한 뒤 충경으로 화산 폭발이 시작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4. 기후변화설 공룡이 멸종한 백악기의 말기에는 위험한 독가스인 메테인으로 이루어진 초식공룡들의 방귀 등으로 인해(이것이 따로 '방귀설' 로 분류될 때도 ...
- 새빨간 입술젤리 책소개 (Book소리 )기사 l20211109
- 있는데요. 너무 오래전에 당첨되고 글쓰는 걸 까먹고 있다가 이제야 생각났네요. 그리고 스포일러 될 수있으니 원치 않는 분은 뒤로가기를 눌러주세요. 그럼 죄송하다는 말씀 드리고, 시작하겠습니다. (이사진은 직접 찍었습니다) 주인공 이솔이는 떡볶이집에서 떡볶이를 먹었다. 아줌마가 파마된 것이 잘 어울리냐고 물었다. 떡볶이집 아줌마 ...
- 그림(이라고 쓰고 망한 거라고 읽는 것) 쿸런 이야기 특별편 스포 주의포스팅 l20211109
- 유용하네요 이 송편 사진...ㅋㅋ 미방입니다 쿸이 특별편 스포 안 받고 싶은 분들은 뒤로가기 누르십쇼 3 2 ...
- 괜찮아 #5포스팅 l20211109
- .시죠?” 운은 경계하며 물었다. “누구겠니? 네가 날 모를 거라고 생각되진 않는데. 나, 아리아나야.” 운은 멈칫하였다. 그리고 뒤돌아 검은 망토로 둘러싸인 여자에게 나지막히 말했다. “왜, 왜 쫓아오는데. 우리 가족을 죽이고도 왜 나를 계속 쫓아오는데. 왜 그렇게 내 힘이 갖고 싶은데.” 그 순간 운은 바들바들 떨며 분노하는 듯 했다 ...
- [쥬라기 월드-1] 얼어붙은 볏의 소유자, 크리올로포사우루스기사 l20211108
- 계신가요? 100여개의 잔해 중 가장 완벽한 화석 몇 개를 복원한 결과, 손바닥이 뒤를 향해 있는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이 화석들이 손을 뒤로 뻗고 죽었다 하기에는 좀 극단적이기 때문에 좀 더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크리올로포사우루스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신기한 특징을 가진 크리올로포사우루스의 진짜 모습은 과연 ...
- 신비한 가을 도서관/3,4화포스팅 l20211108
- 선생님:어떻게 100점인 사람이 1명 밖에 없나요?! 모두:네!?!?! 누가 100점인데요!! 선생님:미리입니다! 모두:이게 머선 129? 집으로 온 뒤 미리:진짜였어..다른 책 빌려가도 되나? 4화 미리는 가을 도서관으로 간다. 호린:안녕하세요. 미리:다른 책 빌리러 왔어요! 호린:그럼 천천히 둘러보세요. 미 ...
- 우리는 탐정부 학생입니다 2기 #06포스팅 l20211108
- 똑같은 로봇을 두고 먼저 몰래 나간 것 뿐야! 시간도 딱딱 맞잖아," 채린시점 규희의 그 두마디의 깜짝 까무러치게 놀랐다 그리고 뒤로 다리의 힘이 풀려 자빠졌다. '이럴 때가 아냐.증거는 모았으니 범인을 체포해야 돼.' 그리고 힘을 주고 일어났다. "얘들아 내 생각에는 웬지 카페 아저ㅆ.. 아니 로봇은 이 마을을 떠날것 같아. 지 ...
- 一月傳(일월전) 제 21장 : 밝혀진포스팅 l20211108
- 털며 까칠한 표정으로 미르에게 물었다. 곧이어 하나둘씩 나타난 란유와 현무까지 왜 불렀냐는 듯이 환멸의 표정을 지었지만 뒤를 돌고 보이는 미르의 딱딱히 굳은 어두운 표정을 보고 덩달아 얼굴을 굳혔다. 한성이 사라졌을 때와 같은 표정. 오늘로서야 2번째로 보는 그 초조하면서도 불안감이 가득 멤도는 미르의 표정. 눈을 한 번 꾹 감았다 뜬 미르가 ...
- 공룡의 유래기사 l20211107
- 공룡에 관한 페러다임을 붕괴시키는 현상을 일으켰습니다. 오스트롬은 이들에게 '데이노니쿠스 엔티르호푸스' 라는 이름을 붙인 뒤 연구를 계속 진행한 결과, 데이노니쿠스의 골격이 새와 상당히 유사하다는 점도 알아냈습니다. 또, 오스트롬은 시조새의 골격을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시조새의 골격도 연구해본 결과, 오늘날 새들이 날 때 사용하는 창사골을 ...
이전2042052062072082092102112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