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가노이드, 동물을 살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일주일 정도 줄기세포를 실험실에서 키우자, 약 0.5mm 크기의 세포 덩어리로 자라났어. 그 뒤 여기에 상피세포로 분화하도록 만드는 물질을 넣어 뱀독을 분비하는 오가노이드를 만드는 데 성공했지. 오가노이드에서 분비된 독은 실제 뱀독과 비슷했어. 실험용 쥐의 근육 세포에 오가노이드가 분비한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실패 없는 수학 학원 선택법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수 있습니다. 기대만큼 효과가 없다고 판단하면 학원 선생님과 깊이 대화를 나눠본 뒤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해야 합니다. 수학 실력을 높이기 위해서 어떤 공부를 더 하면 좋을지 선생님과 공동의 목표를 세워 문제를 개선해 나가는 겁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실력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과감히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병렬적으로 처리해 빠르게 분석할 수 있다. ※필자소개 김지윤. 연세대 의대를 졸업한 뒤 동대학원에서 소화기 약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가톨릭대 의대 약리학교실 교수로 재직 중이며, 유전자 관점에서 위와 소장, 대장과 같은 소화기 계통에서 발생하는 질환들의 원인과 치료법을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달리게 하는 기술이다. 터널 속에 진공에 가까운 수준으로 공기를 희박하게 만든 뒤 열차를 달리게 하면 공기에 의한 마찰이 줄어드는 만큼 속도가 빨라진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달릴 때 속도가 2배 증가하면 공기저항은 4배 커진다. 이로 인해 저항력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는 8배 ... ...
- [과학동아 X 긱블] 동물의 숲 주파수 연주기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거라고 볼 수 있습니다.그렇게 회로를 완성하고 마음을 편안히 한 뒤 나비보벳따우를 재생해봅니다. 드르륵드르륵, 소리가 나는 것 같기는 한데 너무 작습니다. 사실 모터에서 나는 소리는 소음이기 때문에 가능한 소리가 나지 않도록 개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 ...
- [스쿨리포트 A+] 과학실 안전과 연구 윤리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연구 윤리 파트에서는 생명존중과 연구 진실성, 지식재산권 등의 내용을 습득한 뒤, 앞으로 수행하게 될 실험 탐구 활동과 관련지어 보고서 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 보고서 작성을 통해 배운 내용은 향후 과학 탐구 실험 활동에 계속 적용해나가야 합니다. 이는 교과 세부 능력 평가에 기록될 수도 ... ...
- [교육뉴스] 초등학생 전용 진로 탐색 서비스 ‘주니어 커리어넷’ 오픈수학동아 l2020년 05호
- 주니어 진로카드를 통해 가치관과 관심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신의 적성을 확인한 뒤에는 ‘진로정보를 찾아봐요’에서 진로 동영상, 미래 직업 정보 등의 콘텐츠로 미래 사회와 직업을 탐색하고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진로고민이 있어요’를 통해 진로, 진학, ... ...
-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020년 2월, 여성들의 신상정보를 알아낸 뒤 성 착취 동영상을 강요한 이른바 ‘n번방 사건’의 공범자 66명이 검거됐다. 이들은 ‘텔레그램*’과 같은 폐쇄적인 메신저를 통해 범죄를 벌였으며, 동영상을 제공하는 대가로 암호화폐를 받았다. ‘박사방’을 비롯해 n번방에서 파생된 여러 텔레그램 방을 ... ...
- [한페이지 뉴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감미료나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24시간 뒤부터 설탕 선호도가 뚜렷해졌고, 48시간 뒤에는 쥐들이 더 이상 인공감미료를 찾지 않았다. 연구팀은 쥐들의 뇌 활성도를 분석했다. 쥐의 뇌에 광섬유를 심고 뇌 신경세포의 칼슘 활성도에 따른 빛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연구팀은 쥐의 장에 포도당을 ... ...
- "원숭이에게 DNA 백신 시험 중"…코로나19 백신 개발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기간이 짧고 생산 비용이 적게 드는 편이다. 그러나 항원 정보를 담은 DNA에서 항원을 만든뒤 항체를 만들어 내기 때문에 면역반응 유발 효과는 다른 백신에 비해 조금 떨어지는 편이다. 현재 미국 모더나와 이노비오, 중국 군사의학연구원 등 해외 연구기관은 대부분 핵산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정부, ... ...
이전2102112122132142152162172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