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막대기를 움직인 건 수맥인가 내 마음인가?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발견된 땅굴은 전부 휴전선 근처에서 발견됐는데, 어느새 서울까지 왔다니요.하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고개를 갸웃하게 됩니다. 회사가 있는 충정로에서 가장 가까운 휴전선까지 거리를 재 봤습니다. 직선으로만40km가 넘더군요. 실제로 땅굴을 팠다면 이보다 더 길겠지요. 제가 땅굴 전문가는 ...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알리기 위해 감옥에서 글을 남기기로 결심하면서 대단원의 막을 내린다.지금부터는 조금 어렵다. 그렇다면 4차원 도형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4차원 도형을 구체적으로 눈에 보이게 만들기는 어렵지만, 1차원 선분에서 2차원 평면도형으로, 또 2차원 평면도형에서 3차원 입체도형으로 차원을 높인 ... ...
- 새벽기차과학동아 l2013년 06호
- 편한 길, 먹을 것을 구할 수 있는 곳이나 몸을 씻을 곳을 아는 것 같다. 그의 경로는 매일 조금씩 정교해졌고 나중에는 그의 바퀴자국을 따라 이동하는 작은 짐승 무리까지 나타났다. 짐승들이 그 사람이 쉬던 자리에서 쉬고 그 사람이 고쳐 놓은 우물에서 물을 마셨다.어떤 사람들은 그가 대단한 ... ...
- [특별인터뷰] 방송도 수학처럼 명쾌하게! 서울대생 최정문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않을 생각이다. 많은 연예인들이 학교를 다니다가 방송 활동을 위해 공부를 중단하지만, 조금 힘들더라도 졸업할 때까지는 학업과 방송을 병행하려고 한다. 방송만큼 지금 공부하고 있는 산업공학도 매력적이기 때문이다. 산업공학은 수학자를 꿈꾸던 초등학교시절부터 다양한 경험을 쌓아오며 ... ...
- 6화 납치된 의사 선생님을 구하라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아니에요.”“네? 무슨 말을 하시려던 것 아니에요? 얘기해 보세요. 선생님을 찾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지도 모르니 빼놓지 말고 말씀해 주세요.”간호사는 잠시 고민하더니 입을 열었다.“수학 기면증 사태 때 가끔 누군가와 연락을 취하셨는데 얼굴이 안 좋아 보이셨어요. 무슨 일이냐고 ... ...
- 아빠! 어디 가? 수학으로 즐기는 똑똑한 소풍수학동아 l2013년 05호
- 들어차 있는 정도를 말한다.표에서 도시락의 크기는 김밥의 개수가 늘수록 자연스럽게 조금씩 증가하고 있지만, 밀도는 그렇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실제로 11개를 포장할 때보다 7개를 포장할 때 더 밀도가 높다.수학적으로 효율적인 포장이란, 최소한의 도시락 크기로 최대한의 밀도를 나타낼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수 없는 상태였다고 본다. 빛을 이루는 광자가 있지만 원자핵과 전자 밀도가 높아서 빛이 조금도 뻗어나가지 못했기 때문이다. 서해에서 흙이 가득 섞인 물을 한 컵 떠서 안을 들여다보면 안을 볼 수 없다. 그나마 산란된 빛이 있어 밝은 느낌은 받을 수 있지만, 초기 우주에서는 산란 정도가 심해 ... ...
- INTRO. 상상과 현실, 그 경계에 있는 영화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특이하면 말이 되는 소리를 하라고 불평이다. 설정만이 문제인가. 이야기 전개가 조금이라도 이상하면 논리적으로 말이 안된다고 비판하고, 심지어는 과학적으로 불가능하다며 허구로 만든 세상을 깎아내린다. 그래서 A씨는 오늘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 천문학 전공 서적을 뒤적거린다. 하, 재밌는 ... ...
- PRAT 3. 3D 르네상스, 이제 소리도 3D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소리를 만든다. 어느 좌석에서 들어도 같은 소리가 난다.소닉티어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조금 다르다. 왼쪽 좌석에 앉은 사람은 실제 공의 궤적처럼 오른쪽 귀에서 공이 날아가는 소리가 들리며, 오른쪽 좌석에 앉은 사람은 왼쪽 귀에서 공이 날아가는 소리가 들린다. 스크린에서 객석까지의 실제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년 05호
- 하나씩 살펴보자. 이번 발표에서 기존보다 눈에 띄게 다른 수치는 네 가지다. 나이가 조금 더 길어졌다. 이전에는 우주의 나이를 137억 년 남짓이라고 했지만, 플랑크는 138억 년으로 관측했다. 하지만 아직은 참고만 할 수준이다. 이석영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교수는 “137억 또는 138억 년이라고 해도,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