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량
단편
근소
소수
조각
적음
소액
d라이브러리
"
조금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달 전, 자신은 날마다 10~15분씩 수면 시간을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해. 그리곤 실제로
조금
씩 수면시간을 늘려 갔고, 하루 수면 시간이 23시간이 넘은 마지막 날, 24시간이라는 한계치를 자면서 사망했다고 해. 천재들에게는 범인들이 알 수 없는 감이 있나봐. 혹시 자신의 연구를 이용해 죽음까지 ... ...
생명의 까다로운 조건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에너지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리 교수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쿼크 질량이 아주
조금
만 변해도 호일 상태의 에너지를 바꿔 놓을 수 있다는 계산 결과를 얻었다.호일 상태의 에너지가 높으면 핵융합으로 생기는 탄소의 양이 줄어든다. 반대로 에너지가 낮으면 탄소가 너무 많이 생긴다. 탄소가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검색어 순위권에 등장했다. 하지만 신문이나 방송에서는 예전만큼 크게 다루지 않았다.
조금
혼란스러운 느낌을 받은 건 뉴스를 읽는 독자뿐 아니었다. 많은 언론사 기자들도 당혹스러웠다. 분명 작년 7월, 데이터 분석 결과 발표를 실시간으로 중계하며 힉스 입자를 찾았다고 발표했는데, 불과 8개월 ... ...
생각의 힘으로 우주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결과는 같았다. 다만 사람이 던질 때보다 확률 차이가 크게 줄어들었다.생각의 힘을
조금
더 세련되게 실험한 사람은 로버트 얀 미국 프린스턴대 공대 교수다. 1979년 프린스턴대 이상현상 연구실(PEAR)을 세운 얀 교수는 무작위사건발생장치(REG)를 준비했다. REG는 무작위로 들어오는 펄스전류의 성질( ... ...
펭귄부부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것을 우리 아이가 못한다는 것을 느끼면 아이의 자존감이 떨어진다’는 내용입니다.
조금
의아했습니다. 이 말은 쉽게 풀이하자면 다른 아이가 할 줄 아는 만큼은 미리 가르쳐야 한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다른 아이만큼’이라는 기준도 모호한데 우리 아이가 다른 아이에 비해 무언가를 못한다는 ... ...
➍ 서갑양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기본입니다. 학교에서 기본적인 과정을 배우는데 기계공학이나 응용학문을 하려면
조금
부담스럽더라도 심화과정을 하고 들어오면 시간을 아낄 수 있어요.그리고 공학자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은 커뮤니케이션이라고 생각합니다. 말 잘하는 게 아니라 ‘나의 지식을 전달하는 능력’이 굉장히 ... ...
부모님과 함께 보는 2013년 교과서가 바뀐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활동을 많이 할수록 좋아요. 과학책이나 과학 잡지를 많이 읽으면서 원리나 배경 지식을
조금
씩 쌓으면 더 좋답니다. 만화책도 괜찮아요. 무엇보다 다양한 종류의 책을 읽는 습관이 중요해요.예비 3·4학년이라면본격적으로 과학을 배우는 시기예요. 과학책이나 과학만화로 흥미를 높이면 좋아요. ... ...
3화 큐피트상과의 한판 승부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올라타자 폴리스가 급하게 우주선을 조종하기 시작했다. 우주선은 서서히 가동되며
조금
씩 사라져갔다. 하지만 우주선 밖에서 한 큐피트상이 우주선의 문고리를 잡고 세차게 잡아당기고 있었다. 다른 큐피트상들도 우주선의 사라지지 않은 부분을 붙잡고 마구잡이로 흔들고 있었다.“폴리스,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3호
속에 담긴 지구 곳곳의 풍경을 만나 봐요. 얼음 속 물 찾기남극의 평균 기온은 - 65℃.
조금
더 따뜻하다는 북극도 - 45℃에 달하는 무서운 추위를 자랑하지요. 공중에 뿌린 물이 그대로 얼어붙는 혹독한 세계에 살고 있는 북극해의 이누이트족은 빙산 속에서 신선한 식수를 구한답니다. 긴 사냥을 마친 ... ...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
수학동아
l
2013년 03호
붙들고 있던 연구 주제는 x와 c가 둘 다 복소수★인 x²+c라는 함수였다.이 함수에서 c를
조금
바꾸면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시작할 때의 미미한 차이가 종국에는 전혀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혼돈이론(Chaos Theory)의 구체적인 실례로 볼 수도 있다.애쉬튼 커쳐 주연의 영화 를 ... ...
이전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2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