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미오와 줄리엣도 깜짝 놀란 매스 연애조작단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있을 거예요.남녀가 연애를 시작하면 그 감정이 영원할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금 식기도 하고 다시 불타오르는 등 감정변화를 겪게 된다. 이런 남녀 간의 감정변화를 미국의 수학자 스티븐 스트로가츠가 사랑방정식으로 나타냈다. 일명 ‘러브 어페어’ 방정식이다. 셰익스피어의 희곡 ... ...
- 사진에 담은 대자연의 순간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속에 담긴 지구 곳곳의 풍경을 만나 봐요. 얼음 속 물 찾기남극의 평균 기온은 - 65℃. 조금 더 따뜻하다는 북극도 - 45℃에 달하는 무서운 추위를 자랑하지요. 공중에 뿌린 물이 그대로 얼어붙는 혹독한 세계에 살고 있는 북극해의 이누이트족은 빙산 속에서 신선한 식수를 구한답니다. 긴 사냥을 마친 ... ...
- PART 5. 우주에 퍼지는 시공간의 물결, 중력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중이라 현재는 지오600만 유일하게 가동하고 있다.이들은 기본 원리가 똑같지만 조금씩 차이가 있다. 터널의 길이는 미국의 라이고가 4km로 가장 길다. 버고는 3km고, 지오600은 600m다.터널이 길면 감도가 좋다. 버고와 지오600은 거울의 진동차폐기가 뛰어나다. 지오600은 터널 길이가 600m에 불과함에도 ... ...
- [시사] 박형주 교수의 수학자 이야기 깨진 조각으로 질서를 만든 프랙탈의 대부 만델브로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붙들고 있던 연구 주제는 x와 c가 둘 다 복소수★인 x²+c라는 함수였다.이 함수에서 c를 조금 바꾸면 전혀 다른 결과가 나타난다. 시작할 때의 미미한 차이가 종국에는 전혀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혼돈이론(Chaos Theory)의 구체적인 실례로 볼 수도 있다.애쉬튼 커쳐 주연의 영화 를 ... ...
- [체험] 발사 성공! 나로호 설계의 주역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03호
- 밟잖아요? 발사체는 방향을 바꿔 주기 위해 추력방향제어 장치를 사용해요. 발사체를 조금씩 틀어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거든요. 추력이란 비행물체를 진행 방향으로 밀고 나아가는 힘을 말해요. 그러니까 추력은 엑셀, 추력방향제어 장치는 핸들과 같지요.발사체의 궤적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 ...
- PART 2. 데카르트의 악몽, 아인슈타인의 해몽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직접 충돌뿐이고, 두 입자가 충돌할 때 서로 충격을 주고받으면 큰 입자의 운동 상태는 조금만 바뀌고, 작은 입자의 운동 상태는 크게 바뀐다고 믿었던 것이다. 그들이 물체 입자의 크기라고 부른 것은, 현대적으로 볼 때 입자의 부피보다는 질량에 가까웠다. 데카르트주의자들은 물체 입자의 능력은 ... ...
- PART 1. 중력 없는 세상에서 우리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겪는 것과 비슷한 문제가생긴다. 피를 비롯한 몸의 체액이 상체로 더 쏠리고, 키는 조금 더 커진다. 하지만 근육과 뼈의 칼슘이 손실돼 몸은 약해진다. 생활이나 과학기술 연구에도 변화가 찾아온다. 위아래라는 개념이 사라지기 때문에 생활 공간 속의 문이나 가구, 각종 소품을 한 방향에 놓을 ... ...
- PART1. 대세는 '쿨톤'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듯 자연스럽고 도자기같이 매끈한’ 피부를 만들 수 있다. 덤으로 원래 피부색보다 아주 조금 밝은 색을 골라서 ‘잘’ 바른다면 하얗게 빛나는 피부를 만들 수도 있다.우리나라 사람이 쓰는 파운데이션은 보통 21~23호 사이다. 숫자가 낮을수록 밝은데 예를 들어 21호는 피부가 흰 사람, 23호는 피부가 ... ...
- 북핵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증폭형 핵분열탄은 2차 핵분열 과정이 없고, 수소핵융합반응이 1차 핵분열 반응의 효율을 조금 높이는 수준으로 아주 약하게 쓰인다는 점이 다르다. 폭탄의 크기를 줄이는 데 쓰기도 한다.하지만 이번 실험이 수소폭탄이었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 수소폭탄에는 핵융합을 일으키는 과정이 필요한데, ... ...
- 호빗이 사는 외계 행성?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케플러 우주망원경으로 발견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행성이 별 주위를 돌 때 별빛을 조금 가리면서 점을 만드는 걸 보고 외계행성을 찾는다. 점이 클수록 행성도 크다. 지금까지는 지난해 발견된 케플러42d가 가장 작은 행성이었다. 케플러42d는 지구의 절반 크기다. NASA는 “올들어 달만한 크기로 ... ...
이전2392402412422432442452462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