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d라이브러리
"
퇴화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헌팅톤 무도병」 유전자 비밀 밝혀져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헌팅톤 무도병(舞蹈病)이란 뇌 깊숙한 곳에 들어있는 한짝의 신경다발인 대뇌 신경절이
퇴화
돼 일어나는 질병. 이 병에 걸리면 운동과 인지를 관장하는 대뇌 신경절의 뉴론이 광범위하게 파괴돼 얼굴이나 손 발 혀 등에 심한 경련이 일어나는 불수의(不隨意)적 운동장애와 치매 증상을 보인다. ... ...
2. 동물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척추동물의 대부분은 그들의 조상이 수중생활을 했음을 반영하는 진화의 잔재인
퇴화
된 아가미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중력 상태에서 진화를 하면 현재에 비해서 좀더 복잡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새로운 배가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여섯째 과제는 우주식민지를 지탱할 수 있는 생태계의 최소 ... ...
뉴질랜드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젖먹이 동물로는 오직 박쥐 종류가 있었을 뿐이다. 그리고 뱀도 없다. 그래서 날개가
퇴화
돼 날지 못하는 새들이 판을 치고 살 수 있을 정도로 색다른 곳이었다. 날지 못하는 새로는 지금 멸종됐지만 모아(Moa)라고 하는 높이 3m나 되는 큰 새가 살았고, 뉴질랜드의 상징인 아름다운 키위(kiwi)라고 하는 ... ...
코뿔소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옆쪽에 붙어있기 때문에 좌우는 잘 보지만 앞은 잘 보지 못한다. 이빨은 앞니와 송곳니가
퇴화
됐고 속니는 3, 4/3, 4개이고 어금니는 3/3개다.절종된 많은 코뿔소들의 선조들이 화석종(化石種)으로 발견되기도 한다. 옛날에 육상에서 가장 큰 짐승이었던 파라테륨도 코뿔소와 유사한 무리였다. 코뿔소는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생산하는 능력과의 차이가 적고, 셋째 집약적인 벼 단작 재배로 논의 환경 즉 토양이
퇴화
됐으며, 넷째 수리 시설이 낡아있음을 들 수 있다.쌀의 수량성은 금후 5~10년 사이의 인구 증가에 맞추기 위해서는 20~25%의 증가가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첫째로 새로운 모양새(초형)를 ... ...
한국의 곤충⑪ 대벌레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亞目) 대벌레과(竹節蟲科, Phasmidae)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은 가늘고 길며 날개는
퇴화
돼 날지못한다. 대나무의 가지처럼 생겨서 대벌레라는 이름이 붙었다. 몸이 나뭇가지 모양을 하고 있어 천적으로부터 몸을 보호한다. 이를 의태(擬態)라고 한다. 7월~9월에 걸쳐 깊은산 졸참나무 숲에서 많이 볼 수 ... ...
미래식물은 줄기에서 광합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우기에 잎이 무성해지지만 건기에는 낙엽이 진다. 앞으로 진화될 다육식물은 잎이 아예
퇴화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줄기에서 엽록소를 가지고 광합성을 하게 될 것이다.한편 미래식물은 줄기나 잎, 또는 뿌리 등이 변화하는 것 못지않게 생식기관도 크게 변화될 가능성이 높다. 대체적으로 큰 방향은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않았다면 식탁의 그 음식물에 대해 걱정할 필요는 없다. 대합조개와 굴은 연체동물의 '
퇴화
형 진화'의 한 예가 되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흔한 다리나 머리가 없고 뇌라곤 전혀 없기 때문이다. 텔레비전 어린이 프로그램에 나오는 조니 하트의 멋진 말하는조개는 다리도 있고 발도 있지만 진짜 ... ...
악어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나타났다. 반면 초식 파충류는 항상 연한 나무순과 부드러운 풀을 먹었기 때문에 이빨이
퇴화
했다.그러나 몸집만은 더욱 거대해졌다. 개중에는 육식의 공룡들에게 위엄을 보이느라고 기묘한 갑옷모양의 방어물을 갖춘 종류도 끼어 있었다.특히 이들의 전성기에는 몸뚱이가 더욱 커져서 코끼리의 몇 ... ...
"나를 싫어하는 것은 지독한 편견" 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예외로 비단구렁이의 경우, 항문의 양쪽에 뾰족한 한쌍의 돌기가 나있는데, 이는 뒷발의
퇴화
물로 여겨진다. 간혹 뱀의 발을 봤다는 사람이 있지만 이는 항문에 난 생식기를 잘못 본 것이다.뱀은 주머니모양의 교미기를 두개 지니고 있다. 보통 때는 뒤집어서 보관하고 있다가 교미할 때 그중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