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락
쇠퇴
퇴보
저하
퇴폐
저락
악화
d라이브러리
"
퇴화
"(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독특한 맛과 맹독을 함께 지닌 생선 복(鰒·Swellfish)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있다. 놀랐을 때 갑자기 커지는 것은 이런 얼개 때문이다. 복의 체측근은 오히려
퇴화
되어 있고 그 대신 등지느러미 꼬리지느러미의 굴근이 잘 발달되어 있어 이런 근육도 배를 부풀게 하는 구실을 돕는다.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널리 분포하는 연해성의 해산어로서 주로 꼬리지느러미를 좌우로 ... ...
파킨슨씨병, 부신수질이식술로 치료에 성공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성공적"이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얘기다.파킨슨씨병은 중뇌의 일부인 흑질부가 세포
퇴화
되면서 발생하는 중추신경계의 퇴행성 질환이다. 그런데 흑질부는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을 생성하는 곳이므로 파킨슨씨병에 걸리면 도파민 생성의 감소가 일어나게 된다.이처럼 병의 생리는 밝혀져 있지만 ... ...
우리몸을 방어하는 장기 편도선, 수술하면 오히려 큰 손해볼수도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생각되는 소아기에 편도가 발육 비대되나 점차 성장하여 저항력이 증가됨에 따라
퇴화
하는 것도 이러한 학설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이러한 방어기능설외에도 조혈기능설, 내분비기능설, 비타민생성설, 소화기능설 등 여러가지 주장이 있는데 이처럼 많은 학설이 있다는 것은 아직 편도선의 ... ...
비행류(鼻行類)가 태평양의 섬에 살았었다.
과학동아
l
1988년 11호
된다. 그때문에 이들의 몸은 차츰 그 굵은 기둥위에 얹혀 있게 된다.사지-뒷다리가
퇴화
했다.꼬리-끄트머리에 독발톱이 있다. 그 끄트머리에서는 과일 같은 향내가 나는 점착력이 강한 분비물을 내놓는다. 이 분비물 냄새에 이끌려 꼬리에 앉은 곤충은 꼬리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못하고 먹히고 만다 ... ...
강력한 시력장해 교정렌즈 나올듯
과학동아
l
1988년 10호
그러나 수컷 코피리아는 오랜 옛날에 물체를 보는것을 포기하여 현재는 완전히 눈이
퇴화
되어있다.워켄교수가 연구하고 있는 시력장해 교정렌즈는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된 2개의 렌즈를 합친것. 바깥쪽은 통상의 배율렌즈이고 안쪽의 것은 모든 자연광을 채집하도록 설계된 어안렌즈이다.그는 ... ...
PART3 파멸에의 유혹, 약물복용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추측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일반적으로 아나볼릭스테로이드는 간장손상 고환의 기능
퇴화
심장발작률증대 등 부작용을 수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흥분제로는 암페타민이 대표적인데 중추신경을 자극, 혈압을 높리고 재빠른 행동을 유발, 단거리경주선수나 구기종목의 선수들이 주로 사용한다 ... ...
왜 빛을 내는가? 그 결과로 무엇을 얻고 잃는가? 여름밤의 영롱한 빛 반딧불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빛을 낸다. 이런 종을 개똥벌레라고 한다. 이 개통벌레 암컷은 날개와 날개덮개가 크게
퇴화
되었거나 아예 없다. 따라서 숫컷과는 외형이 크게 다르다.대부분의 숫컷은 빛을 따라 감으로써 암컷을 만나게 된다. 허나 화학물질인 페로몬을 사용, 빛이 보일 수 있는 거리보다 훨씬 먼 거리에 있는 ... ...
자기보호의 본능에 따른 「경고」성 진화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것 자기를 숨기는데 불리하다. 원이후 문제에 대해 논란이 속 있어왔다. 진화가 아니
퇴화
가 아닌가? 하는 의문도 제기되었다. 그러나 계속된 조사에 의하면 요란한 색깔은 자기를 잡아먹을 약탈자에게 '경고'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이다 ... ...
PART3 골치아픈 피부질환들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여러가지 치료를 시행할 경우 오히려 더 나쁜 후유증을 남기기 쉬우므르 반드시 자연
퇴화
를 기다리는 방법이 가장 안전하다. 혈관종의 일종으로 출생시부터 발생하는 것에는 화염상모반도 있다 ... ...
피부의 과학 PART1 피부의 구조와 기능 살아움직이는 거대한 조직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머리 피부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기름샘은 출생시에 거의 완전한 형태를 갖추나 출생후
퇴화
하다가 사춘기에 그 기능이 다시 성숙하여 노년기까지 지속된다. 이와같은 변화는 기름샘의 발달과 분비가 호르몬 특히 남성 호르몬의 지배를 받기 때문이다. 피지의 성분은 주로 중성지방 밀랍 스콰렌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