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퇴화"(으)로 총 288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마과학동아 l1990년 11호
- 보인다.하마의 입을 벌려 이빨을 살펴 보면 초식동물이 마땅히 갖춰야 할 예리한 앞니가 퇴화돼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그들은 이빨로 베어 먹지 못한다. 다만 아래턱 가운데에 있는 두개의 이가 수평으로 쭉 내뻗고 있을 뿐이다. 이빨 모두가 이 모양이니 음식을 먹을 때 애로사항이 ...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과학동아 l1990년 11호
- 2.5m , 체중이 1백30kg에 달하는 거구지만 몸체에 비해 날개는 매우 작다. 타조의 날개는 퇴화돼 무척 작지만 타조가 빨리 달릴 때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성큼성큼 달려가면 최고 시속 96km 속력을 낼 수 있다.타조는 긴 발을 가지고 있어 한번에 7.5m 너비로 달릴 수 있다. 발바닥에는 ... ...
- 수컷은 훨훨, 암컷은 자루 속에과학동아 l1990년 08호
- 수컷보다 짧아서 비교적 일찍 성충으로 돼 수컷을 기다린다. 몸의 외부형태는 아주 퇴화돼 있어 곤충이라고 생각되지 않는 모습이다. 다만 복부의 연동운동(蠕動運動)으로 번데기의 탈각(脫殼)속에서 아래 위로 이동할 따름이다. 페로몬으로 수컷을 유인그럼 이들은 배우(配偶)행동을 어떻게 할까. ... ...
- 손에 땀을 쥐는 이유과학동아 l1990년 07호
- 이 땀샘은 임신중의 태아에서는 모든 피부에서 발견되나 일부를 제외하고는 분만때까지 퇴화하여 없어진다. 일반적으로 겨드랑이, 유방의 유두부분, 항문, 생식기 주위, 귀의 귀에지선, 눈 등에 존재한다.이들 부위에 있는 아포크린 땀샘(腺)은 유년기에는 발달이 잘 돼있지 않으나 사춘기에 ... ...
- 기린과학동아 l1990년 05호
- 자세히 살펴보면 땅을 딛고 있는 것은 제3지와 제4지 뿐이다. 제2지와 제5지는 완전히 퇴화, 아예 보이지 않는다. 소나 돼지 등에는 땅을 딛고 있는 두개의 주제(主蹄) 뒤에 건성으로 달린 조그만 굽이 있는데 반해 기린에는 그것이 없다.또 암수 모두 뿔을 갖고 있다. 이 뿔은 사슴의 낭각처럼 전체가 ... ...
- 사하로프과학동아 l1990년 01호
- 공기의 유독화, 인류의 빈곤 야만 무지로의 복귀, 방사능의 영향으로 생존자의 유전적인 퇴화, 문명의 파괴 등 세계의 두 초강대국의 불화가 빚어낼 이런 위험이 세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성을 가진 생물이라면 누구든지 이 비극의 벼랑에서 우선 피하려고 노력한 다음 다른 필요를 만족시킬 생각을 ... ...
- PART5 월경과 임신의 생리학과학동아 l1989년 10호
- 나눌 수 있다. 월경기란 월경시작 1~3일에 해당되는 시기이다. 이 시기에는 황체가 퇴화되고 에스트로젠및 프로제스테론의 분비가 감소된다. 따라서 에스트로젠 등에 의해 유지되고 있던 자궁내막이 탈락되는, 즉 월경이 일어나는 기간이다.재생기란 월경 시작 4~5일 후부터 2~3일간 지속된다. ... ...
-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과학동아 l1989년 08호
-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고 거기에 맞추어 사람의 각종 장기의 세포가 재생하고 퇴화한다고 할 수 있다.평균수명은 아직도 80세 이하그러면 왜 1백15~1백20세로 ‘프로그램’되어 있는데, 80세이하의 평균수명을 살고있느냐는 질문이 자연스럽게 나온다. 사람의 평균수명을 거론할 때는 그 지역 ... ...
- 타조과학동아 l1989년 03호
- 자신을 하늘로 띄울만한 힘이 없다.흔히 책이나 동물학 강의 시간에 “주조류는 날개가 퇴화하여 날 수 없다”고 배워왔지만 타조의 예에서 보면 반드시 그렇지만은 않은 것 같다.타조는 날개를 펼칠 수 있을 뿐아니라 땅 위를 뛸 때 몸의 균형을 잡는데 날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타조(駝鳥)의 ... ...
- 국산로봇개발 10년과학동아 l1989년 03호
- 인간을 대신해 모든 일을 수행하는 ‘로봇시대’가 도래한다면 마침내 인간의 능력은 퇴화하여 로봇에게 오히려 지배당하게 될지도 모른다는 공상과학적인 가설은 이제 궤변에 불과하다.로봇이 아무리 인간능력에 가까워진다 하더라도 인간본연의 ‘창의력’을 대신 가질수는 없으며, 로봇기술이 ... ...
이전22232425262728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