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natrium
나트륨램프
램프
람푸
람프
뉴스
"
나트륨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쇠보다 강한 목재? 고강도 압착 목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연구팀이 개발한 새 가공법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이뤄진다. 먼저 수산화
나트륨
과 황산
나트륨
수용액에 목재를 담근다. 이 과정을 통해 목재 안의 단단한 식물세포벽을 안정화시키는 물질인 리그닌과, 역시 세포벽의 셀룰로오스를 감싸는 성분인 헤미셀룰로오스를 일부 제거한다. 그 뒤 섭씨 약 10 ... ...
눈 덮인 도로, 과학기술로 해결하면?
동아사이언스
l
2018.02.02
현재 널리 쓰이는 염화칼슘을 대신하는 새로운 화합물이 쓰인다. 염화칼슘이나 염화
나트륨
같은 염소계 제설제는 차량 같은 금속제품을 쉽게 부식시키고, 사용량이 많은 경우 토양에 염소 이온을 축적시켜 가로수에 피해를 주기 때문이다. 염소계 제설제를 대신하는 재료는 칼륨아세테이트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위해서 디티온산
나트륨
(sodium dithionite) 같은 강력한 환원제를 써야 한다. 그런데 디티온산
나트륨
은 쉽게 분해돼 황산염이나 아황산염이 되고 그 결과 공장설비가 부식될 수 있다. 게다가 염색공장 대다수는 중국 등 개발도상국에 있는데 염색과정에서 나온 폐수를 정화하지 않고 강으로 흘려보내는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자나 깨나 불조심! 응급 소화기를 만들어 보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1.13
식초와 소다가 만나서 이산화탄소 기체가 만들어진다. 소다의 주요 성분은 ‘탄산수소
나트륨
’이에요. 그리고 식초는 주로 ‘아세트산’으로 이뤄졌지요. 두 성분이 만나면 ‘탄산’이 만들어져요. 이때 탄산은 공기 중에 그대로 남아있지 못하고 금세 이산화탄소와 물로 나눠진답니다. 이 ... ...
이대병원 신생아 사망 유발 시트로박터 균은 무엇?
동아사이언스
l
2018.01.12
곁들였다. 국과수는 의료과실과 사인은 연관성이 낮거나 없는 것다는 입장도 밝혔다.
나트륨
염, 칼륨염, 칼슘염 등 주사제에 첨가한 전해질 농도 이상 등 조제 오류 가능성도 신생아 사인과 연관이 낮다는 입장이다. 국과수는 “약물 투약 오류나 주사 튜브 내로의 이물 주입 가능성은 기존 제조 ... ...
소금으로 차세대 ‘2차원’ 반도체 빚어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09
이차전지, 유연하고 투명한 전자 제작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윤선진 연구원은 “
나트륨
으로 2차원 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점에서 의미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 소재 전문학술지 스몰(Small)에 지난해 말 온라인 게재됐다. 2월호 표지논문으로도 선정돼 ... ...
소금으로 배터리 개발… “리튬 고갈 염려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26
말했다. 이 연구는 재료 과학분야 학술지인 ‘스몰’ 11월 24일자에 게재됐다.
나트륨
이차전지용 초미세 주석 황화물 전극소재는 100회가 넘는 충·방전에도 전지 용량이 초기용량 대비 약 65~80%수준으로 유지됐다. -한국연구재단 ... ...
배터리 없이 전기뱀장어처럼 전기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2.14
저농도 소금물(파란색) 사이의 양이온 친화 겔(초록색)과 음이온 친화 겔(노란색)을 통해
나트륨
이온(Na+)과 염소 이온(Cl-)이 선택적으로 이동하면서 전하의 흐름(전류)이 생겼다. - 네이처 제공 그 결과 양이온 친화 겔을 사이에 둔 지점에서는 고농도 용액에서 Na+만 가운데 저농도 용액으로 이동했다. ... ...
반짝반짝 빛나는 조명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13
여기에 발포 비타민을 넣으면 물에 녹으면서 거품이 난다. 발포 비타민 속 탄산수소
나트륨
이 물과 반응해 이산화탄소를 만들기 때문이다. 이산화탄소는 밀도가 낮아서 물방울과 함께 기름 위로 떠오르게 된다. 물방울이 맨위까지 올라오면 이산화탄소는 날아가고 물은 다시 가라앉는다. 이 현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줄인 ‘보기 편한 모드’가 적용되는 걸 보고 반가웠다.) 덧붙여 거리조명의 경우도
나트륨
등(노란빛) 대신 LED 백색등을 쓰는 건 에너지 측면에서는 친환경이지만 생태학의 관점에서는 동식물의 생체시계를 교란시켜 문제가 많으므로 청색LED를 줄이거나 없앤, 즉 녹색LED와 빨간색LED 위주로 된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