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트륨"(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드뉴스]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동아사이언스 l2017.05.23
- 목재나 섬유, 기름에 붙은 불을 끄는 데 효과적입니다. 소화기를 뒤집어 흔들면 탄산수소나트륨 용액과 황산알루미늄 용액이 섞여 거품이 생깁니다. 게거품은 아가미로 숨쉬는 게가 물 밖에서 입 주변에 머금은 물을 조금씩 빨아들이면서 숨을 쉬며 만들어집니다. 반대로 물방개는 물속에서 숨 쉬기 ... ...
- X선 결정구조 분석법을 통해 최초로 밝혀진 세포막의 구조동아사이언스 l2017.05.14
- 논문입니다. 세포막은 인과 지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세포막에 있는 여러 펌프를 통해 나트륨이나 칼륨, 칼슘 등 물질을 교환합니다. 다만 기존의 X선 결정학으로는 인지질 부분이 나타나지 않아 각 펌프의 구조를 명확하게 아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일본 도쿄대 치카시 토요시마 연구팀은 ... ...
- [카드뉴스] 파마에 대한 궁금증 3가지동아사이언스 l2017.04.27
- 산성일수록, 즉 양이온이 많을수록 잘 됩니다. 아황산나트륨을 포함한 염료가 물에 녹아 나트륨이온(Na+)이 떨어져 나가면 음이온(-SO3-)이 머리카락의 양이온 부분과 이온결합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온결합은 pH변화에 약해서 몇차례 산성비를 맞거나 샴푸로 머리를 감으면 트리트먼트나 매니큐어의 ... ...
- [카드뉴스] 야식의 기준동아사이언스 l2017.03.14
- 치즈의 종류도 다양해졌지요. 라면 약 500kcal/개 싸고 간편한 라면은 탄수화물에 편중되고 나트륨 함량이 많아 영양섭취에도 좋진 않습니다. 튀긴 면발을 삶은 물은 버리고 스프를 넣고 끓이면 100~150kcal의 열량이 줄어든다고 하지만 맛을 보장할 수 없죠. 우리가 매일 야식을 먹는 것도 아니고 ... ...
- 이 세상에 없는 새로운 물질 형태를 찾아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12
- 구성 원자가 규칙적으로 나열돼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염화나트륨(소금)이 염소 원자와 나트륨 원자가 번갈아 배치되면서 육면체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잘 알고 계실 겁니다. 그 외에도 수많은 물질들이 결정 형태를 가집니다. 다이아몬드의 정팔면체 결정이나 석영의 육각기둥 형태가 ... ...
- [작심일주③ 주(酒)빈에서 수(水)빈으로] 물 마셨더니 피부가...동아사이언스 l2017.03.05
- 2016년 3월, 미국 일리노이대 루오펭 안 교수팀은 하루에 1~3잔의 물을 더 마시면 일일 나트륨 섭취량이 78~235㎎, 당분 섭취량은 5~18g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미국인 1만 83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결과가 이렇게 나오자 괜히 그 동안 술을 너무 마셔댄 것인지, 물을 안 마셔도 너무 ... ...
- 오래써도 계속 밝~은 형광등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2
- Self-healing) 형광체’는 나트륨(Na) 이온이 움직이며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했다. 이때 나트륨 이온은 형광체 내에서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 준위를 생성하고, 이 준위 속에 전자들이 가둬진다. 가둬진 전자들이 활성제의 발광센터로 이동하고, 이로 인해 고온에서도 발광 세기가 감소하지 않는 ... ...
- 한국인 과도한 나트륨 섭취, 김치가 주범 아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2.27
- “김치가 나트륨 1g에 칼륨 2.4g의 이상적 비율을 가진 식품은 아니지만, 적어도 한국인 나트륨 과섭취의 주범은 아니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 1줄 요약 김치는 억울하다 ... ...
- “생명체, 외계에서 왔다” vs “스스로 만들어졌다” 논란 가열동아사이언스 l2017.02.17
- 물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고, 어마어마한 양의 탄산나트륨도 있음이 밝혀졌다. 탄산나트륨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지하에서 데워진 뜨거운 물이 필요하기에, 최근까지도 흐르는 물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와 주목을 받았다. 도움말=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 ... ...
- 우리는 평소 어떤 ‘독’에 노출돼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2.15
- 발작을 멈추게 하고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밖에 아초산나트륨과 티오황산나트륨은 독성을 없애면서 재빠르게 반응하는 혈액 해독제로 씁니다. 하지만 현실엔 완벽한 해독제는 없고, 투여하는 시점이 가장 큰 변수입니다. ● 동물의 독, 약으로 거듭나 흑색종, 유방암, 난소암 등에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