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혓바닥
설
황엽
뉴스
"
혀
"(으)로 총 280건 검색되었습니다.
물고기 떼 한 입에 호로록~ 흡입하는 고래, 비결이 뭐니
2015.05.05
이 신경에 ‘스트레치 신경(Stretchy nerves)’이라고 이름 붙였다. 수염고래과 고래의
혀
에서 발견한 스트레치 신경의 모습. 원래 14cm 정도지만 잡아 당기면 30cm 이상으로 늘어난다. - 브리티시컬럼비아대(UBC) 제공 스트레치 신경은 구조도 특이하다. 신경을 중심에 두고 그 주위로 신축성이 좋은 ... ...
자연에 답이 있다! 바이오재료의 세계
2015.04.07
값이 나왔다. 연구자들은 지름이 수십 나노미터에 불과한 침철석 나노섬유가 고밀도로 박
혀
있는 게 이처럼 높은 강도를 내는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할 거리가 없어 걱정일 때는 학술지를 뒤적일 게 아니라 야외로 나가 동식물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게 나을 거라는 생각이 문득 든다. 수억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 Food Qual. Prefer. 제공 음식뿐 아니라 식기도 풍미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
혀
졌다. 딸기 셔벗 디저트를 검은 접시에 담느냐 흰 접시에 담느냐에 따라 단맛과 풍미에 큰 차이가 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즉 흰 접시에 담긴 디저트를 10% 더 달게 느꼈고 풍미도 15%더 풍부하다고 평가했다. 접시 ... ...
여름손님 수족구병 ‘봄의 공습’
동아일보
l
2015.03.23
걸리면 발열과 목의 통증, 식욕 부진, 피부와 점막에 수포가 생긴다. 입안에는
혀
와 구강점막에 4∼8mm의 수포나 궤양이 발생한다. 손과 발에는 작고 붉은 발진이 나타난 후 수포로 발전한다. 수포는 껍질이 두꺼워 분비물이 쉽게 터지지 않는다. 주로 손과 발에 생기지만 몸통까지 퍼지는 경우도 있다. ... ...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 8가지...과식도 치아에 해가 될수 있다?
동아닷컴
l
2015.03.18
이를 썩게 만들 수 있으니 피해야 한다.
혀
피어싱 역시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이다.
혀
를 뚫어 장신구를 설치하게 되면 금속성 장신구로 인해 이가 부서질 위험이 따르며 뿐만 아니라 잇몸을 다치게 할 수 있고 입안에 세균을 들끓게 해 구강 감염 위험을 높인다. 치아 건강에 해로운 습관 마지막은 ... ...
[광화문에서] 아직도 아득한 구제역 방역
2015.03.17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은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에 참석한 사람들은 다들
혀
를 찼다. 4년 전 겨울 무려 145일 동안 그 난리를 쳤는데 방역 대책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나마 나아진 것은 백신 접종 등 도살 처분을 줄일 수 있는 예방정책이 실시되고 있다는 사실이었다. 하지만 국내 ... ...
펭귄은 ‘쓴·단·감’ 못 느끼는 ‘미맹(味盲)’
2015.02.17
이런 변화가 생겼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장 교수는 “다른 조류와 달리 유독 펭귄의
혀
에는 맛을 느끼는 감각기관이 거의 남아있지 않다”며 “음식물을 씹지 않고 통째로 삼키는 식습관도 펭귄이 미맹이 되도록 가속화한 원인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셀’의 자매지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또다른 유전자 등 지금까지 12개 이상의 유전자가 우리 몸의 색깔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
혀
졌습니다. 백설공주의 눈처럼 흰 피부를 만드는 것도 이 유전자 중 하나일 겁니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이 유전자들의 분포는 대륙마다 다릅니다. 검은 피부는 적도를 따라 나타나지만, 서태평양에서 사는 ... ...
와인밭 관리하기 힘드셨죠? ‘포도 로봇’ 쓰세요
2015.02.05
혀
’를 개발해 미국화학회가 발간하는 나노 분야 권위지 ‘ACS 나노’에 발표했다. 인공
혀
에는 나노 센서가 달려 있는데 와인의 시고 떫은 맛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사람보다 맛 감별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
허니버터칩 왜 맛있는 거야?
과학동아
l
2015.01.30
한꺼번에 처리하는 하나의 수용체가 있다는 주장까지 있었다. 물론 이는 사실이 아니다.
혀
에서 단맛을 느끼는 수용체는 ‘T1R2-T1R3’라는 단백질 단 하나다. 반면 쓴맛 수용체는 10여 개가 넘는다. 쓴맛을 내는 음식이 단맛을 내는 음식보다 훨씬 다양한 걸 생각해 보면 이해가 된다. 어쩌면 우리가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