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안전 불 밝히는 ‘안개 가로등 ’
어린이과학동아
l
201210
내릴 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가장 먼 거리(시정거리)를 측정해요. 적외선을 양쪽 에서 쏜
뒤
두 빛이 부딪혀 흩어지는 정도를 측정하면 거리를 잴 수 있어요. 안개가 심할수록 빛이 더 많이 흩어지거든요. 그리 자동차가 지나가는지 실시간으로 파악해요. 만약 시정거리가 200m보다 짧다면 시스템은 ... ...
개미의 먹이 찾기와 인터넷의 공통점은?
수학동아
l
201210
인터넷 통신체계에서는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자료를 보낼 때, 자료를 여러 개로 쪼갠
뒤
다양한 통신 주파수로 나눠 보낸다. B지점은 쪼개진 자료를 받을 때마다 A에게 도착 신호를 보낸다.만약 도착 신호가 자료를 보내는 속도보다 느린 비율로 도착하면 사용 가능한 주파수가 부족하다는 뜻이므로, ... ...
수학탐정 M 마술열차 살인 사건
수학동아
l
201210
같다. 차례대로 카드가 섞이는 리플 셔틀도 마찬가지 성질을 갖는다.카드를 떼어낸
뒤
,
뒤
에 붙이거나 리플 셔틀을 하면 카드의 순서는 바뀌지 않지만 사람들은 카드를 섞고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마술사들이 트릭으로 많이 사용한다.앗! 그러고 보니 에이스는 한 번도 경고 살인을 한 적이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10
기화시킬 정도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레이저 커튼
뒤
에 ‘탄소나노튜브’ 재질의 그물을 설치해 둔다. 튜브 하나의 굵기는 탄소원자의 크기와 비슷할 정도로 가늘어 눈에 보이지 않으면서도 강도가 철선보다 강력하다. 지금 기술로는 탄소나노튜브를 1 ... ...
대한민국의 공기를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1210
끼치는지를 조사하는 장비다. 대기 상층부처럼 상대습도가 높은 환경을 만들어 준
뒤
어떤 입자가 물방울을 형성하는지 관측한다. CCD카메라로 초당 수십 프레임을 찍어 부피가 커진 입자의 개수를 세는 방식이다. 박 교수는 “구름은 기후 변화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에어로졸이 구름의 ... ...
진짜 ‘고온’ 초전도 물질 발견?
과학동아
l
201210
nm) 크기의 순수한 흑연 가루 100mg에 20ml의 증류수를 주입해 23시간 동안 저어 혼합한
뒤
걸러 100℃에서 하루 동안 건조시켰다. 이 재료를 자기장에 통과시킨 결과 약하지만 자기장을 갖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에스키나지 교수는 이 자기장이 초전도 현상이 일어난다는 단서로 봤다. 그래서 이 재료를 ... ...
수면 부족하면 골다공증 생겨
과학동아
l
201210
않고 2일은 쉬게 하는 방법으로 72일을 지내게 해 만성적인 수면 부족상태를 만들었다. 그
뒤
엉덩이 관절과 무릎 관절을 이어주는 대퇴골에서 오래된 뼈를 파괴하는 파골 세포와 뼈를 새로 생성하는 조골 세포 수 변화를 조사했다. 또 혈액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골수의 성분도 분석했다 ... ...
암흑물질 3파전
과학동아
l
201210
카네기연구소의 천문학자 베라 루빈이 우리은하에 있는 나선 팔의 회전속도를 측정한
뒤
, 우리가 아는 물질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거대한 미지의 질량이 은하 안에 있음을 알아냈다. 질량만 놓고 보면 은하 안에 있는 물질의 거의 10배에 가까웠다. 이후 이 미지의 물질은 우리은하뿐 아니라 전체 ... ...
“생명공학으로 식량난, 질병 해결해요”
과학동아
l
201210
아그로박테리움을 운반자로 이용하는 것이죠. 유전자총은 DNA를 아주 작은 금속에 붙인
뒤
세포에 발사해 넣습니다. 정말 총 같죠?우리가 먹는 식품에도 DNA가 당연히 들어있습니다. 먹은 DNA는 소화기관에서 모두 소화하고요. DNA가 몸에 쌓이는 것은 아닙니다. 이범규 생명안전성과 농업연구사님과 ... ...
[photo] 태고의 어둠 속에서 찾은 절경
과학동아
l
201210
공간을 밝히기 위해서는 건전지로 작동하는 아주 밝은 조명을 이용한다. 조명을 설치한
뒤
자리를 잡고 원격으로 작동시켜 사진을 촬영한다. 이런 장비를 모두 가져가는 건 혼자 힘으로 불가능하다. 숀은 “함께 한 탐사대원이 없었다면 동굴 사진은 세상에 나올 수 없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