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以夷制夷' 대기오염 원인인 오존이 해양오염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8
있었지만, 전기분해나 자외선 방식을 썼다. 오존을 이용한 방법도 드물게 있었지만 나노
미터
단위의 미세 기포를 이용한 장치를 개발 한 건 처음이다. 더군다나 이번에 개발한 장치는 부피가 작아 살균장치를 추가로 장착해야 하는 기존 선박에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기술은 ... ...
양성자가속기는 "응용과학에 폭넓게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13.09.06
짧다”고 설명했다. 김귀영 연구원은 “1keV(킬로전자볼트)의 양성자빔으로도 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조작이 가능하다”라며 “최대 100MeV의 양성자빔을 만드는 경주 양성자가속기에서는 ‘디그레이더’라는 장치를 이용해 다양한 에너지의 양성자빔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 ...
80년 동안 제사도 봉양도 못 받은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일반 능과 다르게 배치돼 있다. 장유형의 능선 중간에 능침이 있으며 능침 서측 수십
미터
아래에 평지를 이용, L자형 참도 끝에 능침을 옆으로 하고 정자각을 배치해 놓았다. 일반적 직선형 제향공간과 다른 형태이다. 이것은 단종이 몰래 암매장되고 능침 앞이 좁아서 그렇게 된 것이다. 장릉의 ... ...
나노
미터
급 '픽셀'로 분자에 색을 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1
같은 작은 세계까지 모니터로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연구진이 1~2nm(나노
미터
·1억 분의 1m) 크기의 분자로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는 원리를 처음으로 구현해 냈다. 현재 텔레비전이나 모니터의 픽셀 크기는 3~10mm인데 이것보다 100만~1000만 분의 1 크기의 '분자 픽셀'이 최초로 등장한 ... ...
일본 ‘화산 폭발’…치솟는 연기에 화산재로 ‘아수라장’
동아닷컴
l
2013.08.18
쇼와 화구에서 폭발적인 분화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대량 화산재가 화구에서 약 5000
미터
까지 상승했다. 화산재가 이번처럼 높게 치솟기는 58년 만에 처음이라고 NHK는 전했다. 이번 화산 폭발로 가고시마 인근 상공이 어두워지고 화산재가 떨어지는 등 시민이 큰 불편을 겪었다. 정확한 재산 및 인명 ... ...
민간에서 개발한 인공위성 300억원에 팔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나란히 할 정도의 기술력을 인정받았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는 0.5m 급 서브
미터
위성 개발에 주력해 위성시장 선점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 ...
DNA-그래핀 결합시켜 연료전지 성능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DNA와 표면적이 넓은 그래핀이 결합한 하이브리드 물질을 만들었다. 여기에 1nm(나노
미터
, 1nm=10억 분의 1m)크기의 백금염화물과 환원제를 차례로 첨가해 미세한 백금나노입자들이 하이브리드 물질 위에 골고루 분산되어 달라붙게 하는데 성공했다. 백금나노입자-DNA-산화그래핀 복합물질 합성 ... ...
세종 死後 피바람이 분 이유 알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08.12
왕위를 물려준 것에 대한 보은인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세종은 헌릉 서쪽(수평거리 190
미터
)에 자신의 수릉을 재위 시 미리 잡았다. 그러나 수릉 택지 1년 후 소헌왕후가 먼저 사망하여 장사를 지낼 때 수릉 자리가 풍수지리상 불리하다는 것을 발견한 대신들이 벌떼처럼 일어났지만 세종의 고집은 ... ...
전자의 회전이 만들어내는 놀랍도록 신기한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13.08.11
성공해 7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쥐 망막세포를 가로 200μm(마이크로
미터
), 세로 300μm로 아주 얇게 잘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후 신경회로망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 지도에서 950개의 새로운 양극성 신경세포를 발견했다. 양극성 신경세포는 망막을 구성하는 10개의 신경세포층 중 ... ...
삼성 ‘3D 반도체’로 또 메모리 혁명
동아일보
l
2013.08.07
을 배치해 집적도를 높이느냐를 놓고 기술경쟁을 벌여왔다. 하지만 현재 개발된 1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급 공정까지가 한계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셀과 셀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전자가 누설되는 간섭현상이 심해져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평면으로 배열하던 셀을 ... ...
이전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
2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