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미터"(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동아사이언스 l2013.07.02
- 계열. 가시광선 영역이기 때문에 가장 먼저 발견됐다. 오른쪽부터 각각 파장 656nm(나노미터, 빨강), 486nm(청록), 434nm(파랑), 410nm(보라)에 해당한다. - 위키피디아 제공 한편 원자의 스펙트럼을 해석하는데 골몰하고 있던 스웨덴의 물리학자 요하네스 뤼드베리는 발머의 수식을 보고 1888년 이를 파장의 ... ...
- 세균 먹는 바이러스 東海서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3.07.01
- 바이러스를 분리해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데 성공했다. 이 바이러스의 크기는 약 60나노미터로, 화살표는 꼬리의 위치를 가리킨다. - 인하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동해 바다에서 세균을 먹고 사는 대표적인 바이러스를 실험실에서 키우는데 성공해 화제다. 조장천 교수(왼쪽부터), 강일남 박사, ... ...
- “응용산업보다는 소재 개발이 우선”동아사이언스 l2013.06.26
- 공정에 따르는 설비와 장비는 비싸다. 진공 챔버 등을 함께 갖춰야 하기 때문. 반면 10나노미터 정도 크기의 나노입자로 잉크를 만들고 이 잉크로 트랜지스터 회로선을 그리면 150도 정도의 저온에서도 트랜지스터를 만들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에도 회로선을 그릴 수 있다는 의미다. “우리가 ... ...
- 고성능 위성 카메라 정밀 반사 거울 국산화동아사이언스 l2013.06.18
- 취급돼 수입하기도 까다롭다. 연구팀은 직경 800mm의 대구경 반사거울을 ·10nm(나노미터=10억분의 1m) 수준의 정밀도로 가공했다. 이는 머리카락을 1000분의 1로 쪼개는 수준의 고난도 가공 작업이다. 완성된 반사거울 조립체의 우주 환경 시험을 거쳐 조립체가 발사체의 진동을 견딜 수 있다는 ... ...
- 미래형 첨단 전자소자 대량 생산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3.06.10
- 면적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나노선은 지름이 수백에서 수 nm(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정도의 아주 얇은 선으로, 메모리나 센서 등에 들어갈 미래형 전자 소자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반도체 나노선을 만들기 위해 금속촉매를 쓰면 반도체로서 특성이 떨어지고, 정해진 ... ...
- [채널A] ‘식중독’ 잡는 은나노 개발…입자 구조 바꿔 큰 효과채널A l2013.06.04
- 입자의 구좁니다. 은나노는 입자가 작을수록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연구진은 지름 700나노미터 정도로 기존 은나노보다 훨씬 크고 둥글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은나노 중앙에 자성을 띄는 물질을 넣어 은나노가 병원균을 죽이고 나면 자석으로 끌어당겨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 ...
- ‘은 나노’ 옛 명성 찾으러 돌아왔다동아사이언스 l2013.06.03
- 고정한 은 나노복합체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성이 있는 수백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공처럼 생긴 소재에 일정 간격으로 작은 기둥을 세우고 그 끝에 각각 1~3nm 크기의 은 나노입자를 붙인 뒤 은 이온을 추가해 30nm 크기로 성장시켰다. 이 은 나노복합체를 ... ...
- 화이트 푸드를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06.03
- 빛이 산란돼 희게 보이는) 가루다. 비타민C 분자는 자외선 영역인 파장 245~265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의 빛을 흡수하므로 이 영역을 보는 생물체가 있다면 비타민C의 존재여부가 색으로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다. 블루베리에 많이 들어있다는 안토시아닌은 더 넓게 보면 플라보노이드의 ... ...
- 탄소나노튜브로 만든 인공 두뇌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3.05.30
- 탄소나노튜브로 인공 시냅스를 만드는데 성공한 것이다. 연구팀은 지름이 1나노미터(nm=10억분의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무작위로 배열해 얇은 층을 만들었다. 그리고 나노 크기의 티타늄과 금을 곳곳에 코팅한 뒤 수소이온이 함유된 폴리에테르 화합물을 얹어 소자를 만들었다. 이렇게 ... ...
- 석탄과 천연가스로 석유를 만드는 '신 연금술'동아사이언스 l2013.05.23
- 금속결정 크기가 균일하지 않아 효율이 크게 떨어졌다는데 주목했다. 이에 촉매를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단위로 정밀하게 가공한 결과 생산성을 기존대비 50% 이상 끌어 올리는데 성공했다. 이 촉매는 구조 자체가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반응기’ 역할을 해 나노채널 반응기라고도 불리는데, ... ...
이전2602612622632642652662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