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62건 검색되었습니다.
본다는 것의 의미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사실이 밝혀졌다. 또 멜라놉신이 빛 가운데서도 파장이 짧은 파란빛(480나노
미터
(1나노
미터
는 10억분의 1
미터
)에서 가장 민감)에 반응한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의미3: 옵신이 없어도 보고 옵신이 있어도 못 본다 최근까지도 과학자들은 동물에서 빛의 신호는 옵신 단백질을 통해서만 이뤄진다고 ... ...
지구온난화 주범 ‘체' 하나만 있으면 OUT!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못해 균일한 분리막을 만드는 데 한계가 있다는 것. 연구팀은 구멍 크기가 0.37nm(나노
미터
·1nm=10억분의 1m)인 ‘카바자이트(CHA)’ 타입 제올라이트를 이용해 이산화탄소만 골라낼 수 있는 크기가 0.33nm 분리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제올라이트 속에는 주사위 모양과 납작한 모양의 ... ...
조명기구 LED, 의료용으로도 대활약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사실을 밝혔다. 피부 수포와 통증을 동반하는 대상포진 환자 14명에게 830nm(나노
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파장의 근적외선 빛을 쬐었더니 통증이 줄고 회복이 빨라졌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조만간 국제 피부과학저널에 게재될 예정이다. 김 교수팀은 이에 앞서 아토피 피부염에 걸린 생쥐에게 63 ... ...
지하철-엘리베이터 안에선 휴대전화 사용 자제하세요
동아일보
l
2013.04.30
통화를 시도했다. 이때 휴대전화에서 나오는 전자파를 측정한 결과 평균 0.42V/m(볼트퍼
미터
·전기장에 따른 전자파 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조사됐다. 일반 사무실에서 통화할 때 평균 전자파 0.14V/m보다 3배로 높은 수치다. 이는 지하철이 이동할 때 가장 가까운 거리의 기지국을 검색하기 어렵기 ... ...
왕릉을 태워먹은 노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모은 태실이 있다. 일제는 태실의 형태를 ‘일(日)’ 자 형태로 만들고 태실 묘석 높이도 3
미터
에서 1
미터
가량으로 대폭 축소하여 민족정기 말살을 시도했으며 서삼릉을 신사참배의 장소로 만들 목적으로 본래의 형태를 훼손해 공원화 했다. 또한 서삼릉에 각지에 있던 태실을 이전한다는 명복으로 ... ...
나노입자 뿌리니 태양전지 효율 20% 높아졌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비용이 장점인 ‘유기박막태양전지’가 대안으로 꼽히고 있지만 빛 흡수층이 수십 나노
미터
(nm=10억분의 1m)에 불과해 빛을 전기로 바꾸는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같은 태양광전지라도 빛을 충분히 더 모아 주면 발전효율이 높아질 것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다양한 실험을 거친 결과 ... ...
[부산/경남]밀양 ‘나노 산단’ 조성사업 속도 낼 듯
동아일보
l
2013.04.26
금형 제작과 이를 이용한 텔레비전용 편광필름 시제품을 개발하게 된다. 나노기술은 나노
미터
크기의 나노 물질을 만든 뒤 그들이 갖는 독특한 성질과 현상을 찾아내 정렬시키거나 조합해 유용한 기계나 장치, 시스템을 생산하는 기술이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와 필름, 태양전지처럼 재료(소재 ... ...
천재의 머리에만 있던 장치가 세상에 빛을 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집속이온빔밀링이라는 기술로 폭 62나노
미터
(나노는 10억분의 1)인 두 틈이 서로 272나노
미터
떨어져 있는 이중슬릿을 만들었다. 그리고 바로 뒤에 압전소자로 움직이는 가리개를 붙였다. 가운데가 창문처럼 뚫려있는 가리개가 이동하면 닫혀 있던 슬릿 가운데 슬릿1이 열리고 이어서 슬릿1과 2를 다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8000만 그루가 쓰러졌다고 한다. 그리고 수많은 순록이 타죽었다. 이 지역은 수십 킬로
미터
를 가도 사람 그림자도 볼 수 없는 외진 곳이었기에 인명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때 나무가 쓰러지는 방향이 원의 바깥을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1927년 무려 19년이나 지나 현장조사를 나간 과학자들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시작했고 곧 놀라운 통찰을 이끌어낸다. 즉 성층권 상부에 도달한 CFC는 파장 220나노
미터
미만인 자외선에 의해 쪼개지면서 탄소, 염소, 불소 원자로 해리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그리고 이렇게 해리된 염소가 오존을 공격해 파괴한다고 추측했다. 오존층은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오존층이 ... ...
이전
262
263
264
265
266
2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