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진실 혹은 거짓, 아인슈타인의 실수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물질’과 ‘암흑 에너지’라는 이름을 지었어요.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가 등장한 뒤, 아인슈타인이 실수라고 인정했던 우주 상수는 암흑 물질을 설명하는 기초 토대가 되기도 했습니다. 우주 상수는 원래 우주의 수축을 막아주는 미지의 힘을 설명하는 역할이었는데, 이제는 가속 팽창을 ... ...
- [4컷 만화] 세계 최초 ‘로봇 파일럿’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비행 시뮬레이터에 탑승한 파이봇은 관제탑의 지시를 수행하며 25분간 비행한 뒤 착륙했습니다. 심현철 교수는 “파이봇이 실제 경비행기도 직접 조종할 수 있는지 검증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항공우주국(NASA)의 랜드샛 인공위성이 관측한 이미지를 활용해 두 강의 경로를 표시한 뒤 수원에서부터 하구까지의 길이를 계산했어요. 하지만 바로 다음 해인 2009년, 중국과학원 리우 샤오창 박사팀은 정반대의 연구 결과를 내놓습니다. 이들은 브라질 연구팀과 같은 인공위성이 관측한 이미지를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샤워가 귀찮다면 꼭 봐야 하는 영상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귀찮은 사람, 주목! 크리에이터 ‘슈르 연구소’가 자동 샤워 기계를 만든 뒤 직접 체험해 봤어. 오색찬란 샤워볼이 달린 두 개의 기둥이 동시에 돌아가며 물줄기를 내뿜는다는데? 곧 수도를 옮기는 인도네시아의 상황과 브로콜리의 비밀을 알려주는 영상도 준비했으니 같이 보자고! 서 있기만 ... ...
- [숫자로 보는 뉴스] 윙윙~ 모기 살려! 모기가 3/10만큼 줄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줄일 수 있게 된 거예요. 이전에는 약 5와 6/10L(리터)의 살충제를 사용했다면, DMS를 활용한 뒤에는 1과 1/2L만으로도 모기 수를 줄일 수 있었지요.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모기 수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면, 살충제를 덜 사용하는 것은 물론 말라리아★와 같은 감염병으로부터 ... ...
- [출동, 슈퍼M] 알찬 계획표, 어떻게 만드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원을 12칸이 아닌 24칸으로 나눠야 하지요. 시계처럼 12칸으로 나뉜 원을 먼저 그린 뒤, 각 칸을 1/2씩 나누면 24칸이 돼요. 24칸으로 나뉜 생활계획표에서 한 칸의 각도는 15˚예요. 컴퍼스로 원을 그리고, 한 칸이 15˚가 되도록 24칸으로 나눈 다음 생활계획표를 만들어 볼까요? 나의 하루를 알차게 ... ...
- 아마존강 머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지류인 만타로강에 주목했습니다. 만타로강은 아푸리막강과 합류해 에네강을 형성한 뒤, 우카얄리강으로 흘러들어 대서양으로 빠져나가죠. 만타로강의 상류는 크게 세 개의 지류로 나뉩니다. 연구팀은 지도를 보며 각 지류가 시작되는 지점을 직접 거슬러 올라간 후, GPS를 장착한 카약을 타고 각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하구, 산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되는 물질입니다. 산소가 없는 상태로 5분이 지나면 우리 몸은 뇌사 상태에 빠지고, 8분 뒤면 죽음에 이를 수 있어요. 다행히 산소는 수소, 헬륨에 이어 우주에서 세 번째로 풍부한 원소랍니다. 산소는 사람을 비롯해 대부분의 생물이 사는 데 꼭 필요합니다. 각 생물들이 호흡하면서 끊임없이 산소를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5호
- 했어. 보이저 1호1977년 미국에서 발사된 우주 탐사선이에요. 목성과 토성을 탐사한 뒤, 2012년 태양계를 벗어나 성간공간으로 떠났어요. 보이저 1호는 한 시간에 약 6만 1500km를 갈 수 있어요. 여행한 지 45년이 된 2023년 6월을 기준으로, 지구에서 약 239억 km 떨어진 거리까지 갔지요. 성간공간과 ... ...
- [4컷 만화] 3D 프린터로 만든 심장, 100일 넘게 박동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높이 14mm, 지름 8mm로 사람의 심장보다 6배 작은 크기였어요. 프린트된 심장은 일주일 뒤부터 박동하기 시작해 100일 넘게 박동을 유지했습니다. 심장 박동을 촉진하는 물질인 ‘페닐에프린’을 주입하자 진짜 심장처럼 박동 속도가 더 빨라지기도 했죠. 바이오 잉크로 인쇄한 심장은 환자 본인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