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어휘가 200개만 돼도 30% 이상을 차지한다고 한다. 어린 시절부터 습득한 공간 어휘
덕분
에 한국인은 연속적인 공간을 어휘 의미에 따라서 자연스레 범주화할 수 있다.언어도 사고 영향 받아그렇다면 언어는 모든 사고를 지배하는 강력한 힘을 갖고 있는가. 언어가 사고에 거의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는 ... ...
속 보이는 사진 속 예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충족됐다. X선은 굴절하거나 반사하지 않고 직진하는 성질만 있다. 이 특이한 직진성
덕분
에 X선은 물체를 만났을 때 그대로 통과하거나 흡수되는데, 물체를 통과하고 남은 빛을 감광필름에 쬐면 물체 내부의 모습이 찍혀 나온다.그렇다면 꽃에 X선을 쬐면 어떨까. 과연 꽃잎들로 둘러싸인 중심부도 ... ...
작은 RNA 조각으로 불치병 해결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교육과학기술부 마이크로RNA창의연구단 단장 한 번만 들어도 기억이 날 만큼 특이한 이름
덕분
에 인생에 있어서 뚜렷한 가치관이나 목표가 생기지 않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김 빛내리 교수는 수줍게 웃었다. “어려서부터 눈에 띄기보다는 조용하게 지내는 걸 좋아했어요. 그래서 특이한 이름이 ... ...
소수점 하나가 세상을 바꾼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세상의 모든 수를 표현할 수 있는 것도, 쉽게 크기 비교도 할 수 있는 것도 이 원리
덕분
이다. 소수도 기수법의 원리를 따른다."소수도 자연수처럼 10진법을 사용해야 합니다"이를 공식적으로 주장한 사람은 프랑스 수학자 비에트다. 비에트는 1579년에 60진 소수 체계 대신에 10진 소수 체계를 ... ...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것”이라고 전했다.오캠의 가장 큰 장점은 초당 1500프레임이라는 촬영 속도다. 이 성능
덕분
에 대기 때문에 별빛이 번지는 현상을 잡아냈다. 빠른 속도로 질주하는 자동차를 DSLR의 셔터 속도를 높여 찍으면 도로 위에 주차한것처럼 보이게 하는 원리와 비슷하다. 오캠은 대기의 움직임이 지상으로 ... ...
지구촌 일일생활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일환으로 도로의 정비와 다양한 교통수단의 개발 및 개선에 박차를 가하던 시기였다. 이
덕분
에 전국 어디라도 하루 안에 다녀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그로부터 20여 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수시로 우주를 드나드는 세계에 살고 있다. 이제는 자국 내에서 이동하는 수준이 아니라 전 세계를 하루 ... ...
가위바위보 필승전략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잘못된 표현이라는 걸 알아야 한다. 북한에선 가위바위보를 ‘돌가위보’라고 부른다.
덕분
에 우리처럼 가위바위보를 ‘가위가위보’라고 잘못 부르는 일은 없을 것이다. 확률을 알면 승리가 보인다친구 4명이서 가위바위보를 하면 쉽게 승부가 나지 않는다. 가위바위보는 매우 복잡한 경우의 수를 ... ...
Part 3. 수학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못했을 것이다.수학을 알면 논리가 보인다수학자에 의해, 수학을 위해 만들어 낸 컴퓨터
덕분
에 현대 사회는 이루 말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발전을 이뤄 냈다. 그런데 역설적으로 이와 같은 문명의 이기때문에 오히려 사람들의 수학 능력이 쇠퇴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인터넷이나 휴대전화처럼 ... ...
Part 1. 수학 기피증을 극복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0호
혼자 수학을 공부했어. 그가 수학자로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은 영국의 수학자 하디
덕분
이야. 라마누잔의 천재적인 수 감각은 1917년 그가 병원에 입원해 있을 때의 일화로 전해지고 있어. 병문안을 온 하디가 자신이 타고 온 택시 번호가 아무 특징이 없는 1729라고 말하자, 라마누잔은 1729는 두 개의 ... ...
100년 넘은 광학법칙 깨뜨린 나노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안 했기 때문에 이런 시뮬레이션을 한 사람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저희는 나노기술
덕분
에 이런 행운을 잡은 것이죠.”연구팀의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보면 나노렌즈를 통과하면서 빛이 심하게 꺾일 뿐 아니라 경로가 휘어지는 초굴절 현상이 나타난다. 그 결과 초점거리가 렌즈의 크기와 곡률로 ... ...
이전
278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