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단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연구해 온
덕분
인 셈이다. 제 단장은 “X선 영상기술은 나노과학과 생명과학의 발전을 이끌 뿐 아니라 과학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 중심에우리 연구단이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대부가에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다.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 금빛 찾기까지회격묘
덕분
에 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와 저고리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지만 오랜 세월 탓에 먼지와 때가 많이 묻어 금빛은 바래 있었고 악취도 심하게 났다. 일반적으로 무덤에서 출토된 의복은 그대로 ... ...
지구 광물 태반은 생명체 작품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생명의 기원과 관련한 점토 광물의 역할에 대한 헤럴드 모로비츠의 도발적인 질문
덕분
에 우리는 지금 광물이 생명체를 생기게 했을 뿐 아니라 생명체도 광물을 생기게 했음을 깨달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행성이나 위성에서 관찰된 광물 종류는 생물체의 존재 여부를 알 수 있는 결정적인 증거가 ... ...
건축구조시스템공학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편안하게 지낼 수 있는 이유는 건축물에 안전과 기능성을 부여하는 건축구조시스템공학
덕분
이다. 앞으로도 새로운 재료 개발과 구조 기술의 강화가 이뤄져 더 멋지고 높은 빌딩이 탄생하길 바란다 ... ...
사막개미의 내비게이션은‘냄새’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이번 연구로 시각뿐만 아니라 후각 정보를 수집한다는 게 밝혀진 거예요. 이런능력
덕분
에 사막 개미들은 먹이를 찾기 위해 100m이상 돌아다녀니면서도 집을 찾을 수 있는 거랍니다. 어때요? 우리 개미들의 길찾기 능력이 사람들이 쓰는 내비게이션 못지 않으니 저야말로 과학계의 거물이 아닌가요 ... ...
[로봇공학] 인간처럼 넘어지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로봇의 접촉면적을 넓혀 부딪힐 때의 충격을 몸 전체로 분산시키는 방법이다. 이 방법
덕분
에 충격이 특정 부분에 집중돼 그 부분이 아예 망가져 버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연구팀은 6~7월 두 달에 걸쳐 열리는 로보컵 대회에 안전하게 넘어지는 기술이 가미된 새로운 로봇을 출전시켜 실전에서 ... ...
고강도 액체금속 개발한 청국장 마니아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세계에서 가장 오랫동안 일을 하는 나라, 잠자는 시간이 가장 짧은 나라인 대한민국에 온
덕분
에 훌륭한 연구 성과를 많이 낼 수 있다며 만족해했다.플러리 박사 연구팀에서 개발한 고강도 액체금속은 현재 산업 재료로 쓰이는 액체금속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이다. 액체 금속은 구리나 철 같은 ... ...
1억 년 전부터 흰개미와 미생물 공생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지금까지 발견된 공생 관계 중 가장 오래된 사례다.흰개미는 나무를 먹는 특이한 식성
덕분
에 종류만 2300개가 넘을 정도로 널리 번식했다. 포이날 교수는 “흰개미는 셀룰로오스 안에 살면서 죽은 나무를 씹어 먹지만 나무를 소화시킬만 한 능력이 없다”며 “나무를 소화시키는 효소를 가진 ... ...
[심리학] 돈 생각에 서러움도 잊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사람들이 소외를 당하거나 신체적인 아픔이 있는데도 저항하지 않았다며, 이는 돈
덕분
에 자신감과 힘, 그리고 생각에 유연성이 생겼기 때문이라고 ‘심리과학’ 온라인판 5월 9일자에서 밝혔다.저우 박사는 돈을 얻는다는 잠재적인 생각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하기 위해 100여 명의 학생들 중 ... ...
만성 바이러스 질환 치료하는 백신 개발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건강한 이유는 면역 시스템이 병든 세포들을 없애는
덕분
입니다.”면역제어연구단을 이끄는 서울대 생명과학부 안광석 교수는 “면역 시스템에 관여하는 세포 중에서 특히 종양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를 찾아내 없애는 ‘킬러 T세포’(killer T cells)는 우리 몸을 ... ...
이전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2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