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몸속에서 일어나는 리얼리티 드라마 생물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돋아 있다. 융털은 다시 미세한 융털돌기로 덮여 있어 표면적을 크게 넓힌다. 이런 구조
덕분
에 소장의 상피세포에서 영양소를 빠르게 흡수한다. 상피세포로 흡수된 영양분은 혈관을 타고 심장에 전달된 뒤 다시 온몸으로 퍼져나간다.소장에서 흡수된 영양분과 폐에서 공급받은 산소를 온몸에 ... ...
선수마다 다른 축구화의 비밀, 스터드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애슐리 콜 같은 수비수가 박지성 선수를 순발력 있게 마크할 수 있었던 것은 높은 스터드
덕분
이며, 웨인 루니 선수가 민첩하게 상대편 수비라인을 피할 수 있었던 것은 스터드가 낮은 축구화를 신었기 때문인 셈이다.최근엔 공격수, 수비수 포지션에 관계없이 막대형 스터드를 선호한다. 막대형 ... ...
거울이 보여 주는 요지경 같은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각도와 같은 각도로 완전히 반사됩니다. 이런 반사를‘전반사’라고 해요. 전반사
덕분
에 우리는 거울에 얼굴이나 물체를 비춰 볼 수 있지요. 반대로 표면이 울퉁불퉁한 물체를 만난 빛은 여러 방향으로 멋대로 반사됩니다. 이것을‘난반사’라고 하지요.거울로 삼각기둥을 만들면 3개의 거울이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짧고 전자렌즈가 전자기장을 이용해 전자이온빔을 흩어지지 않게 한 줄기로 모으는
덕분
에 세포 핵 속의 미세 구조까지도 볼 수 있을 만큼 해상도가 높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부에 있는 HVEM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성능을 인정받고 있는 최첨단 전자현미경이다. 일반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갖춘 여성 엔지니어 양성)사업’ 가운데 하나인 ‘현장 적응능력 향상프로그램’
덕분
이다. 군산대에서는 2004년부터 여학생이 공학을 이해하고 기계 장비를 다루도록 도와주는 이 프로그램을 시작했다.이제 공대는 더 이상 ‘남자만 들어가는 곳’이 아니다. 전공과 취업에서 공대 여학생 비율도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앞날개만큼이나 큰 뒷날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 아이스너 교수는 “현란한 비행
덕분
에 야행성인 나방은 박쥐의 공격에서 벗어나고, 낮에 다니는 나비는 새의 먹이가 되지 않는다”며 “이들은 민첩한 비행을 위해 커다란 뒷날개를 발달시켰다”고 설명했다. 보통 새들이 공중에서 곤충을 잡을 ... ...
분석과학으로 노벨상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쏴 입체 구조를 예상할 수 있는 3차원 NMR를 개발했고 1991년에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
덕분
에 단백질 분자의 3차원 분석이 가능해져 세포 안에 있는 여러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밝혀냈다.미국 폴 로터버와 피터 맨스필드는 NMR 원리를 응용해 물질의 구조를 영상화해서 분석하는 MRI를 개발했다. ... ...
진화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민트패드’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하나도 무시하지 않고 7번에 걸친 펌웨어 업데이트 예고제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덕분
이다.민트패드는 여러 가지 기능을 단순히 모아놓는데 그치지 않는다. 모든 기능은 손바닥만 한 민트패드에서 최대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민트패드에 내장된 130만 화소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물은 비열이 크기 때문에 데울 때 큰 에너지가 들고 한 번 데워지면 잘 식지 않는다.
덕분
에 바다는 지구의 기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커다란 에어컨 역할을 한다. 또 물은 생명 활동에 필수다. 만약 지구에 바다가 형성되지 않았다면 지구는 영원히 무생물의 행성이 됐을 것이다.햇빛 속에 떠다니는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힘을 합쳐 거둔 놀라운 팀워크의 결과였다.스무트 교수는 코비 위성의 관측 결과
덕분
에 2006년 존 마더 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 박사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코비 결과가 발표된 지 14년 만에 노벨상이 수여된 것은 노벨상위원회로부터 그만큼 놀라운 업적이라고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