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성을 깨우는 목소리, 열정이 담긴 방송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거르거나 방송을 끝내자마자 허겁지겁 시험을 보러가는 일도 종종 생긴다.이런 열정
덕분
일까. 방송연구회 회원들에게 홍보 영상물을 제작해 달라는 ‘러브콜’이 쏟아진다. 신입생이 입학하는 3월이나 축제를 앞둔 4월 말이면 각 동아리에서 앞 다퉈 취재 요청이 들어온다. 정성훈(05학번) 씨는 “각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짧고 전자렌즈가 전자기장을 이용해 전자이온빔을 흩어지지 않게 한 줄기로 모으는
덕분
에 세포 핵 속의 미세 구조까지도 볼 수 있을 만큼 해상도가 높다.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전자현미경연구부에 있는 HVEM은 국내는 물론 세계적으로도 성능을 인정받고 있는 최첨단 전자현미경이다. 일반 ... ...
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힘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심장박동조절기의 배터리를 바꿀 필요가 없고 나노선들이 배열된 초소형보청기
덕분
에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전기가 나오는 ‘마법의 돌’ 압전체. 은밀한 중에 우리를 도울 또 다른 마법을 준비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나노로봇 움직이는 나노발전기의 ... ...
방송국에 숨어 있는 빛과 소리의 마술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깨끗하게 잡힌다. 붐 마이크는 배우에게서 1.5~2.5m 떨어져 있는데다가 윈드스크린
덕분
에 잡음 크기를 6dB이나 줄인다. 결국 다른 마이크보다 먼 거리에 떨어져있어도 녹음하려는 소리만 깨끗하게 입력할 수 있다.사람은 주변이 아무리 시끄럽더라도 자기가 원하는 소리를 집중해 들을 수 있다. 이를 ... ...
여성이 공학에 빠질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갖춘 여성 엔지니어 양성)사업’ 가운데 하나인 ‘현장 적응능력 향상프로그램’
덕분
이다. 군산대에서는 2004년부터 여학생이 공학을 이해하고 기계 장비를 다루도록 도와주는 이 프로그램을 시작했다.이제 공대는 더 이상 ‘남자만 들어가는 곳’이 아니다. 전공과 취업에서 공대 여학생 비율도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힘을 합쳐 거둔 놀라운 팀워크의 결과였다.스무트 교수는 코비 위성의 관측 결과
덕분
에 2006년 존 마더 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 박사와 함께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코비 결과가 발표된 지 14년 만에 노벨상이 수여된 것은 노벨상위원회로부터 그만큼 놀라운 업적이라고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 ...
[의학]모기로 말라리아 퇴치하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외부에서 침입한 원충을 찾아 몸 표면에 구멍을 뚫어 죽인다.모기는 이런 면역시스템
덕분
에 말라리아에 감염돼도 원충을 80~90%까지 죽인다. 하지만 말라리아 원충의 10% 정도가 면역시스템을 피해 살아남아 모기가 피를 빠는 동안 모기의 침을 통해 사람에게 전염된다.크리스토피드 박사는 “모기를 ... ...
진화하는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민트패드’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하나도 무시하지 않고 7번에 걸친 펌웨어 업데이트 예고제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한
덕분
이다.민트패드는 여러 가지 기능을 단순히 모아놓는데 그치지 않는다. 모든 기능은 손바닥만 한 민트패드에서 최대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예를 들어 민트패드에 내장된 130만 화소 ... ...
분석과학으로 노벨상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쏴 입체 구조를 예상할 수 있는 3차원 NMR를 개발했고 1991년에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
덕분
에 단백질 분자의 3차원 분석이 가능해져 세포 안에 있는 여러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밝혀냈다.미국 폴 로터버와 피터 맨스필드는 NMR 원리를 응용해 물질의 구조를 영상화해서 분석하는 MRI를 개발했다. ... ...
나비가 춤추듯 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앞날개만큼이나 큰 뒷날개를 유지할 필요가 있을까. 아이스너 교수는 “현란한 비행
덕분
에 야행성인 나방은 박쥐의 공격에서 벗어나고, 낮에 다니는 나비는 새의 먹이가 되지 않는다”며 “이들은 민첩한 비행을 위해 커다란 뒷날개를 발달시켰다”고 설명했다. 보통 새들이 공중에서 곤충을 잡을 ... ...
이전
284
285
286
287
288
289
290
291
2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