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생기고 나면 안쪽의 알루미늄은 산소로부터 보호를 받는다.따라서 산화알루미늄피막
덕분
에 산소와 반응이 늦어진 알루미늄은 오히려 철보다 늦게 산화된다.베트남의 길거리를 걷다보면 음료수 캔을 재활용해 만든 모자를 판매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모자의 소재는 모두 알루미늄 캔이다. ... ...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만들었다.여와는 조롱박의 화신(化身)으로 인류를 창조한 뒤 사람들을 보살폈고 그
덕분
에 사람들은 태평성대를 보냈다. 그러던 어느 날 하늘이 무너져 내리며 큰 구멍이 뚫렸고 구멍으로 많은 비가 쏟아져 내려 인간 세상 대부분이 물에 잠겼다. 동시에 땅에는 지진이 일어 깊은 구덩이가 파였고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방식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도 한다. 유전공학과 분자표지 기술이 결합된 분자육종
덕분
에 가능해진 일이다.분자육종은 지구촌 식량부족 문제의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질병에 잘 견디는 품종을 개발해 작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막이나 간척지 같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 ...
바이러스 껍질, 캡시드의 기하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있는데, 단백질 하나당 염기 3개를 커버한다. 이처럼 규칙적인 구조의 단백질 캡시드
덕분
에 막대형 바이러스는 열에 강하다. TMV의 경우 50℃의 건조한 담배잎 표면에서 30분을 버틸 수 있다.박테리아에 감염하는 M13 박테리오파지 역시 막대형 바이러스로 염기 6407개로 이뤄진 DNA단일가닥 유전체를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올 때 잠시 사용하는 피난방을 만들어. 입구에는 크게 1m 정도의 높이로 흙무더기를 쌓아.
덕분
에 비가 와도 물이 쉽게 들어오지 않고, 그 위에 올라가서 적이 다가오는지 감시도 할 수 있어.만약 뱀과 같은 위험한 동물이 침입하면 우리는 따로 만들어 놓은 뒷문으로 도망가. 이 뒷문은 출입구와 달리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대부가에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다.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 금빛 찾기까지회격묘
덕분
에 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와 저고리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지만 오랜 세월 탓에 먼지와 때가 많이 묻어 금빛은 바래 있었고 악취도 심하게 났다. 일반적으로 무덤에서 출토된 의복은 그대로 ... ...
나로 호 성공, 발사 뒤 5초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좋은 제품(위성)을 만들어도 이를 운송할 수 있는 교통수단(로켓)이 없었지만 나로 호
덕분
에 이 문제를 풀 수 있게 됐다.사실 우리가 로켓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3년 과학관측로켓 1호인 ‘KSR-I’ 발사에 성공한 뒤 KSR-II(1998년), KSR-III(2002년)을 잇따라 쏘아 올렸다. 하지만 본격적인 ... ...
[입학사정관제] 입학사정관제 1차 전형 통과 비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한양대 이철우 입학홍보팀장은 “일반 전형에서 아슬아슬하게 떨어질 학생이 특기
덕분
에 합격한다고 생각하라”며 “기본적으로 강의를 이해하고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교과 성적이 적어도 3~4등급은 돼야 한다”고 말했다.성균관대 홍승우 입학사정관도 “합격했더라도 열심히 ... ...
유전자에서 단백질까지 살피며 질병 원인 한눈에 파악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400만 개의 염기서열을 읽어내는 ‘게놈 애널라이저’라는 장비가 개발됐다. 이 장비
덕분
에 사람 1명의 DNA 염기서열을 읽는 데 걸리는 시간이 수년에서 3주로 단축됐다. 한편 연구팀은 올해 심장종합데이터관리시스템(CIDMS)을 구축했다. 유전자나 단백질 같은 심장세포와 관련 있는 모든 유효한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단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연구해 온
덕분
인 셈이다. 제 단장은 “X선 영상기술은 나노과학과 생명과학의 발전을 이끌 뿐 아니라 과학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 중심에우리 연구단이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