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결국 수차례 설계를 변경하며 고심한 끝에 최종안을 만들었죠.”과학계에서는 아라온 호
덕분
에 한국이 남극기지 운영 방식을 크게 바꿀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현재 건설을 추진 중인 남극 대륙기지가 제대로 연구기능을 수행하려면 고도의 과학장비를 갖추고 남극을 자주 드나들 수 ... ...
여름밤 불청객 모기 뒤집어 보기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관찰한 결과 나노미터 단위의 미세한 털들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 모기는 이 털
덕분
에 물에 젖지 않고 표면장력이 생겨 물 위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자기 몸무게의 23배만 한 힘에도 저항해 벽에 오래 붙어 있을 수 있다.연구팀은 이 연구 결과를 미국 물리학 학술지인‘APS저널’에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방식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기도 한다. 유전공학과 분자표지 기술이 결합된 분자육종
덕분
에 가능해진 일이다.분자육종은 지구촌 식량부족 문제의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 질병에 잘 견디는 품종을 개발해 작물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막이나 간척지 같은 척박한 환경에서도 ... ...
빛과 전자가 만나 광정보통신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연구단의 논문이 평균 약 20편씩 인용되고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럽다”고 말했다.이런
덕분
일까. 지난해 서울대 자체 조사결과에 따르면 연구단은 의대를 포함한 서울대 이공계 전체 학과에서 SCI논문을 3번째로 많이 내는 연구실로 선정됐다. 최근 3년간 64편의 논문을 내 평균 한 달에 2편꼴로 ... ...
음료수 속에 숨은 과학 제2탄!!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생기고 나면 안쪽의 알루미늄은 산소로부터 보호를 받는다.따라서 산화알루미늄피막
덕분
에 산소와 반응이 늦어진 알루미늄은 오히려 철보다 늦게 산화된다.베트남의 길거리를 걷다보면 음료수 캔을 재활용해 만든 모자를 판매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모자의 소재는 모두 알루미늄 캔이다. ... ...
400년 된 무덤에서 되살아난 금빛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사대부가에서 크게 유행하기 시작했다.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 금빛 찾기까지회격묘
덕분
에 행주 기 씨의 직금단 치마와 저고리는 형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었지만 오랜 세월 탓에 먼지와 때가 많이 묻어 금빛은 바래 있었고 악취도 심하게 났다. 일반적으로 무덤에서 출토된 의복은 그대로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가깝게 통신하며 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38만 4400km에 불과한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
덕분
에 달이 ‘안성맞춤’ 우주 전초기지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달 먼지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려면하지만 달에 사람이 장기간 체류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위험 요소를 해결해야 한다. 고에너지 입자에 의한 ... ...
“참여·공유 내건 학술지, 온라인 오픈”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식물이 성장하는 데 빛이 큰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늘 신기하게 생각했죠.” 이런 관심
덕분
에 남 교수는 학문의 미개척지였던 식물 유전자 연구 분야에 뛰어들었다. 그는 1988년부터 식물을 분자 유전학으로 연구해 왔다. 1999년 9월에는 식물에서 개화시기를 조절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 ...
나노 세계 들여다보는 차세대 X선현미경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단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연구해 온
덕분
인 셈이다. 제 단장은 “X선 영상기술은 나노과학과 생명과학의 발전을 이끌 뿐 아니라 과학계에 새로운 지평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며 “그 중심에우리 연구단이 있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 ...
나로 호 성공, 발사 뒤 5초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좋은 제품(위성)을 만들어도 이를 운송할 수 있는 교통수단(로켓)이 없었지만 나로 호
덕분
에 이 문제를 풀 수 있게 됐다.사실 우리가 로켓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1993년 과학관측로켓 1호인 ‘KSR-I’ 발사에 성공한 뒤 KSR-II(1998년), KSR-III(2002년)을 잇따라 쏘아 올렸다. 하지만 본격적인 ... ...
이전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