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기르는 사람들이 많아졌다1900년대1930년대에 시리아에서 처음으로 야생 골든 햄스터를
채집
해 사육했다. 이 밖에도 작은 새들, 파충류 등 다양한 종류의 애완동물이 유행하기 시작했다1983년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애완동물 국제 심포지엄에서 애완동물은 사람의 장난감이 아닌, 사람과 더불어 사는 ... ...
애벌레 몸속엔 부동액이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많은 학생들과 아마추어 애호가들이
채집
, 사육한 정보가 유용한 자료가 된다. 세심히
채집
하고 사육하고 철저하게 관찰하는 일은 즐거우면서도 동시에 과학적 활동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애벌레 사육을 통해 얻은 기록을 공유할 수 있다면 생물학 발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글을 읽었던 많은 ... ...
불굴의 탐사선 하야부사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이다.현재 태양계 탐사의 가장 큰 화두는 ‘물’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어떤 우주물질
채집
탐사에서도 물이 포함된 광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물이 포함된 광물의 존재는 태양계의 핵심 의문 사항 중 하나인 지구에 있는 물의 기원을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하다. 그동안 물의 기원으로 혜성, 소행성,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새 순만 먹기 때문에 이름 붙은 복숭아순나방도 봄의 중요성을 보여준다.애벌레를
채집
할 때 털이 있는 종류는 모두 조심해야한다. 몸을 감싼 애벌레 털은 포식자에게는 껍데기를 까서 먹어야하는 불편함을 주고 기생벌도 정확히 침을 꽂기 어렵게 만든다. 솔나방과나 불나방과 그리고 재주나방과 ... ...
촉촉한 똥은 애벌레가 있는 곳을 알고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왜 죽었는지 몹시 궁금했다. 올해도 참나무 고목에 붙어 있는 똑같은 종류의 애벌레를
채집
했다. 참나무가 아니라 거기에 붙어있는 지의류를 먹고 넉점박이불나방이 나왔다. 하고 많은 식물을 놔두고 왜 지의류를 먹는지 그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붉은줄불나방, 넉점박이불나방, ... ...
팔딱팔딱! 민물고기를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작은 수조에 담아 준비한다.❷ 20℃의 멸균된 물에 암컷의 산란관 위쪽을 살짝 눌러 알을
채집
한다.❸ 알이 담긴 물에 대고 수컷의 배를 살짝 눌러 뿌연 정액을 뿌린다. ❹ 4~5회 정도 흔들어 주고 5분 동안 잘 보관한다.❺ 스포이드를 이용해 샬레에 알을 옮긴다.❻ 수정하고 2일이 지나면 부화한다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내려 자원이 많은 곳이 어딘지 둘러봐요. 그리고 그 곳에 로봇 집광기를 넣어서 광물을
채집
해요. 이렇게 채취한 광물을 제련소에서 녹이면 우리가 필요한 금속들을 얻을 수 있어요. 최근 전세계에서 많이 찾는 해양 자원으로는 망간단괴, 망간각, 해저열수광상 등이 있답니다"문재운 ... ...
예상보다 짧은 맨틀의 순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5억 년 만에 다시 나온다고 주장했다. 연구팀은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에서 화산암을
채집
했다.이 화산은 깊이 3000km 지점에서 솟아오른 열점이 압력이 낮은 표면 근처에서 폭발한 것이다.연구팀은 화산암 속에 있는 감람석에서 과거 해양 지각이 가라앉을 때 흡수된 미량의 해양찌꺼기를 ... ...
나비처럼 날아 애벌레같이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횡성군 갑천면의 연구소 주변에서 암끝검은표범나비 애벌레 1개체를
채집
했다. 애벌레를
채집
한 것은 바람에 몸을 맡겨 이동하는 어른벌레를 확인한 것과는 의미가 다르다. 번식을 위한 진출로 추정할수 있으며 이미 4∼5월 중에 암끝검은표범나비 암컷이 북상 후 알을 낳았다는 증거이다.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물론 우주먼지 자체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 수가 없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우주먼지를
채집
하려고 시도해왔는데 가장 유명한 프로젝트가 바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진행한 ‘스타더스트(Stardust)’ 미션이다.1999년 2월 8일 발사된 탐사선은 빌트2(Wild 2)로 불리는 혜성에 접근해 우주먼지를 ... ...
이전
25
26
27
28
29
30
31
32
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