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삿바늘 없는 독감 백신 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7월 14일
채집
한 모기 중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2마리가 처음으로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일본뇌염은 치사율이 30%나 되는 무서운 병으로 7~20일의 잠복기를 거쳐 고열, 두통, 구토 등의 증세를 나타내고 심할 경우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그러나 미리 예방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쉽게 얻을 수 있으면 더 좋지요”오 본부장과 동료들이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나라에서
채집
한 담수 조류는 총 250종(species) 1200주(strain)에 이른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이렇게 확보한 조류 가운데 가능성이 있는 걸 고른 뒤 유전공학, 대사 공학의 기술을 써서 기능을 강화한 우량 조류를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배다리를 심각하게 손상을 입히지 않고서는 떼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애벌레
채집
시에는 붙어 있는 가지나 잎 자체를 잘라서 연구소로 데려와 사육한다. 같은 종의 먹이식물을 넣어 애벌레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방법밖에 없다. 배다리의 숫자는 해부 현미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애벌레를 ... ...
친구들 속에 묻어가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키우면서 관찰한 사실에 바탕을 두고 구성한 것이다. 다음 달부터는 애벌레의 분류 및
채집
과 사육에 관한 내용을 이야기할 예정이다. 생존 전략의 이야기를 마감하면서 그 동안 독자들에게 많이 받았던 질문을 요약, 정리한다.1. 왜 애벌레는 모든 동물들이 선호할까애벌레는 전 생애에 걸쳐 사용할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뒤집어쓰고 전신 우의에 손에는 2겹의 고무장갑을 끼었다. 완전 무장을 한 목숨 건
채집
작업이었다.지름 약 30cm의 벌집을 해체하니 굉장한 건축물이 나타났다. 짧은 끈으로 매단 것 같은 말벌집의 주춧돌(두께 7.5cm)에 지름 16~21cm에 이르는 6개층의 애벌레집이 각각 가느다란 기둥 위로 일정하게 ... ...
스마트시대, 우리는 스마트해졌나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채집
인’인 인류의 본능에 완벽하게 맞아떨어진다는 점이다.즉 사바나를 누비며 사냥과
채집
을 하며 살아온 인류의 피가 끊임없이 무언가를 검색하고 하이퍼링크를 통해 꼬리에 꼬리를 물며 추적해가는 인터넷의 양식에 끓어오를 수밖에 없다는 것. 현대인들은 스스로를 ‘디지털 유목민(digital nomad ... ...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2010년 7월 15일 치악산 국립공원 조사 중 왕나비 애벌레 1개체를
채집
했다. 애벌레로
채집
되기는 본 조사가 최초 기록이다. 이 애벌레는 박주가리과 큰조롱을 먹이식물로 삼으며 7월 17일 번데기를 만든 뒤 7월 30일 89mm의 왕나비 수컷 성충으로 우화했다.[왕나비 (Parantica sita ) 분류 : 나비목/네발나비과, ...
메가마인드와 함께하는 사이언스 반전극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박사는 비소가 많이 들어 있는 미국 모노 호수에서 이 미생물을 발견했어요. 이 미생물을
채집
해 인이 없고 비소가 풍부한 배양액에 넣었더니, 계속 잘 자랐답니다. 인은 생명체에서 DNA나 RNA와 같은 유전 물질을 구성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요. 그런데 이 미생물은 DNA에서도 비소가 ... ...
과학이 맺어준 커플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훨씬 정확히 맞췄다. 수 천년 전 사냥을 담당했던 남성은 사냥감을 찾기 위해 먼 거리를,
채집
을 담당하는 여성은 과일 등을 찾기 위해 사물을 세밀하게 보도록 시력이 진화했기 때문이다. [여성의 입술이 붉을수록 에스트로겐이 많이 분비된다는 뜻이다. 에스트로겐을 많이 만들 수 있다는 유전적 ... ...
국제동물농부협회 참관기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륙에 살고 있는 220여 종이 농사법을 터득했죠. 한반도에 사는 개미들은 아직 ‘수렵
채집
’의 원시적인 생활단계라고 들었습니다. 이참에 농법을전수하고 돌아갈까요?사람들 농사도 그렇지만 저희 역시 병충해가 골치입니다. 그래서 저희는 몇 가지 해결책을 마련했습니다. 예를 들어 운반해온 ... ...
이전
26
27
28
29
30
31
32
33
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