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집
모집
채취
집합
d라이브러리
"
채집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남태평양 리얼 야생 체험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투명하던 바닷물이 뿌옇게 변했다. 플랑크톤이 모여든 것이다. 플랑크톤을 망으로
채집
해 실험실로 이동했다.플랑크톤은 바다 생태계의 근간이 된다. 양분이 많은 흙에서 식물이 잘 자라듯이, 플랑크톤이 많은 바다에서는 많은 바다생물이 살아간다. 축이 열대생물의 보물창고라 불리우는 이유는 ... ...
암은 과거에 없던 현대병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로잘리에 데이비드 교수팀은 최대 3000년 전의 미라 수백 구에서 세포 조직을
채집
하고 특수 처리해 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연구진은 과거에는 외과수술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으므로 악성종양인 암이 있었다면 흔적이 남아 있을 것이라 예상했다. 관찰 결과 수백 구 중 오직 한 구에서만 악성종양의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깃털이 하나는 밝고 하나는 어두운 26쌍을 골랐다.그 뒤 새의 몸에 기생하는 이를
채집
해 이 가운데 같은 속(屬)에 속하는 이를 선별해 몸 색깔을 비교했다.그 결과 깃털 이를 비교한 16쌍 가운데 13쌍이 밝은 색의 깃털에는 밝은 이가, 어두운 깃털에는 어두운 이가 사는 걸로 확인됐다. 반면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채취했는데 생각과는 많이 달랐다”고 전했다. 다만 얼음 속에서 식물성 플랑크톤은
채집
할 수 있었다. 김 연구원은 “얼음 속에 언 상태로 겨울을 난 뒤 얼음이 녹으면 다시 살아나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연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 ...
에너지 ‘1등급’ 오랑우탄의 말 못할 속사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비율을 분석해 칼로리 소비량을 알아냈다. 또 안정시대사량(RMR)을 측정하고 소변을
채집
했다. 실험 결과 오랑우탄은 몸에 비해 음식을 적게 섭취할 뿐 아니라 에너지를 적게 썼다. 연구진은 오랑우탄이 포유류 중 가장 높은 에너지 효율을 보였으며, 기근에도 살아남기 위해 이런 체질을 갖게 된 ... ...
‘자연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람의 후각과 미각은 너무 무뎌졌다. 동물처럼 본능에 따라 찾지 않고 일단 몽땅
채집
한 뒤 분류하는 방식으로 적합한 식물을 찾는다. 시간도 오래 걸리고 손도 많이 간다.과학자들은 여우원숭이에게 그들이 한 번도 본 적 없는 10가지 식물의 잎을 주고 먹게 했다. 이 중 5가지는 소화를 억제하는 ... ...
20분에 1종씩 생명이 사라지는 지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있는 셈이다. 보고서는 이들 약용 식물이 사람들에게 신뢰감을 주고는 있지만 과도한
채집
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고 지적했다. 쌀 품종만 보더라도 1950년대 중국에서 4600종에 이르던 품종이 2006년에는 1000종으로 크게 줄어 유전적 다양성도 위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보고서는 이 같은 생물 ... ...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 꿀벌 초유기체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낳은 알에서 애벌레가 건강하게 부화하도록 보살피고, 애벌레에게 줄 먹을거리를
채집
한다. 애벌레가 번데기를 거쳐 튼튼한 벌이 되도록 키우는 것도 일벌이며, 벌집 곳곳을 청소하는 일도 일벌의 몫이다.독일 꿀벌생물학자인 위르겐 타우츠 박사는 그의 저서 ‘경이로운 꿀벌의 세계’에서“꿀벌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위해 흥미로운 실험을 고안했다. * 난포기의 여성 겨드랑이에 면 패드를 넣어 분비물질을
채집
한 뒤 하루에 한 차례 참가자들의 윗입술에 문질러준 뒤 적어도 6시간은 씻지 않도록 했다. 참가자들은 윗입술에서 어떤 냄새도 의식하지 못했지만 놀랍게도 월경주기가 평균 1.7일 단축됐다.다음으로 *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받아 경북 울진에 살고 있는 산양의 시료를 주기적으로 얻고 있다. 산양이 지나가면 털을
채집
할 수 있도록, 울타리를 쳐서 그 안에 산양이 좋아하는 미네랄 덩어리를 매달아 둬 자연스럽게 산양이 접근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었다. 이 교수는 “시료를 얻는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하면 국내 산양의 ... ...
이전
28
29
30
31
32
33
34
35
3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