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침표
터미네이터
종료프로그램
구두점
d라이브러리
"
종지부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07
특이한 환경에 적응한 극한미생물이라고 생각한다. 울프-사이먼 박사팀이 논란에
종지부
를 찍는 후속 연구를 보여줄 수 있을지, 아니면 새로운 연구팀이 비소 박테리아를 분양 받아 검증할 수 있을지 계속 지켜봐야 한다 ... ...
선글라스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105
뉴턴의 입자설과 호이겐스의 파동설에 대한 각각의 주장도 그 중 하나다. 오랜 논쟁에
종지부
를 찍은 것은 1803년 토마스 영의 이중슬릿을 이용한 간섭실험이다. 이 실험에서 영은 두 슬릿을 통과한 위상이 같은 빛이 중첩해 만들어낸 간섭무늬를 통해 빛이 파동적 성질을 갖고 있음을 증명했다.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02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하지만 자연발생설은 파스퇴르의 실험이 논란의
종지부
를 찍습니다. 공기에 들어 있는 포자 때문에 세균이 번식한다는 사실을 증명했거든요. 미생물을 거른 공기를 끓인 고기즙에 통과시켰더니 고기즙에서 미생물이 번식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죠. 미생물을 ... ...
과학자들의 수다 최초과학자 3인은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9
내는 방법(케플러의 제3법칙)도 계산해 냈다네. 갈릴레이에 이어 내가 낡은 천동설에
종지부
를 찍은 거지.빛과 운동의 법칙을 찾아서천동설과 지동설 얘기를 듣다 보니, 생각의 틀을 깨는 게 중요한 것 같아. 아무런 의심없이 천동설만 믿었다간 어쩔 뻔 했어? 꼭 초대하고싶은 과학자들이네. 앗, ... ...
배아복제 연구 시작해도 되나?
과학동아
l
200705
난자만 사용 가능해지난 3월 23일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는 7년 동안의 지루한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 체세포 복제배아 연구의 ‘제한적 허용안’과 ‘한시적 금지안’을 놓고 표결한 결과 참석자 13명 가운데 12명 찬성으로 제한적 허용안을 의결했다.제한적 허용안은 난자의 종류를 제한적으로 ... ...
자오선이 영국으로 간 까닭은?
과학동아
l
200611
중앙아메리카에 위치한 자메이카까지 여행하는 동안 5초의 오차만 보였다.논쟁의
종지부
찍다19세기에 접어들면서 경도를 측정하는 문제는 어느 정도 해결되는 듯 했다. 그러나 경도는 국가간 문제로 확대돼 논란을 일으켰다. 16세기 후반 지리탐사가 시작된 유럽에서는 항해용 지도가 많이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09
잘 알려진 주제였다.비록 실패로 돌아갔지만, 레오나르도의 비행기계는 신화의 세계에
종지부
를 찍고 과학의 시대로 가는 징검다리를 놓았다. 미신과 맹목의 시대를 지나 이성과 과학의 힘으로 인간이 올림포스 신들의 황금 구름을 넘보기 시작한 것이다. 다 빈치 노트에 숨은 절망과 ... ...
도둑잡는 복잡계
과학동아
l
200603
‘마약과의 전쟁’. 수개월에 걸친 경찰의 대대적인 소탕으로 뉴욕의 마약 범죄는
종지부
를 찍는 듯 보였다. 그러나 얼마 뒤 뉴욕 경찰은 더 큰 곤욕을 치러야 했다. 소탕 작전으로 마약 유통량이 줄어들면서 마약의 가격 상승을 초래했고 높은 이윤에 눈이 먼 갱단들이 더 대범한 수법의 범죄를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02
톰보가 1930년 사진자료를 분석하다가 우연히 명왕성을 발견함으로써 80년에 걸친 논란에
종지부
가 찍히는 듯 했다. 그러나 명왕성은 질량이 달의 1/5 정도밖에 안되는 빈약한 천체라, 로웰이 생각했던 것처럼 천왕성이나 해왕성의 운동에 영향을 줄 수 없었다. 명왕성은 로웰의 ‘행성 X’가 아니었다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09
주장했고, 커티스는 우주가 그보다는 훨씬 더 크다고 반박했다. 4년 뒤 이 논쟁에
종지부
를 찍은 인물이 허블이었다.1923년부터 2년 동안 허블은 안드로메다자리의 거대 성운인 M31에서 세페이드변광성을 관찰했다. 1912년 하버드대 천문대의 헨리에타 리비트는 세페이드변광성의 변광 주기와 최대 광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