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침표
터미네이터
종료프로그램
구두점
d라이브러리
"
종지부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07
활공하다 날게 되었다는 ‘활강’(tree-down)설이다.미크로랍토르는 이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 이 공룡의 깃털은 분명 활공에 적합하지 땅 위를 빠르게 달리기 위한 구조는 아니다. 뒷다리의 깃털은 빠른 달리기를 방해했을 것이다.또 다른 의미 있는 공룡은 2004년 발견된 원시 티라노사우루스류인 ... ...
다시 찾은 백두대간
과학동아
l
200502
산맥체계’와 ‘산경표의 백두대간 체계’사이의 과학적 증거 없는 논쟁에
종지부
를 찍기 위해서, 필자를 비롯한 국토연구원은 1995년부터 모아 온 자료들을 정리하고 지난 1년간 연구 끝에 새 산맥지도를 내놓게 됐다.이 연구를 시작하면서 맨 먼저 산맥에 대한 정의를 훑어보았다. 이제껏 ... ...
3. 3·5·6월 3연타석 홈런치다
과학동아
l
200501
구성하는 원자의 크기를 계산했고, 결국 원자는 실재한다는 것을 밝혀 원자론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페렝은 이 연구로 1926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는데, 선정 발표문에도 그의 연구가 아인슈타인의 브라운 운동에 관한 이론을 실험으로 검증하는 과정에서 나왔음이 밝혀져 있다.▼관련기사를 ... ...
살아있는 물리학의 신화
과학동아
l
200404
Quark)라고 이름 붙은 한줌의 입자들로 이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줌으로써 이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 쿼크는 물질의 형태를 만드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로, 물질-분자-원자-소립자-쿼크의 구도를 이룬다. 그는 이 발견으로 주기율표를 만든 멘델레예프에 비유돼 ‘20세기의 멘델레예프’라고 ... ...
특명! 물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0402
잘 얼지 않기 때문이다.하지만 이런 결과과 화성에 액체상태의 물 존재 여부의 논란에
종지부
를 찍지는 못했다. 간접적인 증거이기 때문이다.화성생명체 후보는?화성에는 어떤 생물이 살 수 있을까. 1800년대 말 사람들은 화성에 운하를 건설할 만큼 뛰어난 기술과 지능을 가진 화성인이 살고 있다고 ... ...
블랙홀에 대한 결정적 증거 포착
과학동아
l
200211
드디어 우리은하 중심에 숨어있던 거대블랙홀의 꼬리가 밟혔다. ‘네이처’ 10월 17일자에는 우리은하 중심에 거대블랙홀이 존재한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를 포착 ... 예상됐지만, 논란이 있어 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연구결과는 이런 논란에
종지부
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
생명체 논란 끊임없는 붉은 별 화성
과학동아
l
200205
최근 영국 BBC방송은 1997년 화성 착륙선 패스파인더가 찍은 착륙지점 부근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엽록소로 보이는 스펙트럼 징후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추후 정밀 ... 화성인이 만든 운하로 착각하면서 시작된 붉은 별의 생명체에 대한 논란은 해피엔딩으로
종지부
를 찍게 될지 모른다 ... ...
갑각류가 곤충으로 진화된 단서
과학동아
l
200203
창조론의 오랜 논쟁에
종지부
를 찍을 수 있는 연구결과가 ‘네이처’ 최근호에 발표됐다.그동안 창조론자들은 동물의 유전 메커니즘 속에 급진적 외형변화를 초래하는 요인이 없다며 진화론자들을 공격해 왔다. 외형의 급격한 변화는 동물을 죽음으로 몰고 가기 때문에 그 종족이 대를 이어 영속할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05
중요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된다.현재 미국의 탐사계획서를 보면, 화성생명체 논란에
종지부
를 찍는데는 일단 많은 시간을 기다려야 할 것 같다. 먼저 이번에 발사된 오디세이 호는 감마선 분광계란 장치로 물의 성분인 수소의 존재 여부를 탐사한다. 2년 후인 2003년에는 유럽우주기구가 개발한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11
2명의 천문학자가 목성보다도 질량이 큰 열 번째 생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나서 화제가 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새로운 행성은 약 0.5광년 떨어져 있으며 오르 ...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버로우 박사는 차세대 적외선 망원경이 완성되면 이 논란에
종지부
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