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침표
터미네이터
종료프로그램
구두점
d라이브러리
"
종지부
"(으)로 총 56건 검색되었습니다.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10
적응하지 못하고 도태돼 사라지는 일이다.그런데 현대 유전공학은 이 자연적인 흐름에
종지부
를 찍을지 모른다. 인간이 직접 유전자를 조작해 형질 자체를 변형시킨다면, 그리고 이 유전 형질이 다음 세대로 계속 전해진다면 자연적인 진화는 더이상 힘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기 때문이다. 바야흐로 ... ...
아래아 한글 살린 국민운동
과학동아
l
199808
손을 잡은 것이다. 이로써 사회적으로 엄청난 파란을 일으켰던 ‘ㅎ·ㄴ글 사건’은 일단
종지부
를 찍었다.한편 ㅎ·ㄴ글을 대체할 제2의 워드프로세서를 만들겠다는 나모인터랙티브와 나눔기술도 자신들의 입장을 철회했다. ㅎ·ㄴ글이 회생된 마당에 자칫 ㅎ·ㄴ글의 경쟁상품이 될 제2의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06
말이 달리는 연속적인 영상을 얻는데 성공했다. 머이브릿지의 사진총은 환등기 시대의
종지부
를 찍고 영사기 시대를 활짝 열었다. 에디슨은 머이브릿지의 실험에서 힌트를 얻었다. 그는 친구가 재채기 하는 모습을 1분짜리 키네토스코프로 제작해 돈을 받고 사람들에게 보여주기도 했다 ... ...
완전한 피임을 위하여
과학동아
l
199705
훈련장에서 20여분 만에 해치울 정도로 간단한 수술이긴 하지만 남성의 생식능력에
종지부
를 찍는 불임시술이므로 신중한 결정이 요구된다. 정관수술을 받은 뒤에 혹시 아이을 갖고 싶을지 모른다면 수술 전에 다량의 정자를 정자은행에 냉동시켜 두었다가 인공수정을 시도할 수 있다. 여성의 ... ...
유방 대칭이면 임신가능성 높다
과학동아
l
199612
이론 모두를 맞는 것으로 판정해서 양쪽이 대등하게 만족한 상태에서 오래된 논쟁에
종지부
를 찍도록 해주었다.인간도 균형있는 몸매 선호 대칭성은 새의 성적 선택에만 국한된 요소는 아니다. 사람 또한 관련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균형이 잘 잡힌 여자의 나체를 보면 아름답다는 느낌이 드는 ... ...
빛은 입자인가 파동인가
과학동아
l
199606
것이다.입자설의 논리가 점점 궁색해지는 가운데 푸코는 입자설과 파동설의 논쟁에
종지부
를 찍었다. 입자설에 따르면 수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굴절 후 빛 속도는 커진다. 이에 비해 파동설은 물 속에서 파장이 짧아지므로 빛 속도가 작아진다고 간주했다. 그렇다면 물 속에서 ... ...
2. 유니코드, 논쟁에
종지부
찍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602
유니코드는 문자 하나에 부여되는 데이터값을 모두 2바이트, 즉 16비트로 통일해 세계 각국의 문자를 모두 표현하는 국제 표준이다. 여기에서 우리의 한글은 단일 문자로는 가장 넓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1980년대 들어 전세계적으로 컴퓨터의 보급이 확산되고, 특히 비영어권인 아시아 국가에서 ... ...
생명의 기원 탐구는 영원한 논쟁
과학동아
l
199407
이를 반박하는 논쟁은 19세기까지 계속되었다. 끊임없이 등장하는 자연발생설에
종지부
를 찍은 것은 파스퇴르(1822-1895)에 이르러서였다. 파스퇴르는 가열된 공기는 생명력이 없어진다고 하는 생각을 불식시키기 위해 끓인 고기즙과 가열되지 않은 신선한 공기를 같이 놓아 두어도 미생물이 생기지 ... ...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04
딱딱한 물질로 채워지지는 않았다는 막연한 생각을 품게 되었다.이 막연한 생각에
종지부
를 찍고 원자의 실체를 드러내는데 기여를 한사람은 '전자의 발견자'라 부르는 영국의 톰슨이었다. 톰슨의 원자모형은 원자 내부에 전자가 골고루 퍼져 있는 아주 간단한 구조였다. 마치 수박 속에 씨가 골고루 ... ...
인체는 다양한 카오스 실험실
과학동아
l
199403
혼돈의 발견으로 혼돈과학이 등장했다. 혼돈과학이 시작되는 곳에서 고전물리학은
종지부
를 찍는다. 미국의 물리학자인 조셉 포드는 혼돈과학을 20세기 물리학의 세 번째 혁명이라고 목청을 높였다.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처럼 고전 물리학의 결정론을 거부하고 있기 때문이다. 활발한 혼돈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