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물성 전분
당원
glycogen
d라이브러리
"
글리코겐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다른 듯 닮은 그녀들의 허벅지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좋은 이유도 이 때문이다. 송홍선 한국체육과학연구원 박사는 “선수의 기량이 좋아지면
글리코겐
저장량이 늘어 에너지를 더 많이 생성하고, 그만큼 젖산이 많이 생겨도 오래 운동할 수 있다”며 “같은 시간 운동을 해도 전보다 젖산 농도가 더 높게 나온다”고 말했다. 이상화 선수의 젖산 내성이 ... ...
웬록과 맨드빌의 과학으로 따는 금메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5호
포도당(분해된 탄수화물)을
글리코겐
으로 변화시켜 간과 근육에 저장한다.❹ 선수들은
글리코겐
이 다시 분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경기 전까지 과당이 많이 들어 있는 오렌지주스를 자주 마신다.금메달의 조건 ❺가장 중요한 조건은 인내와 노력!과학으로 보니 올림픽 경기가 더욱 흥미진진한걸?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마찬가지여서 과당은 간에서 지방으로 바뀐다.(반면 포도당은 대부분 고분자 탄수화물인
글리코겐
으로 바뀌어 간에 저장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지방은 혈관을 타고 지방세포에 축적돼 비만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일부 지방은 간에 머물러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인슐린저항성이 생겨 ... ...
다이어트 호르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1월26일자에 실렸다.에피네프린운동을 하면 부신수질에서 에피네프린이 나와 간에 있는
글리코겐
을 부숴 에너지를 만든다. 이 에너지를 지방세포를 분해하는 데 이용한다.그렐린2008년 영국 럽버러대 데이비드 스텐슬 교수팀은 운동을 하면 그렐린(활성 그렐린) 수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떨어지면 피부 아래부터 얼음결정이 생기기 시작합니다. 동시에 간에 저장돼 있던
글리코겐
이 포도당으로 분해되면서 혈당수치가 평소의 100배 이상으로 급증합니다. 포도당은 혈관을 타고 주요 장기와 근육으로 이동해 세포 속으로 들어가죠. 세포가 얼지 않게 세포 속을 ‘진한 설탕물’로 만들기 ... ...
인간은 얼마나 극한 환경을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50% 정도 감소할 때까지 살 수 있다.사람은 혈당이 부족하면 간이나 근육에 저장해 둔
글리코겐
을 꺼내 혈당을 높인다. 그것도 부족하면 간은 체지방을 분해해서 포도당을 만들고, 마지막에는 근육이나 뼈에 든 단백질까지 포도당으로 바꿔 사용한다. 이런 과정을 포도당신합성(gluconeogenesis)이라고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다이어트의 정석이다. 섭취한 탄수화물을 모두 소비하지 못하면 남은 탄수화물이 근육에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되면서 결국엔 지방으로 축적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저녁 식사가 비만의 원인이고 저녁은 굶을수록 좋다는 말에는 오해의 소지가 많다.‘비만 바로 알기’를 공동 집필한 동국대 ... ...
등 푸른 생선의 대표 고등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않아 옅은 색을 띤다. 백색근은 산소가 부족한 상황에서 에너지를 저장하는 다당류인
글리코겐
을 분해해 순간적으로 큰 힘을 낼 수 있지만 연속적으로 운동하면 젖산이 쌓여 쉽게 피로해지는 특성이 있다. 적색근 역시 가로무늬근의 일종이지만 미오글로빈을 많이 함유하고 혈관이 잘 발달해 ... ...
지구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해 결과적으로 지구의 기온이 상승한다. 인슐린이 포도당을
글리코겐
으로 바꿔 혈당을 감소시키는 과정은 음성피드백이다. 체내 혈당량이 증가하면 인슐린이 분비된다. 이산화탄소의 증가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식물의 ... ...
그들에게 신(神)은 없었다 크로싱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00kcal, 여자가 1800kcal다. 따라서 만약 하루 동안 탄수화물을 전혀 먹지 않으면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
이 거의 소진된다.한편 우리 몸은 하루에 40g 이하의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근육 단백질을 분해시켜 포도당으로 만들어 에너지로 사용한다. 살을 빼기 위해 다이어트를 하는 경우에도 탄수화물을 최소 4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