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물성 전분
당원
glycogen
d라이브러리
"
글리코겐
"(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의한 화학결합의 효소적 개열반응 얼핏 보기에는 가수분해와 비슷하지만 이들 반응에는
글리코겐
이나 녹말에서 글루코스-1-인산을 생성하는 C-O 결합의 분해뿐 아니라 뉴클레오시드를 염기와 리보스-1-인산으로 분해하는 C-N 결합의 개열도 포함된다 방향족 고리에 알데히드기(基)를 도입하는 방법의 ... ...
겨울철에 달리면 살빼는 효과 배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글리코겐
을 우선적인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추위 속에서 활동이 장시간 지속되면 체내
글리코겐
은 거의 고갈돼 버리고 주 에너지원으로 지방이 이용된다. 이런 메커니즘을 볼 때 추운 날씨에 운동한다면 지방의 소비량이 좀더 많아지고 자연스럽게 축적된 지방이 감소되는 것이다.운동할 때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한다. 스포츠음료가 가장 큰 도움을 주는 성분은 훈련 도중 우리 신체가 소모하는
글리코겐
을 보충하기 위해 공급되는 탄수화물이다.스포츠음료가 탄생하기 전에는 에너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거품을 없앤 소다수를 지니고 달렸다. 이렇게 임시변통으로 만든 음료의 문제점은 탄수화물이 너무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미생물이 아밀라아제 효소를 지정하는 ORF를 가지고 있다면 그 미생물은 녹말이나
글리코겐
을 가수분해하는 기능을 갖고 있고, 당연히 대사회로에 이 과정이 포함될 것이다.이같은 방법으로 대사 회로를 구성한 경우, 실제 생물체의 대사회로와 비교해볼 때 빠져 있거나 임의로 추가된 회로 ... ...
지치지 않으려면 탄수화물 많이 섭취하라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유지와 신속한 피로 회복, 그리고
글리코겐
저장에 도움이 된다.운동 후 신체는 체내
글리코겐
이 소모되고 근육이 손상받아 피로한 상태다. 즉 신속한 피로 회복과
글리코겐
(탄수화물)의 보충이 요구된다. 따라서 운동 직후 30분 안에는 단당류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운동 후 1-2시간 안에는 ... ...
뱃살 빼려면 30분 이상 뛰어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줄어든다. 즉 고강도의 운동을 할 때 혈액 내 피로물질인 젖산(심하게 운동할 때
글리코겐
의 분해과정에서 생기는 물질)이 과잉으로 축적되고, 이렇게 과잉으로 축적된 젖산은 조기에 피로를 유발하고 지방대사를 억제한다. 따라서 강도가 너무 높은 운동은 피하도록 한다.셋째, 운동시간이 길어짐에 ... ...
남자는 에어로빅, 여자는 헬스가 제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글리코겐
은 산화하면서 가장 많은 에너지를 발생한다.산소 공급을 받지 못할 경우라도
글리코겐
의 ‘무산소 대사’에 의해 에너지가 발생하지만, 에어로빅을 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량의 1/15에도 미치지 못한다. 또한 근육 피로의 원인이 되는 노폐물인 젖산이 생성된다. 이러한 무산소 상태의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하여금 연구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결국 그들은 효소를 이용해 생체고분자인
글리코겐
을 몸밖에서 합성해낼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는 코리 부부에게 노벨생리의학상을 안겨주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게르티 코리에게 기뻤던 것은 남편의 조수생활을 청산하고 대학교수가 될 수 있었던 것. ... ...
살로 가는 음식 따로 있나?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비상 연료의 형태로 저장되거나 지방산으로 바뀌어 지방 조직에 저장된다.
글리코겐
으로 저장될 수 있는 양은 한정돼 있으므로 대부분은 지방으로 저장된다.지방은 주로 소장에서 흡수돼 혈중에서 지방산으로 분해된 후 전신의 조직으로 공급된다. 우리 몸의 연료로는 주로 포도당이 이용되고 ... ...
냉동 붕어 되살리기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몸이 얼기 시작하면 체액 1백mL당 4천5백mg라는 많은 양의 포도당(간 속에 저장해 두었던
글리코겐
을 포도당으로 재빨리 전환한다)을 세포 내부로 보내 세포가 어는 것을 막는다. 이것이 추운 겨울을 나는 변온동물인 개구리의 생존방식이다. 항온동물인 사람은 냉동시킬수는 있지만 해동시키는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