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리코겐"(으)로 총 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혈당 스파이크? 기자가 직접 확인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떨어지면 간세포에 저장된 다당류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해 혈당을 높이려 합니다. 글리코겐 분해가 일어나는 거죠. 그런데 술을 마시면 간이 알코올을 분해하느라 이 작업을 할 수 없습니다.그뿐만 아니라 알코올은 위 점막을 자극해 소화 효소 분비를 감소시키고 이는 영양소 흡수를 방해 해 ...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뒤에도 혈액 내에 포도당이 남아있다면 인슐린은 일차적으로 포도당을 간, 근육에 글리코겐 형태로 저장한다. 그러고도 포도당이 남아있으면 지방조직에 지방으로 저장한다. 인슐린이 이렇게 혈액 속 포도당을 모두 처리하고 나면 혈당 수치가 다시 떨어진다. 다시 돌아와, 혈당 스파이크는 우리 ... ...
- [SF] 끝내과학동아 l2023년 04호
- 후각 등 사용자마다 개인화된 구체적 감각을 동원하는 것이, 레이스 1주일 전부터 체내 글리코겐 함량을 조정하는 유난스런 식이요법보다 효과가 있다. 훈련 기간에 사용자와 안내로봇은 가장 효과가 있는 방식을 함께 찾는데, 우린 오늘 아침 처음 만났으니 기대할 만한 정보가 없다. 아무런 ...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0칼로리 치킨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3호
- 소화효소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분해, 소화하며 이 과정에서 에너지를 얻고 일부는 글리코겐, 지방의 형태로 저장합니다. 인체가 분해할 수 없는 물질은 아무리 많이 먹어도 쉽게 살이 찌지 않습니다. 곤약 속 식이섬유나 아스파탐, 아세설팜 칼륨 등이 이런 경우죠. 특히 독특한 식감을 가진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때는 유리 지방산과 혈중 포도당의 흡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근육 내에 저장해 놓은 글리코겐을 분해해 근섬유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를 공급한다.근육 조직은 수많은 근섬유로 구성된다. 우리가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거나 운동을 하면 간에서 인슐린 유사 성장 인자 1(IGF-1)이라는 호르몬이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저장 한계마저 넘는 경우에는 지방으로 변환된다. 지방간과 같은 질환도 화학적으로는 글리코겐 과다 생성에서 비롯되는 셈이다. 단백질 I 요소 회로 거쳐 ATP 생성 이제 다량영양소 중에는 단백질만 남았다. 단백질은 약 20종의 아미노산이 어떤 순서로 연결되느냐에 따라 종류와 기능이 ... ...
- [에디터노트] 1993년 ‘불수능’의 기억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출제된 문제의 키워드를 검색해보길 권한다. 하드디스크, 루이스 전자점식, 글루카곤과 글리코겐 등이 모두 설명돼 있다. 이번 호 기사로도 소개한다. ‘불수능 끝판왕’ 국어 31번 문제 해설도 포함시켰다. 수험생과 예비 수험생, 그리고 그들과 한마음일 부모님들에게도 응원과 격려의 마음을 ... ...
- [Origin] {숨} 어디까지 참아봤니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지방산화량이 적다는 것은 지방보다 글리코겐을 이용해서 에너지를 많이 낸다는 뜻이다. 글리코겐으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은 지방을 분해할 때와 비교해 같은 양의 산소로 더 많은 에너지를 만들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하지만 이런 차이는 베이스캠프에 도착한 뒤 시간이 지날수록 서서히 ... ...
- [과학뉴스] 약만 발라도 충치 치료될까?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혈관 줄기세포가 있는 치수가 있다. 연구팀은 세포의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물질인 ‘글리코겐 신테이스 키네이스(GSK)3’의 억제제로 이용하는 티데글루십이라는 약물이 치아 안쪽 부분인 치수의 줄기세포를 자극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티데글루십은 안전성이 이미 입증돼 치매 환자의 신경퇴행 ... ...
- 100m달리기 10초벽 깨려면 큰허리근 키우고 중력을 역이용하라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숨을 쉬면서 산소를 쓰기엔 시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달리는 동안 우리 몸은 근육 속 글리코겐을 포도 당으로 바꿔 에너지를 얻는다. 이 과정에서 수소이온이 나와 근육을 산성으로 바꿔 피로감을 빨리 불러온다. 100m 경기라면 50m를 넘어서면서 이 현상이 급격히 진행돼 속력이 점점 감소한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