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헬렌 버먼, 2024 노벨화학상 숨은 공로자
2024.11.13
젊은 시먼은 뉴욕대에 자리를 잡아 DNA 염기 상보성을 이용해 계산을 하거나 나노미터
크기
의 구조물을 만드는 'DNA 나노테크놀로지' 분야를 개척했다. 이처럼 기발한 아이디어가 넘쳤던 시먼은 안타깝게도 2021년 75세에 가장 먼저 세상을 떠났다. ● 1971년 PDB 공동설립자로 헬렌 버먼은 결정학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지구로 떨어진 암석, 어디서 왔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9
분석된다. 브로즈 교수 연구팀은 지구에 도착한 H와 L콘드라이트 운석이 30km 이상
크기
의 소행성이 4000만년 전 이전과 760만년 전, 580만년 전 세 차례에 걸쳐 붕괴하면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구에 떨어지는 운석 대부분은 4000만년 전 일어난 마살리아 소행성군의 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
2024.10.16
해석된다. 그런데 표적에서 잭팟 보상 신호를 보면 오히려 성공률이 떨어졌다. 즉 보상
크기
에 따른 성공률은 사람과 마찬가지로 '뒤집힌 U자(∩)' 패턴을 보였다. ● 압박감으로 운동뉴런 활동 감소 동물도 압박감으로 인한 경직을 보인다는 논문이 나가고 3년이 흐른 지난 9월 학술지 '뉴런'에는 ... ...
[과기원NOW] DGIST, 특훈교수 제도 도입·7명 신규 임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기존의 복잡한 화합물 대신 포름알데히드를 사용한 결과 이 과정에 필요한 분자의
크기
를 대폭 감소시켜 원자 효율성을 극대화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최근 게재됐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역사상 최대 규모 블랙홀 제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9.21
밖으로 뿜어져 나온 것이다. 빛의 속도에 가까운 속도로 이동할 수 있으면서 거대한
크기
를 가진 것으로 추정된다. 길이는 통상 수천에서 수백만 광년(1광년은 빛이 1년 동안 이동하는 거리로 약 9조4600억km)에 이른다. 제트를 구성하는 강력한 방사선과 입자는 우주의 물질 흐름에 영향을 미친다. 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
2024.08.31
엄청 편해질 것이라거나 엄청 즐거워질 것이라며 미루기가 가져올 '긍정적 정서'의
크기
를 과대평가할수록 더 자주 미루는 모습이 나타난다. 미루고 나면 이후 괴로움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보다 미뤄도 생각보다 별로 '즐겁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미루기를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멸종위기 동물 특별전 내달까지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엑소좀은 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분비되는 나노미터 단위
크기
의 소포체(세포 소기관)다. 연구팀은 변형되지 않은 엑소좀을 검출하고 특정 DNA 서열의 양을 추정하는 '정량 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세포에서 분리된 엑소좀이 가진 미토콘드리아 양이 차이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뢴트겐이 발견한 X선이 과학역사에서 위대한 발견이라 한 것은 그 파급효과가 아주
크기
때문이다. X선 발견은 의학에서 방사선과 탄생의 계기가 되었고 그 후로 방사선과는 진단방사선과와 치료방사선과로 나누어졌다. 오늘날에는 간암 환자의 혈관을 막아서 간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약 260만 염기이고 단백질 지정 유전자는 약 2500개로 밝혀졌다. 물론 우연이겠지만 게놈
크기
와 유전자 수 모두 이번에 제안된 루카의 범위에 들어간다. 참고로 대장균은 각각 460만 염기와 4200개이고 상용화된 설비에 쓰이는 아세토젠인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각각 450만 염기와 4100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몸길이 약 12mm
크기
의 물고기인 ‘다니오넬라 세레브럼(Danionella Cerebrum)’의 모습이 실렸다. 평범한 다니오넬라 세레브럼의 사진이 아니다. 물속에서 생긴 물 입자의 진동이 어떻게 물고기 내부에서 전달되는지 다채로운 색으로 표현돼 있다. 벤자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