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거절에 대한 두려움이 큰 사람들
2024.02.10
쓰지만 그만큼 그 행동이 좋은 결과를 내지 않을 것에 대한 ‘걱정’과 ‘망설임’이
크기
때문이다. 속으로만 치열하게 고민할뿐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남들보다 많은 에너지를 쓰는 것은 사실이다. 이렇게 노력이 과한만큼 기대 또한 크다. (속으로) 많은 애를 썼으므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성자별과 블랙홀의 경계는
2024.02.07
블랙홀인지는 아직 모른다. 사이언스 제공 ● 태양질량의 2~5배는 없었지만 별의
크기
에 따른 일생을 정리한 자료를 보면 태양질량의 0.08배에서 8배 사이의 별의 최후가 백색왜성이고(따라서 태양의 최후이기도 하다) 태양질량의 8배에서 25배 사이가 중성자별이고 25배는 넘어야 중력붕괴가 일어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
2024.01.10
있는 원이 오히려 작은 건 수비 둘이 따라붙은 상태에서 크로스를 받아 차 난이도가
크기
때문이다. Opta Analyst 제공 ● 경기력의 유용한 지표 먼저 답부터 하면 패널티킥의 기대득점은 0.79이다. 축구 통계업체 옵타(Opta)의 값으로, 업체의 프로그램에 따라 약간 차이가 있다. 5번에 한 번 실축이면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네이처 7993호 표지. 네이처 제공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높은 질량을 가진 어린 별이 형성되는 과정을 묘사한 일러스트를 실었다. 어린 별은 자신을 둘러 ... 추정한다. 회전 속도가 줄면서 원반 물질이 중력에 의해 별로 낙하하고 이를 통해 별의
크기
가 커진다는 것이다.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도달하게 만들어 암 조직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음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먼저 나노
크기
(100nm 이하)의 입자 형태 물질인 AaLS 표면에 NK세포를 인지하는 단백질과 표피 성장 인자 수용체를 인지하는 단백질을 융합시켜 나노드론을 개발했다. 난소암과 유방암 세포가 주입된 동물실험을 통해 효과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증식이 가능하므로 생물체와 무생물체의 중간에 속한다고 한다. 바이러스는 평균
크기
로는 가장 작은 미생물이지만 거대세포바이러스와 같이 아주 큰 바이러스도 있다. 최근에 중국에서 폐렴 환자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원인은 세균보다 작은 마이코플라즈마(미코플라즈마)의 유행 때문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물리학은 생명을 이해할 수 있을까
2023.11.29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미국 크레이그벤터연구소 과학자들은 108만 염기
크기
인 게놈을 합성해, 게놈을 뺀 박테리아 세포에 넣어 살리는 데 성공했다. 박테리아가 증식한 콜로니(군집)의 모습이다(오른쪽은 현미경 이미지). 당시 언론매체는 인공생명체를 만들었다고 대서특필했지만 ... ...
[표지로 읽는 과학] '쿵쿵 ' 심장박동 일으키는 근단백질 구조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3.11.25
근육을 이루는 미오신필라멘트의 분자 구조를 규명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주먹만한
크기
의 심장은 근육으로 이뤄진 기관이다. 펌프처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온몸으로 혈액을 내보낸다. 이를 심장 박동이라고 부른다. 심장 박동은 신경계의 지시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다. 운동단백질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밝혔다. 해당 연구를 표지에 실은 '사이언스'는 기존 MLL을 칩
크기
수준으로
크기
를 줄인 이번 기술의 개발로 기존 반도체의 수준을 뛰어넘은 광자 기반 반도체 개발에 박차를 가하게 될 것이라고 평했다. 전기 대신 빛을 이용하는 광자 반도체(포토닉 칩)은 전력 소모는 줄이고 기존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명유지의 핵심, 뇌의 작은 방 '시상하부'
동아사이언스
l
2023.10.29
작은 부분이지만 우리 몸에서 수행하는 기능의 중요도는 크다. 시상의 10분의 1
크기
에 불과한 시상하부는 복잡한 구조로 이뤄져 있다. 좌우에 한 쌍으로 존재하는 시상하부는 11개의 핵을 갖고 있다. 대뇌와 뇌줄기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은 많은 신경섬유로 구성됐다. 시상하부의 가장 중요한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