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73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는 일을 미루는 사람일까
2024.08.31
엄청 편해질 것이라거나 엄청 즐거워질 것이라며 미루기가 가져올 '긍정적 정서'의
크기
를 과대평가할수록 더 자주 미루는 모습이 나타난다. 미루고 나면 이후 괴로움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하는 것보다 미뤄도 생각보다 별로 '즐겁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미루기를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중앙과학관, 멸종위기 동물 특별전 내달까지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8.05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엑소좀은 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분비되는 나노미터 단위
크기
의 소포체(세포 소기관)다. 연구팀은 변형되지 않은 엑소좀을 검출하고 특정 DNA 서열의 양을 추정하는 '정량 PCR'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양한 세포에서 분리된 엑소좀이 가진 미토콘드리아 양이 차이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뢴트겐의 X선 발견보다 앞서 발견한 과학자들도 있다
2024.07.28
뢴트겐이 발견한 X선이 과학역사에서 위대한 발견이라 한 것은 그 파급효과가 아주
크기
때문이다. X선 발견은 의학에서 방사선과 탄생의 계기가 되었고 그 후로 방사선과는 진단방사선과와 치료방사선과로 나누어졌다. 오늘날에는 간암 환자의 혈관을 막아서 간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42억 년 전 생명체의 모습은?
2024.07.24
약 260만 염기이고 단백질 지정 유전자는 약 2500개로 밝혀졌다. 물론 우연이겠지만 게놈
크기
와 유전자 수 모두 이번에 제안된 루카의 범위에 들어간다. 참고로 대장균은 각각 460만 염기와 4200개이고 상용화된 설비에 쓰이는 아세토젠인 클로스트리디움 오토에타노게눔은 각각 450만 염기와 4100개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물고기가 물속에서 소리의 방향을 아는 법
동아사이언스
l
2024.07.06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몸길이 약 12mm
크기
의 물고기인 ‘다니오넬라 세레브럼(Danionella Cerebrum)’의 모습이 실렸다. 평범한 다니오넬라 세레브럼의 사진이 아니다. 물속에서 생긴 물 입자의 진동이 어떻게 물고기 내부에서 전달되는지 다채로운 색으로 표현돼 있다. 벤자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다름'을 포용해야 행복하다
2024.07.06
한정적이다. 그러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자신과 비슷한 사람들에 둘러싸여 손바닥
크기
만한 작은 세상을 경험하고 이것이 세상의 '전부'라고 믿는 오류를 보인다. 그래서 적어도 이러한 오류를 인식하거나 좀 더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과 어울리려 애쓰지 않으면 편협한 사고방식을 갖기 쉽다. ... ...
[과기원NOW] KAIST "GPT-4V 보다 뛰어난 대형언어모델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2종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에 개발된 LMM '콜라보'와 '모아이'는 단순히 모델의
크기
를 키우거나 고품질의 시각적 지시 조정 데이터셋을 만들지 않고 멀티모달 대형언어모델의 시각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백승렬 인공지능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인공지능(AI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로봇을 이용하여 뇌 생검을 위한 바늘의 방향을 잡는 데 성공했다. 1980년대 후반에는
크기
가 작고 정밀한 전립샘 수술용 로봇이 사용되기 시작했다. 또 1990년대에는 컴퓨터로 제어되는 수술용 로봇이 등장하면서 정확성과 정밀성이 더 향상되었다. 2000년에 미국의 메농(Mani Menon)은 로봇의 도움을 받아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바꾸며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으로 떠오르기도 했다. 당시 인류학자들은 인류가 두뇌의
크기
를 먼저 키운 다음 직립보행하는 쪽으로 진화했다고 생각했다. 루시는 반례였다. 루시의 두뇌는 작았지만 확실하게 직립했던 골격 구조를 갖고 있었다. 직립이 먼저 일어나며 인류가 진화했다는 증거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함께 하는 성취가 더 뜻깊다
2024.03.30
전쟁 속에서 즐거움을 느끼는 순간들은 사실 비교적 짧지만 이런 순간들이 주는 의미가
크기
에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아이를 낳고 키우는 경험을 가장 소중하고 뜻 깊었던 경험 중 하나로 꼽는다. 베일러대의 연구자 마이클 프린징 등의 연구에 의하면 타인과 긍정적 정서를 나누는 경험, 서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