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스페셜
"
크기
"(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240여종 포유류 유전체로 본 진화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30
뛰어났다. 아이린 캐플로우 미국 카네기멜론대 교수 연구팀은 인간 머리둘레와 뇌
크기
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규명했다. 인간 유전자의 특정한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기계학습(머신러닝)을 통해 인간만이 지닌 유전자 발현에 따른 뇌 부위 조직세포의 발달 양상을 살폈다. 분석 결과 소두증과 ... ...
[표지로 읽는 과학] 빗해파리 신경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3
광전자 펨토초 펄스를 광음극에서 생성하고 높은 에너지로 가속해 원자
크기
보다 짧은 피코미터(1조분의 1m) 수준의 파장에 도달하면서 높은 시공간 동시 분해능을 가진다. 분석 결과 빗해파리 신경망의 뉴런은 다른 동물 신경계와 달리 시냅스로 연결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과학기구 자동 발사장의 돔 뚜껑이 열렸다. 기상 관측 기계인 라디오존데를 매단 지름 2m
크기
의 풍선이 하늘로 날아갔다. 풍선은 대류권을 넘어 성층권인 35km까지 올라가며 고도별 기온과 기압, 습도와 바람 등을 측정해 실시간 전송한다. 기상청은 이곳 북강릉을 포함해 해안선을 따라 총 일곱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방울토마토 먹고 배탈 난 과학적 이유
2023.04.05
야생 토마토 열매는
크기
가 콩알만한데(평균 2g), 이때 작물화를 거치며 방울토마토만한
크기
가 됐다. 그 뒤 방울토마토가 중미로 퍼졌고 여기서 육종으로 좀 더 큰 토마토가 나왔다. 16세기에 유럽인들이 중미에서 토마토를 가져갔고 그 뒤 세계로 퍼졌다. 이 과정을 거치며 토마토의 게놈 다양성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마침내 밝혀진 냄새수용체 구조
2023.03.22
있는 몇몇 아미노산이 프로피온산과 상호작용해 안정화시킨 결과다. 공간의
크기
는 탄소원자 2개인 아세트산과 3개인 프로피온산은 들어갈 수 있지만 4개인 뷰티르산부터는 들어가지 못하고 따라서 이들 큰 분자는 OP51E2를 활성화하지 못한다. 흥미롭게도 아미노산을 바꿔치기해 공간을 넓혀주자 ... ...
[기후위기와 산림] 더 많은 탄소 흡수하는 나무 만들기
2023.03.16
생장을 비교하는 것이다. ● 정확하고 빠르게 선발하기 나무는 농작물과 달리 개체의
크기
가 커서 실험 환경을 통제하기가 어렵고 수확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다. 이러한 시공간적 제약은 임목개량이 본격화된 1950년대부터 근본적인 도전과제였다. 하지만 최근 다양한 분야의 기술 발전에 힘입어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기존 대비 50배 우수 데이터 압축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3.10
데이터 압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약 2억 건의 비디오 시청 내역 데이터를 10KB
크기
로 압축할 수 있는 기술이다. 연구는 오는 5월 미국에서 열리는 미 컴퓨터협회 웹 학술대회에서 발표된다. ■ 유종성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수소 연료전지의 수명을 크게 ... ...
[오늘과학] 건물에 칠하면 내부 온도 낮아지는 페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3.03.09
알루미늄, 산화 알루미늄과 같은 무색 물질로 만들어졌다. 연구팀은 “무색 물질의 나노
크기
구조 배열을 조절해 색상을 만들어냈다”며 “인공적으로 합성된 분자를 사용해 색을 내는 기존의 안료 기반 페인트와 달리 친환경적”이라고 말했다. 나노 구조의 기하학적 배열로 빛을 반사하고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금성-목성 근접현상 특별관측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3.02.28
3월 24일엔 특별관측행사를 개최한다고 27일 밝혔다. 3월 2일 저녁 금성과 목성은 보름달
크기
인 0.5도까지 근접해 맨눈으로 관측 시 두 행성이 거의 붙어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망원경으로 관측 시 두 행성이 한 시야에 들어오게 된다. 이번 근접은 2022년 5월 1일 이후 최대로 가까워지는 것이다. ... ...
[기후위기와 산림] 염분 많은 간척지에서도 나무가 자란다
2023.02.23
저감 포플러는 야외 격리포장에서 수고가 약간 작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다행스럽게도 그
크기
가 10% 내외 수준이어서 리그닌 감소로 얻는 이익을 상쇄할 만큼 큰 차이는 아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올해부터는 생산 비용 절감 효과나 기존 소재 원료와의 가격 경쟁력을 확인하기 위해 단벌기 순환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