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9,103건 검색되었습니다.
올해 IMO에서 한국 13위, 대책은?
수학동아
l
201109
한국 대표팀의 부단장을 맡고 있는 이승훈 영동대 교양학부 교수는 “우리나라가 북한에
뒤
질수 있다는 것은 이미 예측된 결과” 라고 밝혔다. 2009년 IMO에서 우리나라는 4위에 올랐다. 하지만 북한 대표팀 6명 중에서 한 명의 성적을 제외하면 우리 대표팀보다 성적이 좋았다. 2010년에 북한 대표팀은 ... ...
PART 2 수학적 사고력에 진짜 도움이 될까?
수학동아
l
201109
유명해. 그는 신문에 1부터 13까지 숫자는 차례대로 배열하고 14와 15만 자리를 바꿔 놓은
뒤
올바르게 배열한 사람에게 무려 1000달러(약 100만원)를상금으로 주겠다고 선언했어. 그런데 이 퍼즐은 애초에 답이 없었어. 즉 1부터 15까지 차례대로 배열할 수 없지. 그걸 알았던 로이드가 상금을 걸었던 ... ...
접어 만든 소마큐브 조각
수학동아
l
201109
접어 소마큐브 조각을 직접 만들어 보자. 이 방법으로 정육면체를 여러 개 만든
뒤
앞에서 살펴본 소마큐브의 모양대로 이어 붙이면 손쉽게 소마큐브 조각을 만들 수 있다. 소마큐브 조각 7개를 이용해 다양한 방법으로 3×3×3 정육면체를 완성해 보자. 또한 입체도형을 공부할 때 보이지 않는 ...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 ②
수학동아
l
201109
점이야. 만약 넷이서 짜고 서로의 알리바이를 증명해주기로 했다면….”두~둥! 도형은
뒤
통수를 맞은 것 같았다.“그렇군요. 우와 선생님 왠지 진짜 탐정 같아요. 멋있다!”“감탄할 때가 아니잖니. 일단 이 네 명의 공통점을 찾아봐야겠구나. 도형아, 네 사람이 가지고 있던 물건을 가져다주겠니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전북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태풍도 폭우도 수학동아 MIE를 막을 순 없다!
수학동아
l
201109
결국 각 조마다 준비된 철사와 양동이를 사용하지 못하고 2개의 양동이만 잘 섞은
뒤
미리 준비해간, 수학사랑에서 만든 비누막 실험도구를 이용해 원하는 학생들만 실험을 해 볼 수 있었어요.정육면체의 구조물에서는 가운데에 작은 사각형 모양을 따라 비누막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 ...
특목고 입시 기획 ① 왜 수학영재학교는 없나?
수학동아
l
201109
관계없이 매우 큰 강점이 된다. 수학을 잘하는 학생들은 매우 논리적이므로 대학 졸업
뒤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도 있다. 수학만 잘해선 특목고 입학 어려워이처럼 수학 실력은 대학 입시와 다양한 분야의 진로에 많은 도움이 되는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 ...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09
콘크리트 바닥을 받치는 철골의 단면을 키워 강성을 높이는 것이다.건물이 준공된
뒤
진동이 생겨 입주민이 불안해하거나 불편을 겪을 때는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를 써야 한다. 진동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면 가장 좋지만, 그럴 수 없다면 구조물을 개선해 고유진동수를 바꾸거나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09
질량이 달의 4%(지름이 달의 약 3분의 1)인 작은 달이 따로 있다가 오랜 시간이 지난
뒤
달과 매우 느린 속도로 충돌한다면 달 앞면과 뒷면의 지형과 구성 성분의 차이를 상당히 잘 설명할 수 있다. 대충돌설에 사용된 시뮬레이션을 달과 또 다른 달 사이의 충돌에 적용한 것이다. 수천만 년 정도가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09
무거운 원소는 대부분 ‘중성자포획’으로 만들어진다. 중성자가 원자핵에 포획된
뒤
베타붕괴를 일으켜 양성자로 바뀌면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것이다.우라늄과 토륨 같은 무거운 원소들은 중성자의 밀도가 아주 높은 환경인 초신성 폭발을 할 때만 만들어진다. 결국 가스와 먼지가 모여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09
시각화에 발군의 실력을 발휘한 유능한 과학자였다. 왓슨처럼 조숙한 천재는 아니었지만
뒤
로 갈수록 과학자의 입지를 다져가는 대기만성형 천재였다.‘20세기 생명과학 최대의 발견’, ‘생명의 비밀을 밝힌 역사적 연구’인 DNA의 이중나선 구조 발견. 이 위대한 역사를 세 명의 서로 다른 ... ...
이전
307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