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랜섬웨어 ‘워너크라이’가 특별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랜섬웨어는 2014년부터 기승을 부리기 시작했다. 워너크라이는 이전의 랜섬웨어와는 여러 가지가 다르다. 그 차이를 세 가지 키워드로 뽑았다. 1 달라진 감염 경로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2016년 발표한 랜섬웨어 예방을 위한 5가지 보안수칙을 보면 랜섬웨어의 주요 감염 경로를 알 수 있다.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다진 땅에 바닷물을 가둔 뒤 일정 시간 증발시키고 다음 증발지로 흘려보내는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며 만든다. 그 과정에서 바닷물의 염분 농도가 점차 높아지다가 ‘결정지’라는 최종 단계에서 소금이 결정을 이루면 비로소 채취하는 것이다. 염전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바둑판 모양의 땅에서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생성하다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이용해 물리학의 여러 미해결 문제를 탐구하려는 시도가 최근 더욱 활발해지고 있다. 2012년 프랑스 찰스 패브리 연구소 연구팀은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이용해 호킹 복사를 설명하는 ‘동적 카시미르 효과’를 확인했고(doi:10 ... ...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누룩을 모았다. 누룩에는 효모를 비롯해 유산균이나 곰팡이 등 음식을 발효시키는 여러 미생물이 들어 있다. 여기에서 한국 토종 효모 1만여 종을 분리해냈다.문제는 모든 효모가 빵을 만들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었다. 지금까지 밝혀진 효모만 600가지가 넘지만, 빵을 만들 수 있는 건 몇 개 ... ...
- [과학뉴스] 새로운 문제도 척척~! 똑똑한 뒤영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그 행동을 보고 배워 공을 원판 가운데로 굴렸답니다. 게다가 70%의 뒤영벌은 원판에 공이 여러 개 있을 땐 가장 가까이 있는 공을 옮겼지요.연구팀은 “뒤영벌은 단지 행동을 그대로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목표를 위해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아 행동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Part 3. 사이버그야,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편모를 ‘S’자로 흔들며 부드럽게 이동한답니다. 이 로봇은 나선 모양의 중심축에 여러 개의 관절로 이루어진 넓은 판을 끼운 모양이에요. 나선 모양 중심축이 빙글빙글 돌면 이를 따라서 관절들이 위 아래로 움직이며 S자 모양으로 움직이지요.로봇은 울퉁불퉁한 땅에서도 문제없이 앞으로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팀은 페트병과 같은 소재의 막에 양전하를 띠는 물질과 음전하를 띠는 물질을 여러 층으로 쌓았어요. 염분이 들어오지 못하게 화학적으로 처리한 거예요. 여기에 바닷물을 통과시켜 보니 97%의 염분이 걸러졌어요.맹그로브의 뿌리는 음전하(-)를 띠고 있어서 염화 이온(Cl-)은 밀어내고나트륨 ...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데 모아 놓은 것을 말해요.1880년 벤은 집합을 원으로 표시해 어떤 대상이 포함돼 있는지, 여러 집합이 공통으로 가진 대상은 무엇인지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했어요. 예를 들어 집합 {1, 2}와 {2, 3, 4}를 벤 다이어그램으로 그리면 공통인 2는 겹치는 부분에 쓰고, 다른 수는 원의 겹치지 않는 부분에 ... ...
- Part 2. 수학으로 만든 전쟁 시뮬레이션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군대는 여러 방법으로 전쟁을 대비한다. 현대에는 가늠할 수 있는 모든 상황을 예측해 수학적으로 모델링하고, 모델링을 바탕으로 시뮬레이션한다. 이것을 가상으로 전쟁을 벌여 훈련하는 ‘국방 M&S’라고 한다. M&S는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의 약자다.대표적인 국방 M&S는 ‘워 게임’이다. 아군과 ... ...
- Part 3. 무기 속의 또 다른 무기수학동아 l2017년 06호
- 것인지, 또 적합한 설계가 어떤 건지 찾던 중 폭탄 안의 압축된 수소를 다단식 로켓 처럼 여러 번 폭발시키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다. 3번의 폭발을 연속적으로 유도하는데, 로켓처럼 2번째 폭발은 3번째 폭발의 기폭제 역할을 하도록 설계했다. 이것이 ‘울람-텔러의 발견’이다.▼관련기사를 계속 ... ...
이전314315316317318319320321322 다음